원소 (후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 원유 (후한)를 가리키는 링크를 원유 (삼국지)를 가리키도록 변경
논란이 없는 부분의 각주는 지우고, 참고 문헌의 목록으로 대체함.
10번째 줄:
|주요 참전 전투/전쟁 =[[십상시의 난]],<br />[[동탁 토벌전]],<br />[[관도대전]]
}}
'''원소'''(袁紹, ? ~ [[202년]] [[음력 5월 21일]])는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 (이름)|자]]는''' 본초'''(本初)이며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다.<ref>[[진수 (서진)|진수]](3세기), 《[[삼국지]]》 〈[[:s:삼국지 (진수)/권6|권6]]〉 中 〈원소전〉(袁紹傳, 이하 “〈원소전〉”이라 한다.) “袁紹字本初,汝南汝陽人也。” (원소(袁紹)의 자(字)는 본초(本初)이고, 여남군(汝南郡) 여양현(汝陽縣) 출신이다. ) </ref> 명문가의 사생아 출신으로 젊어서는 [[청류파]] 사상가로 명성을 떨쳤다. 후한의 정치적 부패를 타파하고자 [[십상시]]를 일소하였으나, [[동탁]]의 개입으로 정권을 잡는 데 실패하고 중앙에서 쫓겨났다. 원래는 중앙에서 태어난 관료 출신이었지만 사상가 · 정치가로서의 명망과 경력을 바탕으로 [[기주]] 일대에서 빠르게 군벌화하였고, [[한복 (후한)|한복]] · [[공손찬]] · [[장연 (후한)|장연]] · [[전해]] · [[공융]] 등의 정부 관료·군벌들을 격파 · 병합함으로써 가장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였으나 [[조조]]에게 크게 패한 뒤([[관도대전]]) 분사(憤死)하였다. 후계자 [[원상 (후한)|원상]]은 종형 [[원담]]의 반발로 내전이 일어난 사이에 조조에게 토벌되었다.
 
== 생애 ==
===청류 지식인으로서의 전반기 ===
원소는 고조부 [[원안]](袁安) 이후 4대 연속 [[:wikt:삼공|삼공]](三公)<ref>태위(太尉)·사공(司空)·사도(司徒)를 통틀어 일컫는 말.</ref>지위<ref>〈원소전〉 “高祖父安,為漢司徒。自安以下四世居三公位,” (고조부 원안은 후한의 사도가 되었다. 원안 이래로 4세에 걸쳐 삼공 자리를 지냈다. ) </ref>에지위에 있었던 명문 가문 출신으로, 용모가 수려하고 신분에 구애받지 않으며 다른 사람의 어려운 일을 잘 도와주어 젊어서부터 지도자 기질이 있는 인물이었다. 일반적으로 사세삼공의사세삼공(四世三公)의 적장자로 세상 물정 모르는 인물로 그려지나, 태어날 때 부친인 [[원성]](袁成)이 죽어 유복자로 자랐으며 모친은 노비였다.<ref>실제로는한편으로는 [[원봉 (후한)|원봉]](袁逢)의 차남이고, 일찍 죽은 [[원성]]의 양자로 입적되었다는 설도 있다. ([[진수 (서진)|진수]](3세기), 《[[삼국지]]》 〈[[:s:삼국지 (진수)/권6|권6]]〉 〈원소전〉의 [[배송지]] 주석 중 “紹即逢之庶子,術異母兄也,出後成為子。” (원소는 원봉의 서자인데, 이복 형에게 술수를 써서, 출생 후에 원성(袁成)의 아들이 되었다. ))원소가 서자라는 기록은 양쪽 설 모두 동일하다.</ref> 원소는 천출로 비록 [[효렴]](孝廉) 등의 천거를 받지 않았지만, 어린 나이에 당시 삼공의 눈에 들어 삼공부로부터 직접 벽소되는 상당히 파격적인 절차로 20세의 나이에 복양장(濮陽長)으로 부임하였다. 임지에서는 깨끗한 정치로 명성을 얻었으나 부임한 지 얼마 지나지도 않아 적모의 상을 이유로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고, 복상이 끝나자 어려서 아버지를 잃은 것을 추감하며 또다시 3년의 상을 치르는 한편 이후에도 병을 핑계로 벼슬에 오르지 않았다.<ref>〈원소전〉의 [[배송지]] 주석 중 “〈《英雄記》曰:紹生而父死,二公愛之。幼使為郎,弱冠除濮陽長,有清名。遭母喪,服竟,又追行父服,” ( 《영웅기》에 이르기를, 원소가 태어나자 아비가 죽었는데, 이공(二公)이 그를 아꼈다. 어려서는 벼슬 ‘랑’(郎)을 맡았고, 약관의 나이에 복양(濮陽)의 우두머리로 임명되었는데, 청렴하다는 명성이 있었다. 모친상을 당하였고, 상복을 입는 기간이 끝나자, 다시 추모하여 부친의 상복을 입었다. )</ref> 당시 후한에서는 삼년상을 치르는 관습이 거의 없었던 점과, 어려서 고아가 된 일을 추감하여 원소만이 다시 복상을 거친 것은 당시에는 그가 유일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청렴하고 올바른 정치를 추구했던 원소는 후한 말의 부패한 정치 현실에 대해 적잖이 실망하여 벼슬길을 피한 것으로 생각된다.
 
6년의 상을 치르고 벼슬에 나서지 않는 동안에 원소는 많은 선비들과 더불어 사귀었고,<ref>〈원소전〉의 [[배송지]] 주석 중 “凡在塚廬六年。禮畢,隱居洛陽,不妄通賓客,非海內知名,不得相見。又好遊俠,與張孟卓、何伯求、吳子卿、許子遠、伍德瑜等皆為奔走之友。不應闢命。” ( 무릇, 무덤 가의 오두막에서 6년을 지냈다. 예를 마치자, 낙양에서 은거하였고, 경망하게 빈객들과 통하지 않았다. 나라안에 명성이 알려져, 그를 서로 만나보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또한 유랑과 의협을 좋아하여 장맹탁( 張孟卓)·하백구(何伯求)·오자경(吳子卿)·허자원(許子遠)·오덕유(伍德瑜) 등과 더불어많은 모두선비들과 분주히더불어 오가는 친구가 되었으며사귀었고, 벽명(辟命)에 불응하였다. )</ref> 당시 후한의 정치적 부패의 요인이었던 [[환관]](宦官)들의 전횡을 비판하여 많은 추종자들을 얻었으므로 이에 환관들이 모두 원소를 미워하게 되었다. 십상시의 한 사람이자 [[후한 영제|영제]](靈帝)에게 '아버지'라고 불린 [[장양 (후한)|장양]](張讓)과 더불어 '어머니'라고 불린 중상시(中常侍) [[조충]](趙忠)은 원소에 대해 "저 아이가 끝내 무슨 일을 저지를 지 모르겠다"라고 말하였다.<ref>〈원소전〉의 [[배송지]] 주석 중 “中常侍趙忠謂諸黃門曰:「袁本初坐作聲價,不應呼召而養死士,不知此兒欲何所為乎?」” ( 중상시(中常侍) 조충(趙忠)이 여러 황문(黃門)들에게 이르기를, “원본초(袁本初)는 앉아서 이름값을 올리고, 부름에 응하지 아니하니 죽음을 키우는 사내로구나. 이 아이가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모르겠는가?” 라 하였다.)</ref> 원씨 가문은 환관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므로, 원소의 숙부 [[원외]](袁隗)는 원소에게 "가문을 멸망시킬 작정이더냐"라고 크게 꾸짖었다는 일화가 있다.<ref>〈원소전〉의 [[배송지]] 주석 중 “紹叔父隗聞之,責數紹曰:「汝且破我家!」” (원소의 숙부 원외(袁隗)가 이를 듣고 원소를 황급히 꾸짖어 말하기를, “네가 장차 우리 집안을 파멸케 하려느냐!” 하였다. )</ref> 이에 원소가 천거에 응하여 벼슬을 시작했다는 기록<ref>〈원소전〉의 [[배송지]] 주석 중 “紹於是乃起應大將軍之命。” (원소는 이에 비로소 다시 대장군의 명령에 응했다.)</ref> 이 있고, 끝내 원외의 말을 듣지 않았다는 기록도 있어 어떤 것이 옳은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최소한 [[184년]]([[광화 (후한)|광화]](光和) 7년([[184년|184]]) 무렵에는 대장군(大將軍) [[하진]](何進)의 속관으로 다시 벼슬을 시작하였다. 황건난을[[황건적]]의 난을 계기로 더이상더 이상 조정의 혼란을 묵과할 수 없다는 청년다운 정의감도 작용했을 것이다.
 
이후 원소는 학행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아 시어사(侍御史)로 승진하였으나<ref>〈원소전〉 “以大將軍掾為侍御史,” (대장군(大將軍)과의 인연으로 시어사(侍御史)가 되었다. )</ref>, 사이가 나빴던 종제 [[원술]](袁術)이 상서대에 있었으므로 사직하고 무관직으로 전임해 호분중랑장(虎賁中郞將)이 되었다. [[186년]]([[중평]](中平) 3년([[186년|186]])에는 [[갑훈]](蓋勳) · [[유우 (후한)|유우]](劉虞)와 같이 금병을 장악하고 쿠데타를 일으켜 십상시 주살을 도모하였으나, 갑훈이 경조윤(京兆尹)으로 전출되어 실행에 옮기지 못하였다.
 
중평 6년([[189년|189]](중평 6년), 영제가 붕어하고 [[하진]]이 집권하여 환관들과 대립하자 원소는 [[하진]]에게 접근하여 환관을 주살할 계획을 세워 [[하진]]에게 바쳤다.[[하진]]은 처음엔 원소의 계책을 받아들였으나<ref>〈원소전〉 본문 및 누이동생 [[배송지하태후]] 주석 중 “靈帝崩,太后兄大將軍何進與紹謀誅諸閹官,〈《續漢書》曰:紹使客張津說進曰:「黃門、常侍秉權日久,又永樂太后與諸常侍專通財利,將軍宜整頓天下,為海內除患。」進以為然,遂與紹結謀。” (영제(靈帝)가 붕어하자, 태후의 오라버니 대장군 하진(何進)이 원소와 함께 모든 환관들을 주살할 것을 모의했다. 《속한서》(續漢書)에 이르기를, 원소가 빈객 장진(張津)으로 하여금 하진을 설득하여 말하기를, “황문·상시(常侍)가 권력을 잡은 지 오래이며, 또한 영락태후(董太后)는 여러 상시들과 함께 재물과 이익을 멋대로 처리하였습니다. 장군께서 천하를 정돈하고 나라를 위하여 근심거리를 없애는 것이 마땅합니다. ” 하진은 이를 그럴 듯이 생각하였고, 마침내 원소와 함께 음모를 꾸몄다 한다.)</ref> 누이동생 하태후(何太后)의 반대와 설득에 마음이 돌아선데다가 그 스스로가 환관과 결탁하여 출세한 것이었으므로 쉽게 포기하고 말았다. 이에 원소는 재차 [[왕광 (후한)|왕광]](王匡) · [[정원 (후한)|정원]](丁原) · [[교모]](喬瑁) · [[동탁]] 등 지방의 장수들을 수도 근교로 소집하여 하태후를 비롯한 환관들의 지지세력을 협박하는 계책을 세웠고 다시 [[하진]]을 설득하여 [[왕광 (후한)|왕광]]에게 강노수 5백을 이끌고 [[낙양]](洛陽)으로 오도록 하는 한편 [[교모]]는 성고에 주둔하게 하였으며, [[동탁]]은 관중(關中)으로 오도록 하고, [[정원 (후한)|정원]]을 시켜 맹진(孟津)을 불태우도록 했다.
 
원소의 협박이 거듭 이어지고 맹진의 불빛은불빛이 낙양에까지 비추게 되자 친 환관파 관료들은 모두가 두려워 떨며 십상시를 주살하라고 진언했으나 하태후만이 이를 듣지 않았다. 본디 십상시와 결탁하여 권력을 잡았던 [[하진]]은 이들이 몰살당하는 것을 내심 꺼려했으므로 행동이 지체되고 있었다. 원소는 [[하진]]을 만나 거듭 설득했고 이에 [[하진]]은 원소를 관리의 감찰과 낙양의 치안을 담당하는 사례교위에 임명하고 가절을 내리는 등 막대한 권력을 부여한다. 이에 원소는 황실의 근위병들을 모두 자신의 심복으로 교체하며 태후와 환관들을 낱낱히 감시했는데 마침내 공포에 질린 하태후는 십상시 이하 고위직 환관들을 모두 파직시키자 십상시들은 모두 [[하진]]에게 가서 사죄하며 오직 [[하진]]의 조치에 따르겠다며 애원한다. 원소는 [[하진]]에게 십상시들을 모두 처형할 것을 세 번이나 간하였으나 [[하진]]은 모두 듣지 않았고 십상시들에게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명령했다.
 
이에 원소는 [[하진]]의 명령을 위조하여 모든 주군에 서찰을 보내 고위 환관의 친속들을 잡아들이고 심문토록 했으나 이미 때는 늦어 [[하진]]은 환관들의 반격에 살해되고 만다.([[9월 22일]]([[음력 8월 25일]]))
206번째 줄:
[[원안]] [[원외]] [[원요]] [[원유 (삼국지)|원유]] [[원윤]] [[원평 (후한)|원평]] [[원희 (후한)|원희]]
 
==참고 문헌==
*[[진수 (서진)|진수]](3세기), 《[[삼국지]]》 〈[[:s:삼국지 (진수)/권6|권6]]〉 〈원소전〉
== 각주 ==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