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번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俱舍宗主張枝末煩惱共有十九種,乃大煩惱地法中之放逸、懈怠、不信、昏沉、掉舉(癡除外);大不善地法之無慚、無愧;小煩惱地法之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等。唯識宗則在十九種中除去不定地法(二),而在大煩惱地法加入失念、散亂、不正知(三);以上共為二十種,稱二十隨煩惱。復次,大煩惱地法又稱大隨煩惱(大隨惑)、大不善地法稱中隨煩惱(中隨惑)、小煩惱地法稱小隨煩惱(小隨惑)。〔俱舍論卷十九、卷二十、成唯識論卷六、瑜伽師地論卷六十六〕(參閱「見惑」2997、「煩惱」5515) p4135"}}
 
이들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 즉 6가지 [[번뇌]](煩惱)들은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된다는 뜻에서 '''근본번뇌'''(根本煩惱) 또는 '''[[수면 (불교)|수면]]'''(隨眠)이라고 하며, 이들 6가지를 '''6근본번뇌'''(六根本煩惱) 또는 '''[[6수면]]'''(六隨眠)이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7%BC%EB%B3%B8%EB%B2%88%EB%87%8C&rowno=1 根本煩惱(근본번뇌)]".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곽철환|2003|locps=<br>"[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7555&categoryId=2886 근본번뇌(根本煩惱(근본번뇌)]".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16&DTITLE=%C0H%AFv 隨眠]". 2013년 3월 15일에 확인|ps=<br>"隨眠:
↔수번뇌(隨煩惱). 또는 본번뇌(本煩惱)ㆍ근본혹(根本惑)ㆍ본혹(本惑). 모든 번뇌 가운데서 그 근본이고 자체인 6종의 번뇌. 탐(貪)ㆍ진(瞋)ㆍ치(痴)ㆍ만(慢)ㆍ의(疑)ㆍ악견(惡見)을 말한다. 이 가운데서 악견을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의 5견으로 나누어, 모두 10번뇌를 10사(使)라고도 하며, 처음 5번뇌를 5둔사(鈍使), 뒤의 5번뇌인 5견을 5리사(利使)라 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7555&categoryId=2886 근본번뇌(根本煩惱)]".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ps=<br>"근본번뇌(根本煩惱):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되는 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을 말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16&DTITLE=%C0H%AFv 隨眠]". 2013년 3월 15일에 확인|ps=<br>"隨眠:
 梵語 anuśaya,巴利語 anusaya。為煩惱之異名。煩惱隨逐我人,令入昏昧沈重之狀態;其活動狀態微細難知,與對境及相應之心、心所相互影響而增強(隨增),以其束縛(隨縛)我人,故稱為隨眠。此有貪、瞋、慢、無明(癡)、見(惡見)、疑等六種,稱為六隨眠(六根本煩惱)。其中,貪復分為欲貪與有貪,稱為七隨眠;見分為身、邊執、邪、見取、戒禁取等五見,稱為十隨眠。此外,以此更加細分,則有九十八隨眠。<br>
 關於隨眠之體另有異說,說一切有部認為貪等煩惱即隨眠,屬於心相應之法;大眾部、化地部等認為現起之煩惱稱為纏,另外稱熏成種子之法為隨眠,與心不相應;經部認為煩惱於覺醒活動之位為纏,對此,煩惱為眠伏狀態之種子稱為隨眠,為非心相應亦非不相應。於唯識宗,不承認煩惱即隨眠之說,蓋隨眠為煩惱之習氣,即指種子而言。此煩惱之種子隨逐我人,眠伏潛在於阿賴耶識。〔大毘婆沙論卷五十、俱舍論卷十九、卷二十、發智論卷三、品類足論卷三、成唯識論卷九、瑜伽師地論卷五十九、卷八十九〕 p6351"}} 또한 6근본번뇌외에 [[유식유가행파]]의 소의 논서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제66권에서는 [[탐|탐]](貪){{.cw}}[[진 (불교)|진]](瞋){{.cw}}[[무명 (불교)|치]](癡)를 '''3근본번뇌''' 또는 '''3종근본번뇌'''(三種根本煩惱)라고 칭하고 있다.{{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6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663c15 T30n1579_p0663c15 - T30n1579_p0663c16]. 3가지 근본번뇌|ps=<br />"是故雖有眾多煩惱及隨煩惱。然佛世尊但立三種根本煩惱。謂貪瞋癡。"}}
 
근본번뇌는 '''본번뇌'''(本煩惱), '''근본혹'''(根本惑) 또는 '''본혹'''(本惑)이라고도 하며, '근본번뇌'라는 말을 줄여서 그냥 '''[[번뇌]]'''(煩惱)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7%BC%EB%B3%B8%EB%B2%88%EB%87%8C&rowno=1 根本煩惱(근본번뇌)]".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723&DTITLE=%AE%DA%A5%BB%B7%D0%B4o 根本煩惱]".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그리고, 근본번뇌로부터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수번뇌]](隨煩惱)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1 隨煩惱(수번뇌)]". 2013년 3월 16일에 확인|ps=<br>"根本煩惱(수번뇌근본번뇌):
↔수번뇌(隨煩惱). 또는 본번뇌(本煩惱)ㆍ근본혹(根本惑)ㆍ본혹(本惑). 모든 번뇌 가운데서 그 근본이고 자체인 6종의 번뇌. 탐(貪)ㆍ진(瞋)ㆍ치(痴)ㆍ만(慢)ㆍ의(疑)ㆍ악견(惡見)을 말한다. 이 가운데서 악견을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의 5견으로 나누어, 모두 10번뇌를 10사(使)라고도 하며, 처음 5번뇌를 5둔사(鈍使), 뒤의 5번뇌인 5견을 5리사(利使)라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723&DTITLE=%AE%DA%A5%BB%B7%D0%B4o 根本煩惱]".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ps=<br />"根本煩惱:
 梵語 mūla-kleśa。又作本惑、根本惑。略稱作煩惱。與「隨煩惱」對稱。指諸惑之體可分為貪、瞋、癡、慢、見、疑等六種根本之煩惱。其中,見復分為五,稱為五利使;其他之五煩惱則稱為五鈍使。兩者合之,即為十隨眠。此外亦有八十八使或九十八使之分類。反之,枝末煩惱乃從屬於根本煩惱,具有染污心之作用(染污之心所),又稱隨煩惱、隨惑。<br>
 俱舍宗主張枝末煩惱共有十九種,乃大煩惱地法中之放逸、懈怠、不信、昏沉、掉舉(癡除外);大不善地法之無慚、無愧;小煩惱地法之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等。唯識宗則在十九種中除去不定地法(二),而在大煩惱地法加入失念、散亂、不正知(三);以上共為二十種,稱二十隨煩惱。復次,大煩惱地法又稱大隨煩惱(大隨惑)、大不善地法稱中隨煩惱(中隨惑)、小煩惱地法稱小隨煩惱(小隨惑)。〔俱舍論卷十九、卷二十、成唯識論卷六、瑜伽師地論卷六十六〕(參閱「見惑」2997、「煩惱」5515) p4135"}} 그리고, 근본번뇌로부터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수번뇌]](隨煩惱)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1 隨煩惱(수번뇌)]". 2013년 3월 16일에 확인|ps=<br>"隨煩惱(수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1) 온갖 번뇌. 일체 번뇌는 모두 몸과 마음에 따라 뇌란케 하므로 수번뇌. (2) 근본 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구사종에서는 이를 방일(放逸)ㆍ해태(懈怠)ㆍ불신(不信)ㆍ혼침(惛沈)ㆍ도거(掉擧)ㆍ무참(無慚)ㆍ무괴(無愧)ㆍ분(忿)ㆍ부(覆)ㆍ간(慳)ㆍ질(嫉)ㆍ뇌 (惱)ㆍ해(害)ㆍ한(恨)ㆍ광(誑)ㆍ첨(諂)ㆍ교(憍)ㆍ수면(睡眠)ㆍ회(悔)의 19종이라 하고, 유식종에서는 분ㆍ한ㆍ부ㆍ뇌ㆍ질ㆍ간ㆍ광ㆍ첨ㆍ해ㆍ교(이상은 소수혹)ㆍ무참ㆍ무괴(이상은 중수혹)ㆍ도거ㆍ혼침ㆍ불신ㆍ해태ㆍ방일ㆍ실념(失念)ㆍ산란ㆍ부정지(不正知, 이상 대수혹)의 20종을 말함."}}{{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1568&categoryId=2886 수번뇌(隨煩惱)]". 2013년 3월 16일에 확인|ps=<br>"수번뇌(隨煩惱):
<br>① 중생의 마음에 따라 일어나는 모든 번뇌.
줄 209 ⟶ 214: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ref=harv|저자=곽철환|제목=[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서적 인용|ref=harv|저자=권오민|제목=아비달마불교|출판사=민족사|연도=2003}}
* {{서적 인용|ref=harv|저자=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연도=K.614, T.1579|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1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0(15-465), T.1579(30-279)}}
* <span id="CITEREF.EC.84.B8.EC.B9.9C_.EC.A7.80.EC.9D.8C.2C_.ED.98.84.EC.9E.A5_.ED.95.9C.EC.97.AD.2C_.EA.B6.8C.EC.98.A4.EB.AF.BC_.EB.B2.88.EC.97.AD"></span>{{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연도=K.955, T.1558|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 아비달마구사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955(27-453), T.1558(29-1)}}
*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연도=K.644, T.1614|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3&startNum=1 대승백법명문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644(17-808), T.1614(31-855)}}
* {{서적 인용|ref=harv|저자=운허|제목=[http://buddha.dongguk.edu/bs_list.aspx?type=fromto&from=%EA%B0%80&to=%EB%82%98&pageno=1 불교 사전]|편집자=동국역경원 편집}}
* {{서적 인용|ref=harv|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1 성유식론]|저자=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연도=K.614, T.1585|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614(17-510), T.1585(31-1)}}
* {{서적 인용|ref=harv|저자=황욱|제목=무착[Asaṅga]의 유식학설 연구|출판사=동국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연도=1999}}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미륵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0/1579_001.htm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0, No. 1579. CBETA|연도=T.1579}}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星雲|제목=[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htm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판=3판}}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normal/T29/1558_001.htm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9, No. 1558, CBETA|연도=T.1558}}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1/1614_001.htm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614, CBETA|연도=T.1614}}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normal/T31/1585_001.htm 성유식론(成唯識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585, CBETA|연도=T.1585}}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