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0번째 줄:
 
== 노선 ==
부산 도시철도는 [[2017년]] 현재 6개 노선으로 구성되며, 각 노선을 3개 운영기관이 구분하여 운영한다.
부산 도시철도는 [[1985년]] 최초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이 개통된 이래 2017년 현재 6개의 노선으로 이루어지며, [[영도구]]를 제외한 [[부산광역시]] 전역과 [[경상남도]] [[양산시]], [[김해시]]에 그 노선망이 걸쳐 있다. 영업 총 연장은 167.18 km, 영업 중인 역은 149개로, 이는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체계로서는 [[수도권 전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5%; text-align: center;"
78번째 줄:
|}
 
=== 1호선 ===
{{본문|부산 도시철도 1호선}}
[[파일:Humetro Bujeon 02.JPG|섬네일|[[부전역]]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은 [[대한민국]]에서 5번째로 건설된 [[도시철도]]이자 [[경기 지방|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지역에 최초로 건설된건설한 노선이다.노선으로, [[1985년]] [[7월 19일]]에 [[범내골역|범내골]]에서 [[범어사역|범어사역범어사]]까지의 구간이구간을 개통되었으며,최초로 이후개통하여 단계별운행을 연장을시작하였으며 거쳐단계적인 개통 이후 [[1994년2017년]] [[6월4월 23일20일]], [[신평역]]에서 [[노포역]]까지 이어졌다. 그리고 2017년 4월 20일 오후 4시에 신평역에서 [[다대포해수욕장역]]에 이르는 구간이 연장 구간이 개통됨으로개통되면서 현재의 모습에모습을 이르게갖추게 되었다.
 
노선은 [[부산광역시]]를 종으로 횡단하며, [[금정구]] [[노포역]]을 출발하여 [[동래역 (도시철도)|동래]], [[서면역|서면]], [[남포역 (부산)|남포동]]을 지나 [[사하구]]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이어진다.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까지 운행되었던 [[부산전차]]의 노선과 유사하며, 전통적으로 [[부산광역시동래역 (도시철도)|동래]]에서 가장 번화한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는 높은 혼잡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R.H시간대에는 4분 간격으로 운행되어, [[수도권 전철서면역|서면]]을 제외한, [[도시철도남포역 (부산)|남포동]] 가장 배차 간격이 조밀하다. 또한 주로전통적으로 [[도시철도부산광역시]][[역]]을에서 중심으로가장 상권이번화한 여름철지역을 피서지로지나기 발달되어때문에 있는데,출퇴근 대표적으로시간에는 [[다대포해수욕장]]이상당히 있으며혼잡한 편이다. [[부산역]],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부산항여객터미널|국제여객터미널]], [[부산항여객터미널|연안여객터미널]] 등 시외 교통과의 연계가 활발한 노선이기도 하다.
 
또한 출퇴근 시간에는 4분 간격으로 운행되어 [[수도권 전철]]을 제외한 [[도시철도]] 중 가장 배차 간격이 조밀한 노선이다.
 
노선의 고유 색상은 <span style="color:{{한국 철도 노선색|BT|1}};">■</span> [[주황색|선명한 주황]]으로, 영업 총연장 40.48&nbsp;km 구간이고, 모두 40개의 역이 운영 중이다.
줄 90 ⟶ 92:
{{본문|부산 도시철도 2호선}}
[[파일:Busan Subway Line 2.jpg|섬네일|2호선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은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3번째로세 번째로 건설된 노선으로, [[1999년]] [[6월 30일]] 최초로 [[호포역서면역|호포서면]]에서 [[서면역양산시|서면양산]] [[호포역|호포]]까지를 개통하였으며개통하여 잔여운행을 구간시작하였으며, 단계적 연장개통 구간이후 개통을 통해현재는 [[해운대]] [[장산역]]에서 [[양산역]]까지의 구간을 개통하였다운영 중에 있다. [[부산광역시]]의 경계를 넘어 [[경상남도]] [[양산시]]까지 운행되며,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건설된 노선 중 총 연장이 가장 길다.
 
노선은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역]]을 출발하여 [[화명역 (도시철도)|화명]], [[덕천역|덕천]], [[사상역 (도시철도)|사상]], [[서면역|서면]], [[수영역|수영교차로]], [[해운대역]]을 지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역]]까지 이어진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에 비해 이용객 수는 적은 편이나, [[부산광역시]]의 동서를 이어주는 간선축으로 중요하게 기능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상당수의 [[대학교|대학교(동원과학기술대, 부산대양산캠퍼스, 방송통신대, 부산과학기술대, 신라대, 경남정보대, 동서대, 동의대, 경성대, 부경대, 동명대)]]와 부도심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는 이용객이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또한 주로 [[도시철도]][[역]]을 중심으로 상권이 여름철 피서지로 발달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벡스코]], [[센텀시티]], [[광안리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이 있으며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양산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등 시외 교통과의 연계가 활발한 노선이다. 또한 양산구간 연장개통으로 [[부산광역시]]의 외곽 지역인 [[양산시|양산]]신도시와 [[부산광역시]]의 도심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서면역]]에서 [[호포역]]까지는 주로 경부선 간선 철도의 선로 인근에 건설되었다. 노선 길이가 길고 장거리 이동 수요가 있는 만큼 급행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대피 선로 등이 잘 구축되어 있지 않고 3호선이 사실상 급행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급행 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노선은 [[부산광역시]]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역]]을 출발하여 [[화명역 (도시철도)|화명]], [[덕천역|덕천]], [[사상역 (도시철도)|사상]], [[서면역|서면]], [[수영역|수영교차로]], [[해운대역]]을 지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역]]까지 이어진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상당수의 [[대학교]]<ref>신라대, 부산대(양산캠퍼스), 부경대, 동원과학기술대, 방송통신대, 부산과학기술대, 신라대, 경남정보대, 동서대, 동의대, 경성대, 동명대를 인접해서 지난다.</ref>와 부도심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는 이용객이 몰리는 편이다.
역명이 변경된 사례로 기존 문전역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시립미술관역이 벡스코역으로 개명되었다. 문전역은 인접역인 전포역과 문현역에서 따온 이름이었고 역세권인 국제금융센터과 발달됨에 따
 
또 [[해운대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 [[벡스코]] 등 관광지와 연계되어 있고,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양산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등 시외 교통과의 연계도 활발한 노선이다. 특히 [[양산역|양산]] 구간의 연장 개통으로 [[부산광역시]]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는 [[양산시|양산]]신도시와 [[부산광역시|부산]] 도심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역명변경이 이루어 졌다. 시립미술관역은 동해선 환승연계를 위해 개명된 사례인데 동해선에서 시립미술관역과 환승될 역명을 벡스코역으로 확정지음에 따라 2호선 시립미술관역의 개명이 불가피해졌다.
 
노선의 고유 색상은 <span style="color:{{한국 철도 노선색|BT|2}};">■</span> [[연두색]]으로, 영업 총 연장 45.2&nbsp;km 구간이며 모두 43개의 역이 있다.
줄 105 ⟶ 103:
{{본문|부산 도시철도 3호선}}
[[파일:Busan Metro Line 3 EMU Interior.jpg|섬네일|[[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전동차]]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은 [[2005년]] [[11월 28일]]에 개통하였다. 당초 [[미남역]]에서 분기하여 현재의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과 함께 하나의 노선으로 계획되어 3호선 1단계로 불렸으나, [[미남역]] 분기 계획이 경전철로 바뀌어 3호선 2단계 구간이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으로 분리되었다. 산세가해발 험한고도가 산악 터널을높은 통과하기 때문에 지표면에서 상당히 깊은 곳에 건설되었다<ref>[[대한민국만덕역]]에서 가장경우 깊은지하 곳에76m 건설된지점에 지하철선로가 노선이다위치해 있으며, 통상 지하 9층으로 인식된다. ([[만덕역배산역]]/지하, 65[[물만골역]] ~등이 76m)낮은 곳에 건설되었다.</ref>.
 
노선은 [[부산광역시]] [[대저역]]을 출발하여 [[경부선]] [[구포역 (도시철도)|구포역]], [[덕천역|덕천교차로]], [[미남역|미남교차로]], [[만덕역|만덕]], [[거제역|거제동]], [[연산역 (부산)|연산]]을 지나 [[수영구]] [[수영역]]까지 이어진다. 다른 노선에 비하여 직접 개찰구로 승·하차하는 승객 수는 적지만 환승 연계로 인한 수요가 많고, 2호선의 급행 역할을 하기 때문에 꽤 혼잡하다. 그리고 [[사직야구장]]과 [[종합운동장]]을 거치기 때문에 야구 시즌에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1]] /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연결을 도와 주며 부산을 井자로 연결한다. 부산 도시철도에서 유일하게 전 노선 환승이 가능한 노선으로, [[수영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연산역 (부산)|연산역]]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거제역]]에서는 [[동해선]]과, [[미남역]]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 [[덕천역|덕천역]]에서 다시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대저역]]에서는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 연계가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