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처소섭색: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8번째 줄:
제6의식으로 대할 바 경계인 법경(法境)에 속하는 색법(色法). 5근(根)ㆍ5경(境)을 제외하고, 다른 일체 색법을 말함.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逈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ㆍ자재소생색(自在所生色)이 이에 속함."}}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색법]](色法: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물질 (불교)|물질]][色] 즉 [[색온]] 또는 [[색법]]을 크게 [[4대종]](四大種)과 [[4대종]]에 의해 만들어지는 [[소조색]](所造色: 11가지)의 두 그룹으로 분류할 때, 법처소섭색은 [[소조색]] 그룹에 속한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3b19 T31n1605_p0663b19 - T31n1605_p0663b24]. 소조색(所造色)}}{{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4 4 / 159]. 소조색(所造色)}}{{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6a04 T31n1606_p0696a04 - T31n1606_p0696a16]. 소조색(所造色)|ps=<br>"云何建立色蘊。謂諸所有色。若四大種及'''四大種所造'''。所造者。謂以四大種為生依立持養因義。即依五因說名為造。生因者即是起因謂離大種色不起故。依因者即是轉因謂捨大種諸所造色無有功能。據別處故。立因者即隨轉因。由大變異能依造色隨變異故。持因者即是住因。謂由大種諸所造色相似相續生。持令不絕故。養因者即是長因。謂由大種養彼造色令增長故。四大種者。謂地水火風界。地界者堅勁性。水界者流濕性。火界者溫熱性。風界者輕動性。'''所造色'''者。謂眼等五根。色聲香味所觸一分及法處所攝色。"}}{{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9 9-10 / 388]. 소조색(所造色)|ps=<br>"‘색온’은 어떻게 건립하게 됩니까?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물질 (불교)|물질]][色] 즉 [[색온]] 또는 [[색법]]을 크게 [[4대종]](四大種)과 [[4대종]]에 의해 만들어지는 [[소조색]](所造色: 11가지)의 두 그룹으로 분류할 때, 법처소섭색은 [[소조색]] 그룹에 속한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3b19 T31n1605_p0663b19 - T31n1605_p0663b24]. 소조색(所造色)|ps=<br>"云何建立色蘊。謂諸所有色。若四大種及'''四大種所造'''。云何四大種。謂地界水界火界風界。何等地界。謂堅[革*更]性。何等水界。謂流濕性。何等火界。謂溫熱性。何等風界。謂輕等動性。云何'''所造色'''。謂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色聲香味所觸一分。及法處所攝色。"}}{{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4 4 / 159]. 소조색(所造色)|ps=<br>"색온은 어떻게 건립하게 됩니까?
<br>모든 색을 가리키는 것으로 4대종(大種)이나 '''4대종의 소조색(所造色)'''이다.
<br>4대종이란 무엇입니까?
<br>지계(地界)ㆍ수계(水界)ㆍ화계(火界)ㆍ풍계(風界)를 가리킨다.
<br>어떠한 것이 지계입니까?
<br>견고한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수계입니까?
<br>유동적이면서도 축축한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화계입니까?
<br>더운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풍계입니까?
<br>가벼우면서도 움직이는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소조색'''입니까?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물질<br>안근ㆍ이근ㆍ비근ㆍ설근ㆍ신근의 5근(불교)|물질]][色] 즉 [[색온]] 또는 [[색법]]을 크게 [[4대종]](四大種)과 [[4대종]]에색처ㆍ성처ㆍ향처ㆍ미처의 의해4처에 만들어지는접촉 [[소조색]](所造色:받는 11가지)의 두 그룹으로 분류할 때, 법처소섭색은 [[소조색]] 그룹에 속한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3b19 T31n1605_p0663b19 - T31n1605_p0663b24].일부분과 소조색법처소섭색(法處色)}}{{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가리킨다.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4 4 / 159]. 소조색(所造色)"}}{{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6a04 T31n1606_p0696a04 - T31n1606_p0696a16]. 소조색(所造色)|ps=<br>"云何建立色蘊。謂諸所有色。若四大種及'''四大種所造'''。所造者。謂以四大種為生依立持養因義。即依五因說名為造。生因者即是起因謂離大種色不起故。依因者即是轉因謂捨大種諸所造色無有功能。據別處故。立因者即隨轉因。由大變異能依造色隨變異故。持因者即是住因。謂由大種諸所造色相似相續生。持令不絕故。養因者即是長因。謂由大種養彼造色令增長故。四大種者。謂地水火風界。地界者堅勁性。水界者流濕性。火界者溫熱性。風界者輕動性。'''所造色'''者。謂眼等五根。色聲香味所觸一分及法處所攝色。"}}{{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9 9-10 / 388]. 소조색(所造色)|ps=<br>"‘색온’은 어떻게 건립하게 됩니까?
<br>모든 색을 가리키는 것으로, 네 가지 대종(大種)이나 '''네 가지 대종의 소조색(所造色)'''이다.
<br>[釋] ‘소조’란 네 가지 대종으로서 생인(生因)ㆍ의인(依因)ㆍ입인(立因)ㆍ지인(持因)ㆍ양인(養因)으로 삼는 이치이다. 바로 다섯 가지 원인에 의지하기에 이를 해설하여 ‘소조’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생인’이란 바로 이것이 일어나게 하는 원인이니, 대종색(大種色)을 여의고서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의인’이란 바로 이것이 전향되는 원인이니, 대종의 여러 소조색을 버리고서는 어떠한 공용도 없기에 다른 처소에 의거하기 때문이다. ‘입인’이란 이것이 전향하는 바에 수반되는 원인이니, 대종의 변이에 연유하여 능히 소조색에 의지하여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지인’이란 이것이 머무르는 원인이니, 대종에 연유해서 여러 소조색의 모양이 비슷하게 상속되어 생겨나되 이를 지속시켜 끊어지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양인’이란 이것을 키우는 원인이니, 대종에 연유해서 그같이 만들어진 색을 기르고 증장시키기 때문이다.
줄 55 ⟶ 71:
<br>안근ㆍ이근ㆍ비근ㆍ설근ㆍ신근의 5근(根)과 색처ㆍ성처ㆍ향처ㆍ미처의 4처에 접촉받는 일부분과 법처(法處)에 포섭되는 색을 가리키는 것이다."}}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법처에 속한 색'으로, [[12처]]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말하는 [[법처]](法處)에 속하는 [[물질 (불교)|물질]]을 말한다. 즉, [[6경]](六境) 가운데 [[색경 (불교)|색]]{{.cw}}[[오경 (불교)#성경|성]]{{.cw}}[[오경 (불교)#향경|향]]{{.cw}}[[오경 (불교)#미경|미]]{{.cw}}[[촉 (불교)|촉]]의 [[오경 (불교)|5경]](五境)에 속하지 않고 6번째의 [[법계 (불교)|법경]](法境)에 속하는 [[물질 (불교)|물질]][色]을 말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899544&categoryId=2886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星雲|locps=<br>"[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C%B2%98%EC%86%8C%EC%84%AD%EC%83%89&rowno=1 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2013년 2월 27일에 확인}}
<br>약어: 법처색(法處色)
<br>십이처(十二處) 가운데 의식의 대상인 법처(法處)에 속하는 현상으로서, 감각되지 않는 작용이나 힘, 또는 내면에 새겨져 있는 잠재력."}}{{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C%B2%98%EC%86%8C%EC%84%AD%EC%83%89&rowno=1 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제6의식으로 대할 바 경계인 법경(法境)에 속하는 색법(色法). 5근(根)ㆍ5경(境)을 제외하고, 다른 일체 색법을 말함.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逈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ㆍ자재소생색(自在所生色)이 이에 속함."}}
 
'''타법처색'''(墮法處色)이라고도 하며 약칭하여 '''법처색'''(法處色)이라고도 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899544&categoryId=2886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星雲|locps=<br>"[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
<br>약어: 법처색(法處色)
<br>십이처(十二處) 가운데 의식의 대상인 법처(法處)에 속하는 현상으로서, 감각되지 않는 작용이나 힘, 또는 내면에 새겨져 있는 잠재력."}}{{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법처소섭색으로는 '''극략색'''(極略色){{.cw}}'''극형색'''(極迥色){{.cw}}'''수소인색'''(受所引色){{.cw}}'''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cw}}'''정자재소생색'''(定自在所生色)의 5가지가 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C%B2%98%EC%86%8C%EC%84%AD%EC%83%89&rowno=1 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3c15 T31n1605_p0663c15 - T31n1605_p0663c17].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ps=<br>"何等法處所攝色。有五種應知謂極略色。極迥色。受所引色。遍計所起。色定自在所生色。"}}{{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6 6 / 159].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ps=<br>"어떠한 것이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입니까?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C%B2%98%EC%86%8C%EC%84%AD%EC%83%89&rowno=1 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제6의식으로 대할 바 경계인 법경(法境)에 속하는 색법(色法). 5근(根)ㆍ5경(境)을 제외하고, 다른 일체 색법을 말함.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逈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ㆍ자재소생색(自在所生色)이 이에 속함."}}{{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3c15 T31n1605_p0663c15 - T31n1605_p0663c17].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ps=<br>"何等法處所攝色。有五種應知謂極略色。極迥色。受所引色。遍計所起。色定自在所生色。"}}{{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6 6 / 159].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ps=<br>"어떠한 것이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입니까?
<br>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다섯 종류의 색이 있으니,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逈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ㆍ정자재소생색(定自在所生色)을 가리킨다."}}{{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6b27 T31n1606_p0696b27 - T31n1606_p0696c03].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ps=<br>"法處所攝色者。略有五種。謂極略色.極迥色.受所引色.遍計所起色.自在所生色。極略色者。謂極微色。極迥色者。謂即此離餘礙觸色。受所引色者。謂無表色。遍計所起色者。謂影像色。自在所生色者。謂解脫靜慮所行境色。"}}{{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6 6 / 388].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ps=<br>"어떠한 것이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입니까?
<br>간략하게 다섯 종류의 색이 있으니,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界所起色)ㆍ자재소생색(自在所生色)을 가리킨다.
줄 66 ⟶ 97:
==개요==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법처에 속한 색'으로, [[12처]]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말하는 [[법처]](法處)에 속하는 [[물질 (불교)|물질]]을 말한다. 즉, [[6경]](六境) 가운데 [[색경 (불교)|색]]{{.cw}}[[오경 (불교)#성경|성]]{{.cw}}[[오경 (불교)#향경|향]]{{.cw}}[[오경 (불교)#미경|미]]{{.cw}}[[촉 (불교)|촉]]의 [[오경 (불교)|5경]](五境)에 속하지 않고 6번째의 [[법계 (불교)|법경]](法境)에 속하는 [[물질 (불교)|물질]][色]을 말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899544&categoryId=2886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星雲|locps=<br>"[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C%B2%98%EC%86%8C%EC%84%AD%EC%83%89&rowno=1 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2013년 2월 27일에 확인}}
<br>약어: 법처색(法處色)
<br>십이처(十二處) 가운데 의식의 대상인 법처(法處)에 속하는 현상으로서, 감각되지 않는 작용이나 힘, 또는 내면에 새겨져 있는 잠재력."}}{{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C%B2%98%EC%86%8C%EC%84%AD%EC%83%89&rowno=1 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제6의식으로 대할 바 경계인 법경(法境)에 속하는 색법(色法). 5근(根)ㆍ5경(境)을 제외하고, 다른 일체 색법을 말함.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逈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ㆍ자재소생색(自在所生色)이 이에 속함."}}
 
[[법처]] 또는 [[법계 (불교)|법경]]에 속하는 법들은 모두 [[제6의식]]을 비롯한 [[후3식]]에 의해 [[심의식#식: 요별|인식]]되는 [[법 (불교)|법]]들이므로, 법처소섭색은 [[육식|안식]] 등의 [[전5식]]에 의해 [[심의식#식: 요별|인식]]되지 않고 [[제6의식]] 등의 [[후3식]]에 의해 [[심의식#식: 요별|인식]]되는 [[법 (불교)|법]]들, 그 중에서 특히 [[물질 (불교)|물질]]적인 법들이다. 말하자면 '정신적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뒤집어서 이야기 하자면, 법처소섭색은 [[5위 100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마음 (불교)|마음]][心法]{{.cw}}[[마음작용]][心所法]{{.cw}}[[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cw}}[[무위법]][無爲法]의 4가지 그룹[位] 가운데 그 어디에도 소속시킬 수 없는 [[법 (불교)|법]]이라는 성격을 가진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899544&categoryId=2886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星雲|locps=<br>"[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C%B2%98%EC%86%8C%EC%84%AD%EC%83%89&rowno=1 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2013년 2월 27일에 확인}}
<br>약어: 법처색(法處色)
<br>십이처(十二處) 가운데 의식의 대상인 법처(法處)에 속하는 현상으로서, 감각되지 않는 작용이나 힘, 또는 내면에 새겨져 있는 잠재력."}}{{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C%B2%98%EC%86%8C%EC%84%AD%EC%83%89&rowno=1 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법처소섭색):
제6의식으로 대할 바 경계인 법경(法境)에 속하는 색법(色法). 5근(根)ㆍ5경(境)을 제외하고, 다른 일체 색법을 말함.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逈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ㆍ자재소생색(自在所生色)이 이에 속함."}}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를 비롯한 불교 일반의 물질론에서 [[색법]](色法) 즉 [[색온]](色蘊) 즉 [[물질 (불교)|물질]][色]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크게 [[4대종]](四大種)과 [[4대종]]에 의해 만들어지는 [[소조색]](所造色)의 두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류에 따를 때,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물질론에서 법처소섭색은 [[4대종]]에 의해 만들어진 11종의 물질로 구성된 [[소조색]] 그룹에 속한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3b19 T31n1605_p0663b19 - T31n1605_p0663b24]. 소조색(所造色)|ps=<br>"云何建立色蘊。謂諸所有色。若四大種及'''四大種所造'''。云何四大種。謂地界水界火界風界。何等地界。謂堅[革*更]性。何等水界。謂流濕性。何等火界。謂溫熱性。何等風界。謂輕等動性。云何'''所造色'''。謂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色聲香味所觸一分。及法處所攝色。"}}{{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4 4 / 159]. 소조색(所造色)}}{{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ps=제1권.<br>"색온은 p.어떻게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6a04건립하게 T31n1606_p0696a04 - T31n1606_p0696a16]. 소조색(所造色)}}{{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됩니까?bookNum=1365&startNum=9 9-10 / 388]. 소조색(所造色)}} 즉, 법처소섭색은 [[4대종]]을 구성원소로 하여 만들어지는 [[물질 (불교)|물질]][色], 즉 [[물질적 사물]]이다. 달리 말해, [[마음 (불교)|마음]]과 [[마음작용]] 가운데 하나이거나 이들을 구성요소로 하여 생겨나는 [[믿음 (불교)|믿음]]{{.cw}}[[자비]]{{.cw}}[[불신]]{{.cw}}[[불교 용어 목록/ㅂ#분|분노]] 등과 같은 [[정신적 사물]][名]이 아니다.
<br>모든 색을 가리키는 것으로 4대종(大種)이나 '''4대종의 소조색(所造色)'''이다.
<br>4대종이란 무엇입니까?
<br>지계(地界)ㆍ수계(水界)ㆍ화계(火界)ㆍ풍계(風界)를 가리킨다.
<br>어떠한 것이 지계입니까?
<br>견고한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수계입니까?
<br>유동적이면서도 축축한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화계입니까?
<br>더운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풍계입니까?
<br>가벼우면서도 움직이는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소조색'''입니까?
<br>안근ㆍ이근ㆍ비근ㆍ설근ㆍ신근의 5근(根)과 색처ㆍ성처ㆍ향처ㆍ미처의 4처에 접촉 받는 일부분과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을 가리킨다."}}{{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6a04 T31n1606_p0696a04 - T31n1606_p0696a16]. 소조색(所造色)|ps=<br>"云何建立色蘊。謂諸所有色。若四大種及'''四大種所造'''。所造者。謂以四大種為生依立持養因義。即依五因說名為造。生因者即是起因謂離大種色不起故。依因者即是轉因謂捨大種諸所造色無有功能。據別處故。立因者即隨轉因。由大變異能依造色隨變異故。持因者即是住因。謂由大種諸所造色相似相續生。持令不絕故。養因者即是長因。謂由大種養彼造色令增長故。四大種者。謂地水火風界。地界者堅勁性。水界者流濕性。火界者溫熱性。風界者輕動性。'''所造色'''者。謂眼等五根。色聲香味所觸一分及法處所攝色。"}}{{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9 9-10 / 388]. 소조색(所造色)|ps=<br>"‘색온’은 어떻게 건립하게 됩니까?
<br>모든 색을 가리키는 것으로, 네 가지 대종(大種)이나 '''네 가지 대종의 소조색(所造色)'''이다.
<br>[釋] ‘소조’란 네 가지 대종으로서 생인(生因)ㆍ의인(依因)ㆍ입인(立因)ㆍ지인(持因)ㆍ양인(養因)으로 삼는 이치이다. 바로 다섯 가지 원인에 의지하기에 이를 해설하여 ‘소조’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생인’이란 바로 이것이 일어나게 하는 원인이니, 대종색(大種色)을 여의고서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의인’이란 바로 이것이 전향되는 원인이니, 대종의 여러 소조색을 버리고서는 어떠한 공용도 없기에 다른 처소에 의거하기 때문이다. ‘입인’이란 이것이 전향하는 바에 수반되는 원인이니, 대종의 변이에 연유하여 능히 소조색에 의지하여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지인’이란 이것이 머무르는 원인이니, 대종에 연유해서 여러 소조색의 모양이 비슷하게 상속되어 생겨나되 이를 지속시켜 끊어지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양인’이란 이것을 키우는 원인이니, 대종에 연유해서 그같이 만들어진 색을 기르고 증장시키기 때문이다.
<br>‘네 가지 대종’이란 무엇입니까?
<br>지계(地界)ㆍ수계(水界)ㆍ화계(火界)ㆍ풍계(風界)를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지계’입니까?
<br>견고한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수계’입니까?
<br>유동적이면서도 축축한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화계’입니까?
<br>더운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풍계’입니까?
<br>가벼우면서도 움직이는 성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br>어떠한 것이 ‘'''만들어진 색[所造色]'''’입니까?
<br>안근ㆍ이근ㆍ비근ㆍ설근ㆍ신근의 5근(根)과 색처ㆍ성처ㆍ향처ㆍ미처의 4처에 접촉받는 일부분과 법처(法處)에 포섭되는 색을 가리키는 것이다."}} 즉, 법처소섭색은 [[4대종]]을 구성원소로 하여 만들어지는 [[물질 (불교)|물질]][色], 즉 [[물질적 사물]]이다. 달리 말해, [[마음 (불교)|마음]]과 [[마음작용]] 가운데 하나이거나 이들을 구성요소로 하여 생겨나는 [[믿음 (불교)|믿음]]{{.cw}}[[자비]]{{.cw}}[[불신]]{{.cw}}[[불교 용어 목록/ㅂ#분|분노]] 등과 같은 [[정신적 사물]][名]이 아니다.
 
==용어==
줄 77 ⟶ 147: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이라는 낱말에서의 [[법처]](法處)는 [[12처]]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의 [[법처]]를 말하는 것으로, [[6경]](六境)에서의 [[법계 (불교)|법경]](法境)에 해당한다. 따라서 법경소섭색이라고 해도 될 텐데, 굳이 법처소섭색이라고 하는데는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경]](境)과 [[불교 용어 목록/ㅊ#처|처]](處)의 뜻[義]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법처소섭색에 속한 5가지 [[색 (불교)|색]]인 [[극략색]]{{.cw}}[[극형색]]{{.cw}}[[수소인색]]{{.cw}}[[변계소기색]]{{.cw}}[[정자재소생색]]에는 [[불교 용어 목록/ㅊ#처|처]](處)의 뜻이 있기 때문에 특별히 법처소섭색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경]](境)은 [[불교 용어 목록/구#근|근]](根)의 객관적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 또는 [[경계|세력범위]]라는 뜻[義]을 가지는데, 따라서, [[법계 (불교)|법경]](法境)이라는 낱말은 주관인 [[의근]](意根)의 객관적 대상 또는 세력범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즉 '법경소섭색'이라고 한다면, [[극략색]]{{.cw}}[[극형색]]{{.cw}}[[수소인색]]{{.cw}}[[변계소기색]]{{.cw}}[[정자재소생색]]이 [[의근]]의 대상 또는 세력범위라는 것을 특히 강조하는 표현이 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
 
이에 비해 [[불교 용어 목록/ㅊ#처|처]](處)는 생장문(生長門)이라는 뜻[義]을 가지는데, 생장문이란 [[불교 용어 목록/ㅊ#처|처]](處)가 [[마음 (불교)|마음]]과 [[마음작용]]의 작용(作用)이 생겨나게[生] 하고 또한 그 작용을 증장시키는[長] '역할을 한다[門: 방도, 방법<ref>"[http://hanja.naver.com/search?query=%E9%96%80 門]",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3월 2일에 확인.<br>"門: 문 문
<br>1. 문 2. 집안 3. 문벌(門閥) 4. 동문(同門) 5. 전문 6. 방법(方法) 7. 방도(方道ㆍ方途) 8. 가지 9. 과목(科目) 10. 부문(部門) 11. 종류(種類) 12. 분류 13. 비결(祕訣) 14. 요령"</ref>]'는 의미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05a02 T29n1558_p0005a02 - T29n1558_p0005a04]. 처(處)의 뜻: 생장문(生長門)|ps=<br>"心心所法生長門義是處義。訓釋詞者。謂能生長心心所法故名為處。是能生長彼作用義。"}}{{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7 37 / 1397]. 처(處)의 뜻: 생장문(生長門)|ps=<br>"심(心)·심소법(心所法)이 생장(生長)하게 되는 문(門, ya-dvara)의 뜻, 이것이 바로 '처(處, ayatana)'의 뜻이다. 즉 이 말을 해석하면, 능히 심과 심소법을 생장시키기 때문에 이를 일컬어 '처'라고 하였으니, 이는 바로 능히 그러한 심·심소법의 작용을 생장시킨다는 뜻이다."}} 따라서, [[극략색]]{{.cw}}[[극형색]]{{.cw}}[[수소인색]]{{.cw}}[[변계소기색]]{{.cw}}[[정자재소생색]]을 5가지 '법처소섭색'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들 5가지 색이 [[마음 (불교)|마음]]과 [[마음작용]]의 작용(作用)이 생겨나고 증장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특히 강조하는 표현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2월 27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
 
==5가지 법처소섭색==
줄 100 ⟶ 176:
|4=《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1권.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6b28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6 한글본]}}
 
[[설일체유부]]에서는 [[극략색]] 즉 [[극미]]가 [[색 (불교)|색]]을 나눔이 그 극한에 이른 것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안근|안근]]을 [[소의]]로 하여 [[육식|안식]]이 [[심의식#식: 요별|인식]]하는 [[법 (불교)|법]]이라고 보며, 따라서 [[색처]](色處) 즉 [[색경 (불교)|색경]](色境)에 속한 실색(實色) 즉 실재하는 물질이라고 본다. 즉, [[설일체유부]]에서는 [[극미]]가 여전히 [[물질 (불교)|물질]][色 또는 身]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시각]]의 실재하는 [[대상]]이라고 본다. 이에 비해 [[유식유가행파]]에서는 [[극략색]] 즉 [[극미]]는 [[색 (불교)|색]]을 나눔이 그 극한에 이르러서는 [[물질 (불교)|물질]]의 영역을 넘어 [[마음 (불교)|정신]][名 또는 心]의 영역에 속하게 된 어떤 [[법 (불교)|법]]이라고 보며 따라서 실색(實色) 즉 실재하는 물질이 아니며 가색(假色) 즉 [[가립]]된 물질이며 [[의근]]을 [[소의]]로 하여 [[제6의식]]이 [[심의식#식: 요별|인식]]하는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인 [[법처]](法處) 즉 [[법계 (불교)|법경]](法境)에 소속된다고 본다. 즉, [[유식유가행파]]에서는 [[극미]]가 [[마음 (불교)|정신]][名 또는 心]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따라서 [[의식]]의 [[대상]]이라고 본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897537&categoryId=2886 극략색(極略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sfn|星雲|locps=<br>"[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083&DTITLE=%B7%A5%B2%A4%A6%E2 극략색(極略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A5%B5%E7%95%A5%E8%89%B2&rowno=1 極略色(극략색)]". 2013년 3월 2일에 확인}}
더 나눌 수 없는 지극히 작은 대상의 상태. 이를 구사론에서는 시각의 대상으로 간주하지만, 유식설에서는 의식의 대상으로 간주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083&DTITLE=%B7%A5%B2%A4%A6%E2 極略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極略色:
 為唯識宗所說「法處所攝色」五種之一。指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之實色而令至物質之最小單位「極微」者。小乘有部立之為實物,謂其攝於眼識所緣之色處;然大乘唯識宗則以之為假想上之分析,而謂其攝於意識所緣之法處。〔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大乘義林章卷五末〕(參閱「法處所攝色」 3389) p5479"}}{{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A5%B5%E7%95%A5%E8%89%B2&rowno=1 極略色(극략색)]".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極略色(극략색):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5종의 하나. 5근(根)ㆍ5경(境) 등의 실색(實色)을 세밀하게 나누어 다시 더 나눌 수 없는 데에 이른 것을 말함. 곧 극미(極微). 소승 유종부(有宗部)에서는 이를 실물(實物)이라 하여 안식(眼識)으로 반연하는 색처(色處)에 소속시키고, 대승 유식종(唯識宗)에서는 이를 가상(假想)의 분석이라 하여 의식으로 반연하는 법처(法處)에 소속시킨다."}}
 
===극형색===
줄 122 ⟶ 201:
<div style="clear: left;"></div>
 
[[설일체유부]]에서는 [[극형색]] 즉 [[극미]]의 상태의 [[현색]]은 [[색 (불교)|색]]을 나눔이 그 극한에 이른 것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안근|안근]]을 [[소의]]로 하여 [[육식|안식]]이 [[심의식#식: 요별|인식]]하는 [[법 (불교)|법]]이라고 보며, 따라서 [[색처]](色處) 즉 [[색경 (불교)|색경]](色境)에 속한 실색(實色) 즉 실재하는 물질이라고 본다. 즉, [[설일체유부]]에서는 [[극형색]] 즉 [[극미]]의 상태의 [[현색]]이 여전히 [[물질 (불교)|물질]][色 또는 身]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시각]]의 실재하는 [[대상]]이라고 본다. 이에 비해 [[유식유가행파]]에서는 [[극형색]] 즉 [[극미]]의 상태의 [[현색]]이 [[색 (불교)|색]]을 나눔이 그 극한에 이르러서는 [[물질 (불교)|물질]]의 영역을 넘어 [[마음 (불교)|정신]][名 또는 心]의 영역에 속하게 된 어떤 [[법 (불교)|법]]이라고 보며 따라서 실색(實色) 즉 실재하는 물질이 아니며 가색(假色) 즉 [[가립]]된 물질이며 [[의근]]을 [[소의]]로 하여 [[제6의식]]이 [[심의식#식: 요별|인식]]하는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인 [[법처]](法處) 즉 [[법계 (불교)|법경]](法境)에 소속된다고 본다. 즉, [[유식유가행파]]에서는 [[극형색]] 즉 [[극미]]의 상태의 [[현색]]이 [[마음 (불교)|정신]][名 또는 心]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따라서 [[의식]]의 [[대상]]이라고 본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085&DTITLE=%B7%A5%AD~%A6%E2 極迥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sfn|운허|locps=<br>"[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7%B9%ED%98%95%EC%83%89&rowno=1 (극형색)]". 2013년 3월 2일에 확인}}:
 為唯識宗所說「法處所攝色」五種之一。指分析虛空、青、黃等不具質礙性之顯色及明、闇、光、影等空界色而令至物質之最小單位「極微」者。除一切有形之物質外,吾人所見空漠之明、闇等,稱為空界之色;此色至遠,故稱迥色;分析此至遠之空界色至於極遠,稱為極迥色。此極迥色非為眼識之所對,而為意識之所緣,故於十二處中不攝於色處而攝於法處。〔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大乘義林章卷五末〕(參閱「法處所攝色」3389) p5478"}}{{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7%B9%ED%98%95%EC%83%89&rowno=1 極逈色(극형색)]".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極逈色(극형색):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5종의 하나. 온갖 형상 있는 물질을 제하고, 그밖에 비고 까마득한 밝은 것ㆍ어두운 것ㆍ빛ㆍ그림자 등을 보는 것을 공계색(空界色)이라 하고, 이 공계색을 분석하여 극미(極微)에 이른 것을 말한다. 이 극형색은 안식(眼識)으로 대할 경계가 아니고, 의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므로 12처(處) 중에서 색처(色處)에 속하지 않고 법처(法處)에 속한다."}}
 
===수소인색===
줄 152 ⟶ 233:
<br>동의어: 무교색, 무작색(無作色)"}}
 
이와 같이 [[설일체유부]]에서는 [[무표색]]을 [[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형성되는 [[색 (불교)|색]]이라고 보기 때문에, [[무표색]]은 실색(實色) 즉 실재하는 [[색 (불교)|색]]이라고 본다. 즉 [[무표색]]을 [[실법]](實法)이라고 본다. 이에 비해,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무표색]] 즉 [[수소인색]]이란 강력한 [[불교 용어 목록/ㅅ#사(思)|사]](思)의 [[마음작용]]에 의해 일어난, 즉 강한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의지]]에 의해 일어난,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한 것이건 혹은 [[악 (3성)|악]]한 것이건, [[구업]](口業) 또는 [[신업]](身業)의 행위가 있을 때 그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의지]]와 [[불교 용어 목록/삼#삼업|행위]]가 [[아뢰야식]]에 [[훈습]]되어 새로이 생겨나는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나 혹은 그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의지]]와 [[불교 용어 목록/삼#삼업|행위]]의 [[훈습]]에 의해 세력이 증장되는 기존의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를 마치 신체 내에 형성된 어떤 실재하는 [[법 (불교)|법]]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무표색]] 즉 [[수소인색]]을 [[가법]](假法)이라고 본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 法處所攝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87&DTITLE=%B5L%AA%ED%A6%E2 無表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無表色:
 梵語 avijñapti-rūpa。又作無表業、無作色、假色。或單稱無表、無作、無教。為「表色」、「表業」之對稱。俱舍七十五法之一。即於身中恆轉相續,具有防非止惡或與之相反的障妨善德之功能,而又為不可見,且無障礙性之色法。此為小乘說一切有部之宗義,即認為無表色係以身業與口業為緣,生於吾人身內的一種無形色法;以其具有防非或妨善之功能,故以之為受戒之體;然因不顯於外,故稱無表;又以其乃身內之地、水、火、風等四大所生,故謂之色;然雖屬色法,卻不如其他色法之具有可見性、物質性、障礙性等。入阿毘達磨論卷上(大二八‧九八一上):「無表色者,謂能自表諸心心所轉變差別,故名為表;與彼同類而不能表,故名無表。」<br>
 又說一切有部以無表色皆由四大種所造,故為實色,含攝於十一種色之中。俱舍宗之看法類似,認為無表色係由四大種所造,以色業為性,故名為色;然非由「極微」所成,無見無對,故與五根五境等之色法相異。成實家則以之為非色非心,攝於不相應行蘊。經量部及大乘唯識家不認其為實有,於強勝之思的心所所發善惡表業而薰成之種子上假立。又菩薩瓔珞本業經等以心法為戒體,故不別立無表色。其他古來異說甚多。<br>
 據俱舍論卷十三、卷十四載,無表色之類別有三:與善心等起之無表色,稱為律儀,能遮滅惡戒之相續;與不善心等起之無表色,稱為不律儀,能遮滅善戒之相續;又非此二者,稱為非律儀非不律儀。<br>
 (一)律儀又可分為三種:(1)別解脫律儀,為欲界之戒,即由作禮乞戒之身表業、語表業所得之無表業,共有比丘、比丘尼、正學、勤策、勤策女、近事、近事女、近住等八種律儀。各以盡形壽或一日一夜為要期,隨僧伽等受得五戒、八戒、十戒、具足戒等戒。因受戒之初剎那,表色、無表色各別棄捨諸惡,故稱別解脫,又稱根本業道;第二念以後,唯有無表色相似相續,故特稱為別解脫律儀或後起。俱舍論卷十四(大二九‧七三上):「謂受戒時,初表、無表,別別棄捨種種惡,故依初別捨義,立別解脫名,即於爾時所作究竟,依業暢義,立業道名;(中略)從第二念乃至未捨,不名別解脫,名別解律儀;不名業道,名為後起。」(2)靜慮律儀,為色界之戒,乃由靜慮地之心所得之無表色。(3)無漏律儀,即所謂之無漏戒,亦即已得「無漏」之聖者所成就之無表色。上記三種律儀中,靜慮律儀與無漏律儀皆與心共生滅,故為隨心轉之戒。<br>
 (二)不律儀,又稱惡律儀,即生於不律儀之家,依其家法,行殺生等惡法時所生起之無表色;或生於餘家,為求活命,發殺生業等之誓心所生起之無表色。此種惡律儀具有妨善止善之作用。<br>
 (三)非律儀非不律儀,又稱處中,即非如律儀受「五、八、十、具」等戒,亦非如不律儀以活命為要期而生惡戒,但由用或重行等而得之無表色,其體不生善或不善者。〔大毘婆沙論卷一四○、俱舍論卷一、順正理論卷二、成實論卷八「九業品」、品類足論卷一、大乘義章卷七〕 p5097"}}
 
===변계소기색===
줄 236 ⟶ 323:
==참고 문헌==
 
* {{서적 인용|ref=harv|저자=곽철환|제목=[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서적 인용|ref=harv|저자=남수영|제목=인도철학 제7집|장='유식이십론'의 극미설 비판|출판사=인도철학회. 민족사|연도=1998}}
* {{서적 인용|ref=harv|저자=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연도=K.572, T.1605|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1 대승아비달마집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2(16-157), T.1605(31-663)}}
*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 아비달마구사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 {{서적 인용|ref=harv|저자=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연도=K.576, T.1605|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1 대승아비달마잡집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6(16-228), T.1606(31-694)}}
* {{서적 인용|ref=harv|저자=오형근|제목=불교학보 제26집|장=부파불교의 물질론 연구(I)|연도=1988|출판사=동대불교문화연구원}}
* {{서적 인용|ref=harv|저자=오형근|제목=불교학보|장=부파불교의 물질론 연구(II)|연도=1990|출판사=동대불교문화연구원}}
* {{서적 인용|ref=harv|저자=운허|제목=[http://buddha.dongguk.edu/bs_list.aspx?type=fromto&from=%EA%B0%80&to=%EB%82%98&pageno=1 불교 사전]|편집자=동국역경원 편집}}
* {{서적 인용|ref=harv|저자=최봉수|제목=불교학보|장=색온에서의 색의 의미 - 구사론과 청정도론의 색온론을 비교하여|연도=1999}}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무착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1/1605_001.htm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605, CBETA|연도=T.1605}}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佛門網|제목=[http://dictionary.buddhistdoor.com/ 佛學辭典(불학사전)]}}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星雲|제목=[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htm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판=3판}}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우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normal/T26/1542_001.htm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6, No. 1542, CBETA|연도=T.1542}}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normal/T29/1558_001.htm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9, No. 1558, CBETA|연도=T.1558}}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안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1/1606_001.htm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606, CBETA|연도=T.1606}}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