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보드 (스케이트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kdgur5q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과제 문서}}
{{여러 문제|
{{출처 필요|날짜=2015-06-18}}
{{정리 필요|날짜=2017-05-08}}
{{독자 연구|날짜=2017-05-08}}
}}
[[파일:40incheslongboard.JPG|right|thumb|롱보드]]
'''롱보드'''(longboard)는 [[스케이트보드]]의 일종으로, 긴 보드이다. 1940년 후반부터 하와이의 서퍼들이 지상에서도 서핑의 느낌을 표현하는 시도가 생겨나면서 스케이트보드가 탄생했으며, 1959년 하와이에서 태초 판매용 스케이트보드가 탄생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연도를 거듭하면서 길이가 짧고 좁은 트릭을 위한 스케이트보드와 길고 넓은 부드러운 주행을 위한 롱보드로 나뉘어졌다.
 
== 롱보드, 어렵지 않아요. ==
스케이트보드와 같이 초기에는 휠의 재질이 유리섬유재질로 내구도가 약해 안전위험이 발생했다. 하지만 1973년에 캐딜락 휠즈에서 처음 우레탄 재질의 휠이 출시되면서안전및 주행의 불편함이 해결되었고, 이후 미국 전역에서 반항적인 라이프스타일로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
 
=== 롱보드란? ===
화려한 묘기가 매력적인 익스트림 스케이트보딩은 토니호크 등의 유명 스케이트보더들의 탄생으로 대중화를 이루었지만, 스케이트보딩에 묻혀 빛을 보지못하고 있던 롱보딩은 기존 롱보드 세대들이 멈추지않고 지속적인 세대를 만들어가며 롱보드를 알리는데 매진했다. 그리고 1990년에 스노우보드 쪽에서 피드백이 나타나면서 조금씩 부활하기 시작했고, 눈이 오지않는 시기, 눈이 없는 지역의 스노우보더들이 롱보드로 전환되면서 롱보드는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
롱보드는 195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에서 유래 되었다. 스노우보드, 스케이트보드, 서핑보드의 연결점을 찾은게 롱보드라고 볼 수 있다.
 
서퍼들은 부드러운 주행을 위해서 파도의 서핑기술을 응용하여 서핑을 할 수 없을때, 일종의 트레이닝 목적으로 롱보드를 만들어 타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 종류 ==
보통 롱보드는 라이딩 스타일에 따라 데크의 모양이 조금씩 달라진다. 많은 롱보드 매니아들이 각 쓰임새에 맞는 보드들을 소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스케이트보드와 유사한 구조이지만 길이가 더욱 길고, 넓이도 넓으며, 바퀴도 비교적 크다.
* 크루징(Cruising) : 롱보드의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며 중요한 능력이다. 가장 기본적인 성능에 초점을 맞춘만큼 설계가 단순해 가격이 동일 브랜드대비 저렴하다. 대표적인 형태로는 물방울 형태를 하고있는 핀테일과 높이가 낮은 드랍스루 롱보드를 크루징용 롱보드로 선택한다.
 
정확한 기준은 없으나, 통상적으로 36인치 이상의 스케이트보드를 롱보드라 부른다.
* 댄싱(Dancing) : 보통 크루징에서 벗어나 가장 먼저 도전해보는 영역이다. 댄스(댄싱)이란 단순히 보드를 타는 행위에서 벗어나 데크 위에서 춤을 추듯 스텝을 밟아가며 크루징을 하는 모습이 마치 춤을 추는거와 같다하여 댄싱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또한 이러한 동작 자체가 예쁘다. 스텝의 종류에는 피터팬, 180, 360, 크로스 스탭 같은 것들을 꼽을 수 있다. 모든 롱보드로 즐길 수 있는 가벼운 라이딩 스타일로, 보드위에서 발걸음을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자신이 두 세걸음 정도 걸을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된 롱보드를 선택한다. 데크의 형태는 대체적으로 킥(보드를 찰 수 있는 데크의 양 끝쪽)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며 크루징용과 프리스타일용 롱보드를 주로 사용한다.
 
=== 롱보드의 구성품 ===
* 프리스타일(Freestyle) : 보드위에 두발을 올려놓고 단순히 타는 것을 넘어, 보드를 공중으로 띄웠다 다시 타는 등 화려한 묘기를 펼치는 라이딩 스타일을 "프리스타일"이라고 부른다. 스케이트보드에서 즐기는 묘기와 비슷하나, 롱보드만의 묵직한 맛이 있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데크의 형태는 보드에 킥(보드를 찰 수 있는 데크의 끝)이 양쪽 혹은 한쪽에 있는 것을 사용한다.
 
==== 데크(deck) ====
*테크니컬 슬라이드(TechnicalSlide) : 테크니컬 슬라이드는 줄여서 주로 '텍슬'이라고 부른다. 스케이트보드와 롱보드의 하이브리드스타일로 양쪽끝이 올라간 스케이트보드 쉐입을 가진 33"~45"사이의 보드를 사용한다. 트럭은 TKP,RKP 모두 사용하며 휠은 55mm~65mm사이의 하드휠 또는 소프트휠을 사용한다. 세팅은 라이딩 스타일에 따라 유연하게 바꿔서 사용한다. 스케이트보드의 노즈와 킥을 이용하여 파크,풀, 배수로등이나 스케잇 트릭을 하며, 내리막에서 속도를 내며 슬라이드등의 프리라이딩도 즐길 수 있다. 화려한 테크닉과 라이딩을 좋아하는 미국, 브라질, 코스타리카 등 남미쪽 라이더들이 즐긴다. 텍슬의 황제 Sergio Yuppie 와 Gravity Skateboards의 Brad edward, Thiago Bomba, Phranklyn등이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발을 올릴 수 있는 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롱보드 기준 약 36~60인치까지의 다양한 길이가 존재하며, 길이가 다양한 만큼 데크의 플렉스(유연성)도 다양하다. 그만큼 자신이 추구하고자하는 스타일에 맞는 데크의 선택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댄싱을 하고자 한다면 44인치 이상의 약간의 플렉스가 있는 데크가 좋다. 댄싱의 경우에 데크 위에서 발을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데크가 길고 넓을수록 스텝밟기가 편하다. 또한 플렉스가 어느정도 있어야지만 댄싱할 때 지면에서 느껴지는 진동을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플렉스가 존재하는 데크가 편하다. 플렉스는 보통 1~3 단계로 나뉘며(제조사별로 상이할 수 있음.) 플렉스3은 가장 유연하고 탄성이 좋으며, 플렉스1은 비교적 딱딱하고 무겁다. 두번째로 본인이 댄싱이 아닌 프리스타일을 하고싶다면 중간정도 길이의 데크가 좋다. 약 40~46인치의 데크가 이상적이며, 데크 양 끝의 킥이 솟아있는 형태가 좋다. 프리스타일의 경우엔 킥을 차는 기술인 트릭을 자주 이용하기 때문에 자신에 맞는 킥감의 데크를 고르는게 중요하다. 프리스타일의 경우에 슬라이딩도 구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데크 양 옆의 형태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약간 안으로 오목한 형태의 데크들이 평평한 데크들보다 발을 잘 잡아주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 추천된다. 마지막으로 다운힐을 하고자 한다면 약 40인치대의 매우 딱딱한 데크가 추천된다. 다운힐은 높은 언덕에서 약 40~70km/h의 속도로 고속주행 하는것을 뜻하는데, 그렇기에 가장 중요한건 데크의 안정성이다. 다운힐은 초보자가 하기 매우 위험하지만 도전하고자 한다면 꼭 다운힐에 알맞는 데크를 선택하는것이 좋다.
 
==== 트럭(truck) ====
* 다운힐(Downhill)과 프리라이딩(free riding) : 두 가지 모두 경사가 있는 내리막 길에서 타는 것이지만 미묘하게 다르다. 다운힐은 경사길을 가장 빠르게 가기 위해 턱(Tuck) 자세를 통해 공기 저항을 최대한 줄이고 프리드리프트(프리라이드)를 이용하여 내려가는 것이고 프리라이딩은 경사길을 내려가되 [https://www.youtube.com/watch?v=pt5zABPTllc 스탠드 업 슬라이드]를 기본으로 하며 슬라이드, 스위치, 스테일피쉬 슬라이드, 슬라이드 셔빗 등 다양한 슬라이딩과 트릭을 섞어 가며 내려가는 것을 뜻 한다. 다운힐에서는 극한의 스피드를 견뎌낼 때 오는 짜릿함을 느낄 수 있고 프리라이드는 슬라이딩을 통해 짜릿함을 얻는다. 다운힐과 프리라이딩 모두 도로에서 타야하기 때문에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운힐러들이 지키는 '내려가는 차선만 이용할 것(중앙선 침범하지 않기)', '차가 거의 다니지 않는 한적한 도로에서 탈 것' 등이 있으며 조그만 내려가도 상당히 위험하기 때문에 헬멧과 슬라이드 퍽 글러브는 필수로 착용해야 한다.
트럭은 데크와 바퀴를 이어주는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매우 단단한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며 42도, 50도의 린각(회전각)을 갖는 트럭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평지에서 주행하고자 한다면 50도의 린각을 갖는 트럭이 적당하며, 다운힐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비교적 카빙시 안정적인 42도의 트럭이 사용된다. 다양한 제조사가 존재하며 제조사마다 동일한 린각을 갖는 제품이더라도 카빙감은 매우 상이하다. 그렇기에 트럭또한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바퀴(wheel) ====
스케이트보드는 데크와 트럭이 소모품이라면 롱보드는 슬라이딩으로 인한 바퀴와 슬라이드 글러브에 달린 퍽이 소모품이다.
바퀴는 말그대로 바퀴이며, 롱보드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72a~88a경도의 바퀴가 사용된다. 72a는 비교적 경도가 낮은 바퀴이며, 지면 접지력이 좋아 주행시 안정적이다. 88a의 바퀴는 경도가 비교적 높은 바퀴이며, 딱딱하기 때문에 프리스타일의 슬라이딩 종류를 구사할 때 바퀴가 지면에 잘 밀리기 때문에 프리스타일 용도로 자주 사용된다. 바퀴의 지름이 62mm 정도로 작을 경우에 가속도를 내긴 쉽지만 최고속도를 유지하긴 어려우며, 반대로 바퀴의 지름이 약 80mm로 클경우 가속도를 내긴 어렵지만 최고속도를 유지하기 매우 쉽다. 일반적으로 지름이 70mm인 바퀴가 많이 사용된다.
속도가 빨라 질수록 기존의 그립테이프로는 마찰을 감당 할 수 없어 더 거친 그립테이프를 사용하고 더 크고 소프트한 휠을 사용한다.
 
==== 부싱 ====
롱보드의 주 된 분야로써 스포츠와 문화로 존재한다. 프리라이딩의 경우 슬라이드 잼(Slide Jam)으로 축제를 즐기기도 하며 다운힐의 경우 IDF(International Downhill Federation)과 IGSA(International Gravity Sports Association) 두 개의 협회를 주축으로 한 세계 각지에서 다운힐 대회를 열고 점수를 통해 랭킹을 책정하기도 한다. 참고로 다운힐 대회를 하는 유명한 지역으로는 최고속도가 100~120km/h를 오가는 브라질의 Teutonia와 Maryhill이 있다. 그리고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머리 전체를 덮어주는 풀페이스 헬멧과 전신슈트가 있어야 한다.
트럭의 엑슬과 헹어 사이에 장착되는 고무다. 롱보드에서 부싱은 카빙감을 많이 좌우한다. 아무리 카빙에 특화된 트럭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그에 알맞은 부싱을 장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일반적으로 부싱은 콘모양, 베럴모양이 존재하며 콘모앙은 카빙이 깊게 잘들어가고, 베럴모양은 카빙감은 떨어지나 카빙이후 리바운드(반발력)이 높다. 보통 댄싱, 프리스타일을 하고자하는 경우에 콘형태의 부싱을, 다운힐을 하고자 할때는 베럴형태의 부싱을 사용하지만 항상 그런것만은 아니다. 부싱또한 경도에 따라 분류되는데, 자신의 몸무게에 알맞은 적당한 부싱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기타 부품들 ====
다운힐과 프리라이딩용 데크는 평평한 크루징과 댄싱 데크와 다르게 다양한 컨케이브를 갖고 있다. 다운힐에서 가장 빠른 기록은 Micho Erban의 약 80 m/h(=130km/h)이다.
데크에 붙여 사용하는 그립데이프는 데크와 발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정확한 스텝을 밟을 수 있게 해주지만 스텝을 밟을 때 발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기호에 맞게 사용하도록 한다. 데크와 볼트간의 마모현상을 줄여주는 와셔라는 부품도 존재한다. 바퀴 사이에 들어가는 베어링이 있고, 각각의 부품들을 조립할 때 필요한 볼트와 너트도 존재한다. 
 
=== 롱보드로 할 수 있는 기술 ===
==롱보드 부품==
[[파일:휠.jpg|thumb|초록색이 휠]]
* 데크 : 데크를 볼 때 컨케이브, 드랍여부, 플렉스, 킥의 유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컨케이브 : 데크의 휘어있는 형태를 말한다. 크루징과 댄싱에는 flat과 convex가 주로 사용되고 다운힐과 프리라이딩에는 아주 다양한 컨케이브들이 존재한다.
** 드랍여부 : 데크와 트럭이 연결되고 데크의 형태에 따라 탑마운트, 드랍스루, 드랍, 더블드랍 데크로 나뉜다.
*** 탑마운트와 드랍스루 : 탑마운트는 데크 바로밑에 트럭이 붙어 있는 형태로 가장 높은 곳에 데크가 위치할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깊은 카빙(턴)이 가능하다. 많은 크루징, 댄싱, 다운힐, 프리라이딩 데크들이 사용하는 형태이기도 하다. 드랍스루는 트럭이 데크를 관통한 형태로 탑마운트보다는 약간 낮은 곳에 위치한다.
***드랍과 더블드랍 : 드랍은 트럭은 탑마운트의 형태를 취하지만 데크가 트럭과 연결되는 바로 안쪽부분이 드랍 된 데크를 말하며 슬라이딩 시에 발이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잡아주는 효과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더블드랍은 드랍스루와 드랍이 합쳐진 형태로 트럭이 데크를 관통하고 데크 안쪽부분이 드랍된 것을 말한다. 가장 낮은 고도를 갖는 데크이며 간혹 셋팅을 잘못하여 턴을 하게되면 데크가 땅에 닿는경우도 발생한다. 드랍과 더블드랍모두 고도가 낮은편이라 장거리 크루징시에 탑마운트 데크에 비해 피로를 덜 느낄 수 있다.
**플렉스 : 데크의 딱딱한 정도를 말하며 보통 딱딱한 데크는 단풍나무의 7~9겹인데 반해 3~4겹으로 만든다거나 대나무를 섞는 방법을 통해 사진에서처럼 소프트한 데크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크루징과 댄싱 데크에서 이런 소프트한 데크를 사용하며 다운힐, 프리라이딩에는 하드한 데크를 사용한다.
***킥의 유무 : 데크에서 트럭이 연결 된 바깥 부분을 길게 하여 킥을 만든다. 킥을 통해 메뉴얼이나 킥을 차는 것을 이용한 프리스타일 트릭을 할 수 있다.
*하드웨어 : 하드웨어란 데크와 트럭을 연결해주는 나사를 지칭한다.
[[파일:하드웨어.png|thumb|나사 두개가 하드웨어]]
*휠 : 코어와 우레탄 제질로 이루어진 흔히 말하는 ‘바퀴’이다. 이러한 바퀴는 용도, 그리고 제조사의 따라 천차만별의 성능과 특징을 갖고 있다. 구매를 결정 할 때 보통 경도와 크기 모양을 보고 결정한다. 이 때 경도가 낮을 수록 접지력이 좋기에 크루징을 할 때 상당히 안정감있고 만족스런 라이딩을 보장한다. 하지만 경도가 높을 수록 슬라이딩의 유리한 점을 보이며, 트릭을 연습하는 사람으로서는 잘 튀어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Rounded Edge : 지면과 닿는 면적이 적기 때문에 잘 미끄러지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보통 슬라이드 유저들이 선호한다.
** Square Lip Edge : 마찰력과 튀는 맛 즉 보드를 튀기는데 적합한 휠이다. 딱딱한 사각의 립형태의 휠로 이 보드는 다운힐용또는 트럭에 주로 사용된다.
**Single Rounded Edge : 한면만 둥글게 처리를 한 휠로 슬라이드와 다운힐을 한번에 잡기 위해 고안된 휠이지만 마모가 빠르다는 단점이 있다.
*베어링 : 휠에 안쪽에 장착을 하는 부품으로 베어링 내부에는 쇠구슬들이 있어 그것들이 끊임없이 움직임을 통해 휠을 지속적으로 굴러가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트럭 : 사실상 보드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으로 꼽힌다. 이것은 데크와 휠을 연결해주는 이음새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이 부분만 바꿔준다면 전혀 새로운 보드를 타는 기분을 느낄 정도. 그렇기 때문에 보더들은 트럭에 대해 민감하다. 보통 선호하는 브랜드는 칼리버, 패리스, 베어등의 제품이 있다.
[[파일:다운쓰루.jpg|thumb|트럭]]
 
==== 댄싱 ====
== 대표적인 롱보드사의 특징==
댄싱은 롱보드 위에서 트릭이나 카빙을 동반한 여러 스텝을 밟으며 라이딩하는 기술을 말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피터팬, 크로스스텝, 180 이라는 기술이 존재한다.
* 마드리드 스케이트보드 (Madrid Skateboards) : 세계적으로 스케이트보드가 탄생하기 시작했을때, 다운힐이라는 라이딩 스타일을 최초로 시작하게된 Jerry Madrid가 1976년 창시한 스케이트보드 브랜드. 롱보드뿐만 아니라 스케이트보드까지 생산하는 굉장히 큰 브랜드이다. 세계 롱보드 다운힐 레이싱 대회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있으며, 롱보드 데크외에도 관련된 부가제품들을 총 생산하는 브랜드로 롱보드 브랜드중 가장 역사가 깊다.
* 아보 스케이트보드 (Arbor Skateboards) : 전 세계 롱보드 스타플레이어들이 대거 포진되어있는 브랜드로 1995년에 설립되었으며 롱보드와 스케이트보드를 생산하는 브랜드이며, 친환경 제작으로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그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대표적인 라이더로 James Kelly와 Liam Morgan이 있다.
* 랜디야츠(랜드야츠, Landyachtz) : 한국에서는 Dinghy라는 크루져보드로 유명해져 크루져보드를 만드는 회사라고 알지만 크루져보드와 롱보드를 제작하는 브랜드이다.
* 레인(Rayne) : 렌디야츠와 비슷한 성격의 회사로 다운힐, 프리라이딩, 프리스타일, 크루징 등 모든 분야의 롱보드를 제작하며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브랜드이다.
* 그래비티 (Gravity) : 1994년부터 설립되어 오랜 역사와 그들만의 독특한 컨케이브와 제작노하우를 가진 회사이다. 하드락메이플과 황마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데크는 가볍고 내구성이 튼튼한 것이 장점으로 모든데크는 미국제 이다. 다양한 사이즈와 쉐입의 텍슬이 많으며 드랍이 들어간 Kick시리즈의 모델(Mimikick, Drop kick, Big kick)이 유명하다. 아메리칸 히피 스타일의 그래비티는 롱보드로 파크와 풀을 즐기는 자유로움과 스케이팅에 한계와 벽이 없는 라이딩을 즐긴다.
* 오리지널 : 대표적인 롱보드 제조회사로 유명하다. 특히나 S트럭이라는 신기한 트럭을 사용하고 있다. 이 트럭의 특징은 굉장히 옆으로 잘 꺾인다는 특징을 갖고있다. 또한 이러한 트럭은 크루저보드에도 적용되어 '데린저 보드'라는 보드를 생산하고 있다.(매우 독특해서 매니아 사이에서 수요가 꽤나 있다.)[[파일:S트럭임.jpg|thumb|신기한 S트럭의 중요부품]]
*로디드 : 사마, 방그라등 넓은 분야에 보드를 생산하고 있고 사랑받는 회사이다. 프리미엄상품-쳐비-같은 상품도 존재하는 회사이다.
*코즈모 : 대한민국의 브랜드이다. 입문자부터 수준급 라이더들까지 탈 수 있는 여러 라인업으로 한국의 라이더들의 취향에 맞는 롱보드를 제작하고 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코즈믹댄서, 밀키웨이, 이클립스, 애스터로이드 시리즈가 있다.
 
==== 프리스타일 ====
{{위키공용분류|Longboard}}
트릭과 슬라이딩을 구사하는 것을 프리스타일이라 한다. 댄싱에 비해 비교적 높은 난이도가 요구되며, 비교적 부상의 위험이 크기때문에 보호대 착용을 권장한다.
 
==== 다운힐 ====
[[분류:스케이트보드]]
매우 높은 경사지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라이딩을 뜻한다. 초보자들에게는 권장되지 않으며, 속력을 줄이기 위해선 주행중에 슬라이딩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 부상의 위험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전신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수도권별 주요 롱보드 스팟 (지역별 모임) ===
롱보드는 비교적 간단한 취미이기 때문에 혼자 즐길수도 있지만, 넓은 공간에서 크루끼리 모여서 같이 타는것도 재밌다.
 
각각 지역별로 대표적인 롱보드 모임이 존재하며, 선뜻 처음 시작하기 어려운 초보자들도 가까운 지역별 스팟에 방문하면 대부분 친절하게 인사하며 기초부터 알려준다.
 
롱보드를 미리 이것저것 타보고 구매하고자 한다면, 가까운 스팟에 방문하여 시승해보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롱보드를 구매하는게 좋다.
 
==== 서울 ====
1.    상암 월드컵 경기장 내
 
2.    반포 한강공원 내
 
3.    녹천교
 
4.    장안교
 
5.    강동 천호대교 인근
 
6.    보라매공원 내
 
==== 경기도 ====
1.    일산 정발산역 인든 일산문화공원
 
2.    인천 문학야구장, 월드컵경기장 인근
 
3.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호수공원 내
 
4.    부천 해그늘 생활 체육공원 내
 
5.    수원 화성행궁 광장 내
 
6.    판교 화랑공원 내
 
7.    안양 중앙공원 내
 
8.    평택 공설운동장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