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리아 제2제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78번째 줄:
하지만 불가리아 사회에 정착한 보고밀주의의 근절은 힘들었기 때문에<ref name="주석20"/> 정치적으로 안정된 이반 아센 2세 시대에 이에 대한 탄압은 완화되었다.<ref>クランプトン『ブルガリアの歴史』、38頁</ref> 14세기 들어 보고밀주의는 민중들을 중심으로 확산하였고 다양한 종파가 탄생하였다.<ref name="주석21">森安、今井『ブルガリア 風土と歴史』、147頁</ref> 하지만 이후 이반 알렉산더르 시기의 두차례 종교 회의에서는 보고밀주의 이외에도 유대교 등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탄압하였다.
 
귀족층에서는 14세기 중반 비잔티움 제국에서 제창된 신비주의적 경향의 [[헤시카주의]]가 유행하였다. 헤시카주의은헤시카주의는 정교회의 가르침과 조화를 이루는 점도 있었기 때문에 정교 교리에 편입되어 지배층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ref name="주석22">ディミトロフ、イスーソフ、ショポフ『ブルガリア 1』、109頁</ref> 헤시카주의은헤시카주의는 이단, 부패한 성직자, 로마 교회와의 통합에 대한 비판 수단으로서 기능하고<ref name="주석21"/>, 문학과 예술의 발전에도 공헌했다.<ref name="주석22"/> 불가리아에서는 터르노보의 테오도시와 그의 제자 에브티미가 대표적인 헤시카주의자였다.
 
14세기의 새로운 수도원들은 차르 이반 알렉산더르의 후원 하에 발칸 산맥의 북쪽 경사 지역, 특히 터르노보 근처의 '신성한 숲'으로 알려진 곳에 세워졌다. 제국 내의 많은 수도원들은 불가리아 사회의 문화적, 교육적, 정신적 중심지였다. 수도원의 부속 학교와 대도시에 있는 교회 부속 학교는 성직자와 서기관의 육성을 목적으로 청년층에 대한 읽기 및 쓰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터르노보, 아토스 산 수도원, 콘스탄티노폴리스 등에서 교육 받는 사람도 있어 당시의 불가리아에서 실시 된 교육은 높은 수준에 있었다.<ref name="주석18">ディミトロフ、イスーソフ、ショポフ『ブルガリア 1』、122頁</ref> 현존하는 불가리아 제국의 사본에서 볼수 있는 정교한 서법과 맞춤법은 당시 행해지고 있던 교육의 산물이었다.<ref name="주석19">今井『ブルガリア 風土と歴史』、145頁</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