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분 그래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다른 뜻 넘어옴|쾨니그의 정리|무한 그래프에 대한 정리|쾨니그 보조정리}}
{{다른 뜻 넘어옴|쾨니그의 정리|[[기수 (수학)|기수]]에 대한 정리|쾨니그의 정리 (집합론)}}
[[그림:Complete bipartite graph K3,2.svg|thumb|200px|이분 그래프의 예]]
[[File:Complete bipartite graph K32-001.svg|thumb|2색변 이분 그래프의 예]]
 
[[그래프 이론]]에서, '''이분 그래프'''(二分graph, {{llang|en|bipartite graph}})란 모든 변이 X에 있는 꼭짓점과 Y의 꼭짓점을 잇는 형태로 되도록 꼭짓점의 집합을 두 개의 부분집합 X, Y로 나눌 수 있는 그래프이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그래프의 꼭짓점을 빨강과 파랑으로 색칠하되, 모든 변이 빨강과 파랑 꼭짓점을 포함하도록 색칠할 수 있는 경우 이분 그래프라고 한다[[그래프]]이다.
 
== 정의 ==
줄 18 ⟶ 20:
* 홀수 길이의 [[순환 (그래프 이론)|순환]]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예를 들어 홀수 길이의 [[순환 그래프]]는 이분 그래프가 될 수 없다.
 
=== 쾨니그 정리 ===
[[파일:Koenigs-theorem-graph.svg|thumb|right|쾨니그 정리에 따르면, 이분 그래프에서, [[최대 부합]]의 변(청색) 수는 최소 꼭짓점 덮개의 꼭짓점(적색) 수와 같다.]]
'''쾨니그 정리'''(Kőnig定理, {{llang|en|Kőnig’s theorem}})에 따르면, 이분 그래프의 경우 대한 최소 꼭짓점 덮개 문제와 [[최대 부합]] 문제가 서로 [[동치]]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그래프]] <math>\Gamma</math>의 '''꼭짓점 덮개'''({{llang|en|vertex cover}}) <math>C\subset V(\Gamma)</math>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집합이다.
* 모든 변 <math>e\in E(\Gamma)</math>에 대하여, <math>e</math>와 접하는 <math>c\in C</math>가 존재한다.
'''최소 꼭짓점 덮개'''({{llang|en|minimal vertex cover}})는 포함 관계에 대하여 [[최소 원소]]인 꼭짓점 덮개이다.
 
'''쾨니그 정리'''에 따르면, 유한 이분 그래프 <math>\Gamma</math>의 [[최대 부합]] <math>M\subset E(\Gamma)</math> 및 최소 꼭짓점 덮개 <math>C\subset V(\Gamma)</math>에 대하여,
:<math>|M|=|C|</math>
이다.<ref name="윤영진">{{서적 인용|저자=윤영진|제목=새로운 조합수학|출판사=교우사|날짜=2007|isbn=978-89-8172-379-8|url=http://www.kyowoo.co.kr/02_sub/view.php?p_idx=334|언어=ko}}</ref>{{rp|289}}
 
조합적 집합론에서는 쾨니그 정리를 일반화하는 [[홀 결혼 정리]]가 존재한다. 쾨니그 정리와 홀의 정리 및 [[딜워스의 정리]]는 서로 [[동치]]이다.
 
=== 변별 알고리즘 ===
줄 24 ⟶ 40:
 
== 예 ==
0분 그래프는 공(空)그래프, 즉 (꼭짓점과 변이 없는 그래프) 밖에 없다. 1분 그래프는 이산 그래프 (즉, 아무런 변이 없는 그래프)와 동치인 개념이다.
 
=== 완비 <math>k</math>분 그래프 ===
줄 35 ⟶ 51:
{{본문|데생당팡}}
[[리만 곡면]]에 대하여, 어떤 유한 [[평면 그래프|평면]] 이분 그래프를 대응시킬 수 있다. 이를 '''[[데생당팡]]'''이라고 한다.
 
== 역사 ==
쾨니그 정리는 [[쾨니그 데네시]]<ref>{{저널 인용
| 저자 = Kőnig Dénes | 저자고리=쾨니그 데네시 | 제목 = Gráfok és mátrixok
| journal = Matematikai és Fizikai Lapok
| volume = 38
| 날짜 = 1931
| pages = 116–119 | zbl = 0003.32803 | 언어=hu}}</ref>와 에게르바리 예뇌({{llang|hu|Egerváry Jenő}}, 1891~1958)가 각자 독자적으로 1931년에 증명하였다.
 
== 참고 문헌 ==
{{각주}}
 
== 바깥 고리 ==
* {{eom|title=Graph, bipartite}}
* {{eom|title=König theorem}}
* {{매스월드|id=BipartiteGraph|title=Bipartite graph}}
* {{매스월드|id=BicolorableGraph|title=Bicolorable graph}}
* {{매스월드|id=k-PartiteGraph|title=''k''-partite graph}}
* {{매스월드|id=k-ColorableGraph|title=''k''-colorable graph}}
* {{매스월드|id=CompleteBipartiteGraph|title=Complete bipartite graph}}
* {{매스월드|id=CompleteTripartiteGraph|title=Complete tripartite graph}}
* {{매스월드|id=CompletekPartiteGraph|title=Complete ''k''-partite graph}}
* {{매스월드|id=KoenigsLineColoringTheorem|title=König's Line Coloring Theorem}}
 
* {{매스월드|id=Koenig-EgevaryTheorem|title=König-Egeváry Theorem}}
== 같이 보기 ==
* [[쾨니그의 정리]]
 
[[분류:그래프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