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초 (촉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작업 중
1번째 줄:
{{인물 정보
[[파일:MaChao.jpg|thumb|200px|마초]]
|이름= 마초(馬超)
'''마초'''(馬超, [[176년]] ~ [[222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군벌이며 [[삼국시대 (중국)|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다. [[자 (이름)|자]]는 '''맹기'''(孟起)이다. [[관우]](關羽), [[장비]](張飛), [[황충]](黃忠), [[조운 (촉한)|조운]](趙雲)과 더불어 [[오호대장군]](五虎大將軍)으로 불렸다.
|그림= MaChao.jpg
|그림설명=
|출생일= [[176년]]
|출생지= [[우부풍]] 무릉
|사망일= [[222년]] (47세)
|사망원인= 병사
|국적= [[후한]] → [[촉나라]]
|별칭= 자(字)는 맹기(孟起)<br />시호는 위후(威侯)
|경력= 독군종사 → 편장군 → 정서장군 겸 병주목(자칭) → 평서장군 → 좌장군 → 표기장군 겸 양주목
|직업= [[장군]]
|작위= 도정후 → 태향후
|적수= [[염행]], [[조조]], [[양부]]
|부모= [[마등]]
|친척= [[마대]](4촌 혹은 6촌 동생)
|관련활동= [[관중십장]] 중 한 명<br />[[동관 전투]], 기성 전투, [[한중 공방전]] 등
}}
'''마초'''(馬超, [[176년]] ~ [[222년]])는 [[후한]], [[촉한]]의 [[장군]]으로 [[자 (이름)|자]]는 '''맹기'''(孟起)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다. [[마원 (후한)|마원]]의 후손이자 [[마등]]의 장남으로 그 세력을 물려받았다. 관서에서 독자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관중십장]] 중 한 명이라 불렸다. [[조조]]에게 처절할 정도로 대항하였으나 결국 실패하고 가문만 몰살당하였다. [[유비]]에게 [[망명]]하여 [[사방장군]]을 거쳐 [[표기장군]]까지 올랐다. 용맹함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이민족]]들에게도 지지를 받았다.
 
== 생애 ==
=== 마등의 장남 ===
어렸을 때부터 건장하였다. [[아버지]] [[마등]]은 정서장군(征西將軍)으로서 관우에서 독자 세력을 구축한 세력가 중 한 명이었다. [[건안]] 초, 마등이 [[양주 (涼州)|양주]]에서 진서장군(鎭西―) [[한수 (후한)|한수]]와 [[전쟁]]을 벌였다. 한수의 장수 [[염행]]도 마초와 마찬가지로 [[이름]]이 났기에 서로 겨루었다. 염행이 [[모 (무기)|모]]로 마초를 찌르려 했는데 모가 부러졌다. 염행이 당황하지 않고 부러진 모로 마초의 [[목]]을 가격해 마초는 [[죽음]]의 [[문]]턱을 다녀왔다.<ref name='요단강'>어환(魚豢), 《[[위략]]》 ; 배송지 주석, 《삼국지》15권 위서 제15 [[장기 (후한)|장기]]에서 인용</ref> [[사례교위]] [[종요]]가 [[관중 (지명)|관중]]으로 부임해 한수와 마등을 화해시켰다.
 
[[202년]] [[원담]]·[[원상 (후한)|원상]] [[형제]]가 [[곽원 (후한)|곽원]]과 [[고간 (후한)|고간]]을 보내 [[하동군 (중국)|하동군]]을 찔렀다. 마초는 종요의 독군종사(督軍從事)가 되어 그 토벌을 도왔다. 평양현(平陽縣)에서 맞붙어 유시에 맞은 [[다리 (해부학)|다리]]를 자루로 싸매면서까지 분전한 끝에 격파하였다. 곽원의 [[머리]]는 마초의 부장 [[방덕]]이 취하였다. 이윽고 [[서주 (중국)|서주]][[자사 (관직)|자사]]를 거쳐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는 않았다. [[208년]]<ref>건안 15년은 오기이다.</ref> 마등은 [[위위]]를 받고 조정으로 들어갔다. 마초가 편장군(偏將軍)에 도정후(都亭侯)를 받고 마등의 세력을 통솔하였다. [[동생]] [[마휴]]와 [[마철]]도 각기 봉거도위(奉車都尉)와 [[기도위]]에 임명되어 [[가족]]들과 [[업 (지명)|업]]으로 이주하고 마초만이 남았다.<ref name='마초맨'>어환, 《전략》(典略) ; 배송지 주석, 《삼국지》36권 촉서 제6 마초에서 인용</ref>
마초는 [[192년]]([[초평]] 3년) [[마등]]과 [[한수 (후한)|한수]](韓遂)가 군대를 이끌고 [[장안]](長安)으로 진입하자 한 왕조는 [[한수 (후한)|한수]]를 진서장군에 임명해 금성으로 귀환시키고 [[마등]]을 정서장군에 임명해 미에 주둔시킨다.
 
=== 관중십장의 위기감 공유 ===
[[192년]] [[한수]]와 [[마등]]이 서로 불화해지자 군을이끌고 대립하였다.
[[211년]] 3월([[음력]], 이하 모두 음력) [[장로 (후한)|장로]]가 다스리던 [[한중]]으로 [[조조]]가 군을 움직였다. 관서에서 각자의 영역을 [[점유]]하고 있던 [[관중십장]]은 자신들을 노리는 것이 아닌지 술렁거렸다. 마초가 한수에게 “예전에 종요가 저더러 장군을 치라고 했을 정도로 관동 [[사람]]들은 믿을 게 못 됩니다. 저는 아버지를 버리고 장군을 아버지로 여기겠으니 장군도 [[자식]]을 포기하고 저를 자식처럼 대하십시오.”라며 설득하였다.<ref name='요단강' /> 한수는 자식이 조정에 가있었다.<ref>《삼국지》13권 위서 제13 종요</ref> 결국 [[양추 (조위)|양추]], [[이감 (후한)|이감]], [[성의 (후한)|성의]] 등 관중십장은 동시에 군을 일으켜 [[퉁관 현|동관]](潼關)으로 [[동관 전투|진군하였다]].
이때 마초와 [[염행]]이 1대1로 붙어 마초가 크게 패하였다.
사례교위 [[종요]](鍾繇)가 관중으로 부임해 [[한수 (후한)|한수]]와 [[마등]]에게 서신을 보내 복종하는 경우와 반항하는 경우의 이해 득실을 각각 설명했다. [[마등]]은 이에 응하고 아들 마초를 [[종요]] 밑으로 보냈다.
 
관서의 군대는 긴 모를 능숙히 다루는 정예 강군이었다.<ref>[[왕침]] 등, 《위서》 ; 배송지 주석, 《삼국지》1권 위서 제1 무제 조조에서 인용</ref> 조조의 재종형제 [[조인]]은 싸움에 응하지 않고 수비만 굳혔다. [[가을]], 비로소 조조가 와서는 동관에 전력을 집중하였다. 관서군도 이에 대응해 [[황하]] 서쪽의 병력을 동관으로 집결시키자 조조가 [[서황]]과 [[주령]]으로 하여금 기습적으로 포판진(蒲阪津, 하동군 포판현 소재)을 건너게 해 황하 서쪽을 점거하였다. 이어서 조조의 본대도 황하 북쪽으로 도하하였다. 이를 만여 명으로 들이쳤으나 [[허저]]가 충용 무쌍하게 조조를 호위한 데다<ref>《삼국지》18권 위서 제18 허저</ref> 정비(丁斐)가 풀어버린 [[소]]와 [[말 (동물)|말]]에 군사들의 정신이 팔려 조조를 놓치고 말았다. 조조군이 황하의 서안을 확보했으므로 관서군은 위구(渭口)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조조는 몰래 [[웨이허|위수]]로 진출하고 그 남쪽에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관서군도 위수의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승상이 된 [[조조]](曹操)는 마초까지 초빙하지만 마초는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 이간계에 빠져 ===
그 뒤 사례교위 독군종사가 되어 평양현 [[곽원 (후한)|곽원]](郭援)과 [[고간 (후한)|고간]](高幹)을 토벌하고 선봉장이였던 [[방덕]]이 [[곽원 (후한)|곽원]]을 격파하고 [[곽원 (후한)|곽원]]의 목을 베었다.<ref>관장마황조전(關張馬黄趙傳)</ref>'''
9월, 마초는 조조군이 도강해오는 것을 [[기병]]으로 저지하였다. [[강]]가엔 [[모래]]도 많아 조조군은 보루를 쌓지 못했는데 [[누규]]가 ‘[[날씨]]가 차니 모래에 [[물]]을 붓자’고 하여 하룻[[밤 (시간)|밤]] 만에 위수의 남안에 [[성 (건축)|성]]을 축조하고는 기어이 넘어왔다.<ref>《조만전》(曹瞞傳) ; 배송지 주석, 《삼국지》1권 위서 제1 무제 조조에서 인용</ref> 이에 마초 등이 수차례 건드렸는데 조조군은 자리만 지킬 뿐 응전하지 않았다. 마음이 풀어진 관서군은 조조에게 자신들의 [[영토]]만 보전해준다면 강화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 과정에서 한수·마초가 조조와 필마단기로 회담하였다. 마초는 자신의 힘을 믿어 그 자리에서 조조를 붙잡을 [[생각]]이었는데 허저가 조조 곁에서 [[눈 (해부학)|눈]]을 부릅뜨고 노려보고 있었기에 헛된 행동을 하지 않았다.
 
조조는 [[가후]]의 계책을 활용해 관서군의 요구를 들어주는 척하면서 그 사이를 멀어지게 하였다. 조조는 한수의 아버지와 같은 [[년|해]]에 [[효렴]]으로 천거됐으며, 한수와는 동년배이기도 하였다. 한수의 요청에 서로 회담하면서도 군사에 관한 일은 꺼내지 않고 사사로이 담소만 나누었다. 파한 후 마초 등 관중십장이 한수에게 조조가 무슨 [[언어|말]]을 했냐고 물었다. ‘별 말 없었다’는 대답에 자연히 의심이 생겨났다. 다른 [[날]] 조조가 한수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고치고 지운 흔적이 많아 마치 한수가 그런 것처럼 보인지라 관중십장의 의심은 더욱 커졌다. 마침내 조조가 벌인 회전에서 대패하여 마초는 [[서융]]으로 달아났다.
이윽고 조칙으로 서주자사가 되고 이후 간의대부에 임명된다. 그 뒤 아버지 [[마등]]은 [[한수 (후한)|한수]]와 사이가 벌어져 위위로 조정에 소환되고, 동생 [[마휴]](馬休)와 [[마철]](馬鐵)도 각기 봉거도위, 기도위에 임명되어 모두 [[업 (지명)|업]](鄴)으로 이주했다. 편장군이 된 마초만 양주에 남아 [[마등]] 군영을 장악해 통솔하였다.
 
=== 재기 ===
건안 17년([[212년]]), 마초는 [[한수 (후한)|한수]]와 연합해 [[동관 전투|반란]]을 일으킨 뒤 군대를 이끌고 동관까지 진군한다. 《[[삼국지연의]]》에서는 문하시랑 [[황규]](黄奎)와 손을 잡아 [[조조]]에 대한 반란을 기도하고, 처형된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조조]]와 싸움을 벌인다. [[조조]]는 [[한수 (후한)|한수]], 마초와 회담하였는데, 마초는 비밀리에 [[조조]]를 체포할 생각이었으나 [[허저 (조위)|허저]](許褚)가 엄하게 호위하고 있었기 때문에 무위로 돌아가고 만다. 이것이 《삼국지연의》에서 마초와 [[허저 (조위)|허저]]가 일대일로 격돌하는 장면을 연출하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조조]]가 [[가후]](賈詡)의 계략으로 마초와 [[한수 (후한)|한수]] 사이를 멀어지게 했으므로 둘은 서로 의심하게 되는데, 그 때문에 마초는 패하게 된다.
조조는 [[안정군]]까지 추격했다가 소백(蘇伯) 등이 일으킨 [[하간국]]에서의 반란으로 인해 환군하였다. [[양부]]가 마초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방비를 철저히 해야한다고 진언했으나 급히 가느라 그러지 못하였다. [[212년]] 혹은 [[213년]]<ref>212년은 《삼국지》 양부전과 《후한서》 효헌제기. 213년은 《삼국지》 무제기와 《자치통감》</ref> 과연 마초는 [[강족]] 등 호인(胡人)들과 함께 농산(隴山) 일대를 습격하였다. 다수의 [[군 (행정 구역)|군]][[현 (행정 구역)|현]]이 이에 호응하였고 한중의 장로도 [[양앙]]을 보내 지원하였다. [[양주 (涼州)|양주]]자사 [[위강 (후한)|위강]]과 [[한양군|한양]][[태수]]는 치소인 기현(冀縣)만을 붙들고 있을 뿐이었다. 만여 명으로 [[공성전|공성]]에 들어갔다.<ref name='복수는 나의것'>《삼국지》25권 위서 제25 양부</ref>
 
몇 겹으로 포위하고 치열하게 싸우던 어느 날, 누군가가 성에서 몰래 나온 흔적이 발견되었다. 사람을 풀어 추적하니 현친현(顯親縣) 경에서 양주별가(―別駕) 염온(閻溫)이 붙잡혀왔다. 위강이 [[장안]]을 진수하고 있던 [[하후연]]에게 위급함을 알리고자 밀파한 것이었다. 그 포승을 풀어주며 회유하는 동시에 ‘원병이 없을 거란 [[사실]]을 성을 향해 외치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협박]]하였다. 염온은 오히려 3일 만에 원군이 당도할 것이라며 힘내라고 [[소리]]치니 성에서는 [[만세]] 소리가 터져나왔다. [[목숨]]이 아깝지 않냐고 화를 냈지만 염온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다시 끈질기게 달랬음에도 죽음만이 있을 뿐 두 마음은 없다며 굽히지 않아 그 생을 마감시켜주었다.<ref>《삼국지》18권 위서 제18 염온</ref> 8월, 전의를 상실한 위강이 [[성문 (건축)|성문]]을 열면서 정월부터 시작한 [[전투]]가 끝났다. 약속과 달리 양앙을 시켜 위강과 태수를 [[살해]]하였다.<ref name='복수는 나의것' /> 뒤늦게 위강을 구하러 달려오던 하후연도 200여 [[리]] [[거리]]에서 요격해 물리쳤다.<ref name='울어라 활아'>《삼국지》9권 위서 제9 하후연</ref> 이로써 농우를 장악하고 정서장군 겸 [[병주]]목, 독양주군사를 자칭하였다.
건안 17년([[212년]]),마초는 달아나 제융(諸戎-여러 융족들)에 의지하고 조공이 추격해 안정(安定)에 이르렀으나 때마침 북방에 일이 생겨 군을 이끌고 동쪽으로 돌아가려 했다. 양부(楊阜)가 조공을 설득하며 말했다,
“마초는 [[한신]](韓信), [[영포]](英布)의 용맹을 갖추고 강(羌), 호(胡)의 마음을 심히 얻고 있습니다. 만약 대군(大軍)이 돌아가며 이를 엄히 방비하지 않는다면 농상(隴上)의 여러 군(郡)들은 국가의 소유가 되지 못할 것입니다
 
=== 양주를 잃고 ===
과연 마초는 서융의 강족과 융족 등의 지지를 바탕으로 다시 거병하여, 마침 하간(기주의 속군)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인해 조조가 서둘러 철수한 빈 틈을 노리고 농상을 공격했다. 농상 지방의 군과 현들은 기를 제외하고 모두 마초에게 호응했으며, 또 한중의 [[장로 (후한)|장로]]도 마초에게 원군을 보내 주었다. 마초는 양주자사 [[위강 (후한)|위강]] 등 자사 · 태수들이 항전하는 기성을 정월부터 8월까지 공격하였으며, 구원군이 오지 않아 희망을 잃은 기성의 관리들은 결국 마초와 화의를 맺고 성문을 열어 항복했다. 이러던 중 5월에 조정에 있던 아버지 [[마등]] 등의 일족은 마초의 죄에 연좌되어 삼족이 모두 멸한다. 마초는 입성한 뒤 화의를 깨고 [[양앙]]을 시켜 위강 등 자사와 태수들을 살해하고 기성을 거점으로 그 군세를 부하로 흡수했다. 마초는 스스로 정서장군이라 칭하고 병주목을 겸무해 양주의 군사도독이 되었다. 9월, 원래 위강의 부하 [[양부]]와 강서가 노성에서 반란을 일으켜 마초가 출진하지만 제대로 공략하지 못했다. 그 틈에 양관과 조구 등이 마초의 처자를 살해하고 기성의 성문을 굳게 닫고 있었으므로 마초는 진퇴양난에 빠져 할 수 없이 [[한중]]으로 도주하여, [[장로 (후한)|장로]](張魯)에게 몸을 의지하였다. 장로에게 군대를 받아 [[윤봉 (후한)|윤봉]], [[조앙 (후한)|조앙]]이 지키고 있는 기산을 공격했으나, [[하후연]]이 보낸 [[장합]]의 원군을 보자 달아났다.
9월, 양부와 강서(姜敍)가 노성(鹵城)에서, [[윤봉 (후한)|윤봉]]과 [[조앙 (위장)|조앙]]이 기산(祁山)에서 마초에게 반기를 들었다. 이를 응징하러 친히 출격하니 이번엔 양관(梁寬)과 조구(趙衢)가 본거지인 기성을 걸어 잠그고 마초의 처자를 [[효수]]하였다. 알고 보니 양부, 강서, 강은(姜隱), 조앙, 윤봉, 요경(姚瓊), 공신(孔信), 이준(李俊), 왕령(王靈), 양관, 조구, 방공(龐恭)이 마초를 몰아내려고 계획한 것이었다.<ref name='복수는 나의것' /> 진퇴양난에 빠져 할 수 없이 [[한중]]으로 도주하는 [[길]]에 역성(歷城)에 닿았다. 역성에서는 마초군을 강서군이라 오인하여 문을 열어주었다. 마초는 강서의 [[어머니]]와 자식들의 목숨을 빼앗고 성에 [[불]]을 질렀다.<ref>[[황보밀]], 《열녀전》 ; 배송지 주석, 《삼국지》25권 위서 제25 양부에서 인용</ref> 마초의 아버지와 동생 등 일족 200명은 마초의 [[죄]]에 연좌되어 이미 212년 5월에 [[처형]]당한 후였다.<ref>《후한서》9권 본기 제9 효헌제 건안 17년</ref>
 
[[장로 (후한)|장로]]를 의지하였다. 장로가 마초를 도강좨주(都講祭酒)로 삼고 자신의 [[딸]]을 주려다가 ‘피붙이도 [[사랑]]하지 않는 자가 다른 이를 사랑할 수 있겠냐’는 얘기가 나와 그만두었다. [[정월 초하루]], [[첩]] [[동씨]](董氏)의 동생 동충(董种)이 [[장수 (수명)|장수]]를 빌자 [[가슴]]을 치고 [[혈액|피]]를 [[구토|토]]하며 “온 집안 사람들이 [[하루]][[아침]]에 같은 운명을 맞았는데 [[새해]]를 경축하겠는가!”라 애통해 하였다.<ref name='마초맨' /> [[214년]], 장로로부터 병사를 받아 다시 기산을 공격하였다. 이번엔 하후연이 재가도 받지 않고 재빠르게 원군으로 출동하였다. 그 선발대 [[장합]]의 군세를 보고는 싸우지 않고 철수하였다.<ref name='울어라 활아' />
마초는 [[장로 (후한)|장로]]를 따른 후부터 종종 북쪽으로 진군해 양주 탈환을 노리지만 승리하지 못했다. [[장로 (후한)|장로]]는 마초가 바라는 대로 군사를 내주었지만, [[장로 (후한)|장로]]의 장군 양백 등이 마초의 능력을 비난하자 설자리를 잃은 마초는 무도에서 [[저족]]이 사는 곳으로 달아났다. 이때 마초는 투병중이라서 후방의 진지에 남아있는 [[방덕]]을 버리고 [[마대 (촉한)|마대]](馬岱) 혼자만 데리고 가버렸고, 이 일로 인해 [[방덕]]은 위에 투항하여 [[관우]]와 대적하게 된다.
 
=== 유비에게 망명 ===
[[214년]] [[유비]](劉備)가 성도의 [[유장 (후한)|유장]](劉璋)을 포위했다는 소식을 듣고 밀서를 보내 항복을 알리고 [[촉한]]으로 도망갔다. 《[[삼국지연의]]》에서는 그 전에 [[장비]]와 둘이서 호각지세로 한판 승부를 벌이고, [[이회 (촉한)|이회]](李恢)의 설득으로 [[유비]]에게 투항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때 [[사자]]머리 투구와 은으로 만든 갑옷, 하얀색 도포 차림새로 등장해 ‘금(錦)마초’라고 불렸다.
장로와는 큰일을 이룰 수 없다고 답답해 했으며 [[양백 (후한)|양백]] 등 장로의 장수들은 그런 마초를 싫어하였다. [[유비]]가 [[성도]]의 [[유장 (후한)|유장]]을 포위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유비에게 밀서를 보내 [[망명]]을 청하고 [[무도군]]을 통해 [[촉나라]]로 들어갔다.<ref name='마초맨' /> 유비의 환영을 받으며 성도 아래에 주둔하니 성은 두려움에 떨었고 얼마 안 가 항복하였다. 평서장군(平西―)에 임명되고 [[남군 (중국)|남군]] 임저현(臨沮縣)을 수비했으며 [[작위]]는 도정후를 유지하였다.
후에 219년, 한중에서의 싸움에서 조조의 삼남 조창을 격파해 승리하였다.
 
[[217년]] [[장비]], [[오란 (후한)|오란]], [[뇌동]]<ref name='유통수'>《삼국지》32권 촉서 제2 선주 유비</ref>과 같이 무도군 하변현(下辯縣)으로 전진했다가 [[218년]], [[조홍]]에게 깨지고 유비의 한중 전선에 합류하였다. [[219년]]([[건안]] 24년)<ref name='유통수' /> 유비가 한중왕에 올랐다. 마초는 [[좌장군]]에 가절(假節)을 받아 [[관우]], 장비, [[황충]]과 나란히 [[사방장군]]이 되었다. [[221년]]([[장무 (촉한)|장무]] 원년) [[표기장군]]으로 승진하고 양[[자사 (관직)|주목]]을 겸했으며 태향후(斄鄕侯)로 진봉되었다. [[222년]], 4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며 유비에게 ‘가문의 [[제사]]가 끊기지 않도록 [[마대]] 등 얼마 남지 않은 일족을 잘 부탁한다’는 [[유언]]을 남겼다. [[260년]]([[경요]] 3년) 관우, 장비, [[방통]], 황충과 함께 [[시호]]를 받아<ref>《삼국지》33권 촉서 제3 후주 [[유선 (공사)|유선]] 경요 3년</ref> 위후(威侯)라 하였다.
[[유비]]가 사람을 보내 마초를 등용하자 마초는 군사를 이끌고 성에 도착하였고, [[유장 (후한)|유장]]도 곧바로 항복하고 만다. 《[[산양공재기]]》에서는 [[유비]]가 마초를 후하게 대해준 것을 계기로 마초가 [[유비]]를 낮추어 부르자 [[관우]]와 [[장비]]의 반감을 사게 되었다. 어느 날 마초와 [[유비]]가 만나는 자리에서 [[유비]]의 양쪽에 [[관우]]와 [[장비]]가 칼을 차고 지키는 것을 본 마초는 이내 자신의 무례함을 깨닫고 이후 태도를 바꾸었다고 한다.
 
== 동관 전투 패배 후 재차 거병한 시기 ==
하지만 이는[[배송지]]가 주석을달았다. 신송지가 보건대(주석자인 [[배송지]]裵松之의 견해), 마초는 궁박해져 유비에 귀의하여 그의 작위를 받았는데 어찌 오만하게 유비의 자를 부를 수 있었겠는가? 게다가 유비가 촉으로 들어올 때 관우를 남겨 형주를 진수하게 했으니 관우는 일찍이 익주 땅에 있은 적이 없다. 그래서 관우는 마초가 투항했다는 말을 듣고 제갈량에게 서신을 보내 마초의 재주는 누구에 비견될 수 있는지를 물은 것으로 이 책(산양공재기)이 말하는 바대로가 아니니, 관우가 어찌 장비와 함께 곧게 서 있을 수 있었겠는가? 무릇 사람이 일을 행할 때는 모두 그것이 가능하다 하여도 불가함을 알면 이를 행하지 않는 법이다.
각 기록마다 그 시기가 다르다. 《[[삼국지]]》 [[양부]]전과 《[[후한서]]》 [[효헌제]]기에서는 [[위강 (후한)|위강]]이 마초로부터 [[피살]]당한 때를 212년 8월이라 하였으며 《삼국지》 양부전에서는 그해 9월에 강서가 노성에서 마초에 대항하였다고 적었다. 한편 《삼국지》 [[조조|무제]]기에서는 마초가 213년에 [[한양군]]에서 거병하였고 214년 정월에 조구와 윤봉이 마초의 처자를 효수하였다고 썼다. 《삼국지》 [[하후연]]전과 《후한서》 [[동탁]]전에서도 214년에 양부 등이 마초를 한중으로 쫓아냈다고 서술하였다. 이에 대해 [[사마광]]은 《삼국지》 무제기의 기술로 보아 《삼국지》 양부전의 연대는 오류이며 마초의 축출이 214년으로 밀린 것은 그 소식이 [[수도]]에 다다르기까지 [[시간]]이 걸렸기 때문일 것이라 보고 《[[자치통감]]》에 모두 213년의 기사로 처리하였다.<ref>《자치통감고이》3권</ref> 어느 기술이 맞는지는 더 이상의 기록이나 유물이 없어 확신할 수 없다. 남아있는 기록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가설은 대략 세 가지이다.
#마초가 기성을 공격한 것부터 장로에게 도피한 것은 모두 212년의 일이다.
#마초의 기성 공성은 212년, 양부·강서 등의 반발은 213년에 일어났다.
#마초의 기성 공격부터 장로에게 피신한 것까지 몽땅 213년에 있었다.
 
== 평가 ==
과연 마초가 유비의 자를 불렀다면 또한 이치로 볼 때 의당 그리해도 된다고 여겨서였을 것이다. (그렇다면) 설령 관우가 마초를 죽일 것을 청했다 하더라도 마초는 이를 듣지 못했는데, 단지 두 사람이 곧게 서 있는 것을 보고 무슨 까닭으로 이내 (자신이 유비의) 자를 불렀기 때문임을 알아채고는 ‘하마터면 관우, 장비에게 죽임을 당할 뻔했다’고 말했겠는가? 말이 이치에 닿지 않음이 너무 심해 가히 분질(忿疾-분노하고 미워함)에 이르는구나. 원위(袁暐-헌제춘추의 지은이), 악자(樂資-산양공재기의 지은이) 등이 기재한 여러 대목은 추잡하고 헛되고 그릇되니(穢雜虛謬) 이와 같은 부류가 거의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정도로다.
*[[진수 (서진)|진수]] : [[서융]]과 용력에 의지하다가 자신의 일족을 망쳤으니 애석하도다!<ref>《삼국지》36권 촉서 제6 조운</ref>
*[[양부]] : [[한신]]이나 [[영포]]처럼 용맹하고 강인(羌人)과 호인(胡人)들의 마음까지 크게 얻고 있습니다. 정벌군이 돌아가고 대비를 철저히 하지 않는다면 농산 일대는 [[국가]]의 소유가 아닐 것입니다.
*[[제갈량]] : 문무를 겸비했으며 남보다도 웅렬한 한 시대의 호걸로서 [[영포|경포]](=영포), [[팽월]]과도 같은 부류입니다. 응당 장비와 나란히 [[말 (동물)|말]]달리며 그 선두를 다툴 자입니다.<ref>《삼국지》36권 촉서 제6 관우</ref>
 
== 일화 ==
[[유비]]는 마초를 평서장군에 임명하고 [[임저]]를 다스리게 하면서, 이전과 마찬가지로 도정후에 봉했다. [[219년]], [[유비]]가 한중왕이 되자 [[장비]], [[관우]], [[황충]]과 더불어 [[사방장군]]의 필두인 [[사방장군|좌장군]]에 봉해졌다.
[[유비]]가 사람을 보내 마초를 등용하자 마초는 군사를 이끌고 성에 도착하였고, [[유장 (후한)|유장]]도 곧바로 항복하고 만다. [[산양공재기]](山陽公載記)에서는 [[유비]]가 마초를 후하게 대해준 것을 계기로 마초가 [[유비]]를유비를 낮추어 부르자 [[관우]]와 [[장비]]의 반감을 사게 되었다. 어느 날 마초와 [[유비]]가유비가 만나는 자리에서 [[유비]]의유비의 양쪽에 [[관우]]와관우와 [[장비]]가장비가 칼을 차고 지키는 것을 본 마초는 이내 자신의 무례함을 깨닫고 이후 태도를 바꾸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이에 대해 [[배송지]] 주석을달았다.다음과 신송지가같은 보건대(주석자인주석을 [[배송지]]裵松之의 견해),달았다. 마초는 궁박해져 유비에 귀의하여 그의 작위를 받았는데 어찌 오만하게 유비의 자를[[자 (이름)|자]]를 부를 수 있었겠는가? 게다가 유비가 촉으로 들어올 때 관우를 남겨 형주를[[형주]]를 진수하게 했으니 관우는 일찍이 [[익주]] 땅에 있은 적이 없다. 그래서 관우는 마초가 투항했다는 말을 듣고 제갈량에게 서신을 보내 마초의 재주는 누구에 비견될 수 있는지를 물은 것으로 이 책(산양공재기)이 말하는 바대로가 아니니, 관우가 어찌 장비와 함께 곧게 서 있을 수 있었겠는가? 무릇 사람이 일을 행할 때는 모두 그것이 가능하다 하여도 불가함을 알면 이를 행하지 않는 법이다.
또 [[장무 (촉한)|장무]] 원년([[221년]]) [[표기장군]]으로 승진해 양주목을 겸무하고 태향후에 봉해졌다. 장무 2년([[222년]]), 47세에 세상을 떠난다. [[시호]]는 위후(威侯)이다.
 
과연 마초가 유비의 자를 불렀다면 또한 이치로 볼 때 의당 그리해도 된다고 여겨서였을 것이다. (그렇다면) 설령 관우가 마초를 죽일 것을 청했다 하더라도 마초는 이를 듣지 못했는데, 단지 두 사람이 곧게 서 있는 것을 보고 무슨 까닭으로 이내 (자신이 유비의) 자를 불렀기 때문임을 알아채고는 ‘하마터면 관우, 장비에게 죽임을 당할 뻔했다’고 말했겠는가? 말이 이치에 닿지 않음이 너무 심해 가히 분질(忿疾-분노하고 미워함)에 이르는구나. 원위(袁暐-헌제춘추의 지은이), 악자(樂資-산양공재기의 지은이) 등이 기재한 여러 대목은 추잡하고 헛되고 그릇되니(穢雜虛謬) 이와 같은 부류가 거의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정도로다.
== 마초의평가 ==
 
*== [[삼국지연의]] ==
[[진수]]의 평: 마초는 융족과 용력에 의지해 자신의 일족을 망쳤으니 애석하구나! 곤궁함에 처하여 이로 인해 태평함으로 나아갔다면 더 낫지 않았겠는가!
사서가 아닌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도 [[마등]]의 용맹무쌍한 장남으로 나오는데 미남이라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마등과 [[한수 (후한)|한수]]가 [[이각 (후한)|이각]]·[[곽사]]·[[장제 (후한)|장제]]·[[번조]] 4인방과 싸울 때 17세의 [[소년]] 장수로 첫 등장하여 [[왕방]]을 찔러 죽이고 [[이몽]]을 생포한다. 마등이 가공의 인물 [[황규]]와 손잡고 [[조조]]에 대한 반란을 기도하다 처형되자 그 원수를 갚기 위해 조조와 싸움을 벌인다. [[허저]]와 일대일로 격돌한다.
 
[[사자]] [[투구]]와 [[은]][[갑옷]], [[하얀색]] 도포를 갖추고 가맹관(葭萌關)에 이른다. 그 비범한 차림새와 재주에 유비가 ‘사람들이 금마초(錦馬超)라 부른 게 허명이 아니었다’며 감탄한다. 장비와 호각지세로 한판 승부를 벌인다. [[이회 (촉한)|이회]]의 설득에 응해 귀순한다. 한중왕으로 등극한 유비가 관우, 장비, [[조운 (촉한)|조운]], 마초, [[황충]]을 [[오호대장군]]에 봉한다.
[[양부]]의 평: 조공(조조)에게 말하길 마초는 [[한신]](韓信), [[영포]](英布)의 용맹을 갖추고 강(羌), 호(胡)의 마음을 심히 얻고 있습니다. 만약 대군(大軍)이 돌아가며 이를 엄히 방비하지 않는다면 농상(隴上)의 여러 군(郡)들은 국가의 소유가 되지 못할 것입니다.”[[출처]]-마초전-
 
== 가계 ==
[[제갈량]]의 평:“맹기(孟起-마초)는 문무를 겸비하고 웅렬(雄烈-굳세고 맹렬함)이 남보다 뛰어난 일세의 호걸로 경포(黥布), 팽월(彭越)과 같은 무리입니다. 응당 익덕(益德-장비)과 말머리를 나란히 해 달리며 선두를 다툴 수있는 자라 평하였다
 
== 마초의 친족관계 ==
[[파일:마등.png]]
*[[아버지]] : [[마등]]
 
**[[동생]] : [[마휴]], [[마철]]
=== 관련 인물 ===
***[[아들]] : 마추(馬秋) - [[첩]] [[동씨]](董氏)와의 자식으로 마초가 입촉할 때 한중에 남았다. 조조가 한중을 정복하면서 동씨는 [[염포 (조위)|염포]]에게, 마추는 장로에게 주었는데 장로가 죽였다.<ref name='마초맨' />
[[마대 (촉한)|마대]] [[마등]] [[마승]] [[마운록]] [[마원 (후한)|마원]] [[마철]] [[마휴]] [[마추]] [[마평]] [[마원]]
***아들 : 마승(馬承) - 오직 후사를 이었다는 기록만이 남았고 나머지는 미상이다.
***[[딸]] : 유비의 아들 안평왕(安平王) [[유리 (촉한)|유리]]에게 [[혼인|시집]]갔다.
 
== 각주 ==
{{각주|2}}
<references/>
 
== 읽을거리참고 문헌 ==
* [[삼국지]]》36권 촉서 제6 마초
*《삼국지》1권 위서 제1 무제 조조
* [[삼국지연의]]
 
{{전임후임
|전임자 = -<br />(촉한 건국)
|후임자 = ?<br />([[이엄230년]]부터 (촉한)|[[이엄]])
|직책 = [[사방장군|좌장군]] → [[촉한]] [[표기장군]]
|임기 = [[221년]] ~ [[222년]]
}}
줄 71 ⟶ 100:
[[분류:176년 태어남]]
[[분류:222년 죽음]]
[[분류:조조병사한 휘하의 장군사람]]
[[분류:유비 휘하의 장군]]
[[분류:삼국지 촉나라의 장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