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30번째 줄: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ref name="관보제17413호">[http://gwanbo.moi.go.kr/gwanbo/ebookFileDownload.gz?ebookSeq=00000000000000001319097138021000&fileType=PT001 관보 제17413호] 2010년 12월 27일.<!--월요일--> 291-318쪽. 304쪽. 문화재청고시제2010-133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석조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문화재청장. 2016년 5월 10일 확인함.</ref>, {{llang|en|Bangudae Petroglyphs}})는 [[울산광역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 (울산)|대곡천]]의 절벽에 새겨진 그림이다. 그림이 새겨진 바위는 너비가 약 8m, 높이 약 5m로 주변 10여개의 바위에도 암각화가 확인 된다. 반구대 암각화는 지금까지 지구상의 알려진 가장 오래된 포경유적이다.<ref name="박물관">{{웹 인용|url= http://bangudae.ulsan.go.kr/pds/pds03.jsp|제목= 자료실, 반구대암각화|웹사이트=울산암각화박물관|확인날짜=2016년 5월 11일}}</ref>
 
하지만 암각화가 사연댐의 완공된 1965년 이후인 1971년 12월에 발견되면서 문제가 되었다. 수위가 상승하여 1년 중 8개월 동안 잠기면서 훼손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2014년 부터 보전보존 사업을 진행하였으나 연이은 실험 실패로 2016년 중단되었다.
 
== 발견 ==
46번째 줄:
* 호랑이, 표범, 멧돼지, 사슴, 노루, 고라니, 산토끼 등과 같은 육지동물
 
== 훼손과 보전 문제훼손 ==
반구대 암각화는 1965년 완공된 수돗물 공급을 위한 [[사연댐]]으로 인해 [[대곡천 (울산)|대곡천]] 수위가 상승하면서 1년 중 6~8개월 동안 잠기어 훼손되고 있다. 암각화가 댐 건설 이후에 발견되면서 문제가 된 것이다. 이에조사에서 대한민국물에 정부와잠기지 울산시는않은 다각적인반구대의 보존암석에 노력을비해 진행하고물에 있으나잠긴 보전부분은 방법을10배 놓고가량 갈등이빨리 계속되고풍화가 있다사실도 확인되었다.<ref name=감일상>{{뉴스 인용|url=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20933&ref=A |제목=반구대 암각화의 암울한 미래|저자=감일상|뉴스=KBS|날짜=2016년 7월 30일}}</ref>
 
국보 지정 당시인 1995년에는 반구대 암각화에서 300여 개의 그림이 육안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2016년 최근 조사에서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그림은 20~30점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문화재청의 조사에서도 암각화의 풍화 단계가 6단계 중 5단계인 '흙 상태 진입 직전'인 것으로 들어났다.<ref name=감일상/>
울산시는 2009년과 2011년에 임시제방 설치안을 문화재청 소속 문화재위원회에 제출하였다. 그러나 두 번 모두 공사로 인해 암각화 주변의 원형이 훼손되면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어렵다는 이유로 부결하였다. 더불어 훼손의 주범인 사연댐의 수위를 낮출 것을 주문하였다.<ref name=도재기/> 그러나 울산시는 식수 확보를 위해 수위를 놔두고 생태 제방을 쌓자는 주장을 고수하였다.<ref name=감일상/>
 
== 보존 갈등 ==
그러다 2013년 문화재청과 울산시는 투명판 160개를 붙이는 가변형 임시 물막이 댐(키넥틱댐) 방식의 절충안에 합의한다. 그런데 문화재청의 3차례 모의 실험에서 모두 실패하고 만다. 수압을 견디지 못해 투명판 이음새 부근에서 물이 새는 것이 모의실험에서 밝혀진 것이다. 이로써 3년이 넘는 시간과 실험에 투입된 28억 원의 예산이 모두 낭비되었고 2016년 7월 중단되었다.<ref name=감일상>{{뉴스 인용|url=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20933&ref=A |제목=반구대 암각화의 암울한 미래|저자=감일상|뉴스=KBS|날짜=2016년 7월 30일}}</ref>
문화재청과 울산시는 다각적인 보존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나 보존 방법을 놓고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울산시는 2009년과 2011년에 임시제방 설치안을 문화재청 소속 문화재위원회에 제출하였다. 그러나 두 번 모두 공사로 인해 암각화 주변의 원형이 훼손되면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어렵다는 이유로 부결하였다. 더불어 훼손의 주범인 사연댐의 수위를 낮출 것을 주문하였다.<ref name=도재기/> 그러나 울산시는 식수 확보를 위해 수위를 놔두고 생태 제방을 쌓자는 주장을 고수하였다고수한다.<ref name=감일상/>
 
그러다 2013년 문화재청과 울산시는 투명판 160개를 붙이는 가변형 임시 물막이 댐(키넥틱댐) 방식의 절충안에 합의한다. 그런데 문화재청의 3차례 모의 실험에서 모두 실패하고 만다. 수압을 견디지 못해 투명판 이음새 부근에서 물이 새는 것이 모의실험에서 밝혀진 것이다. 이로써 3년이 넘는 시간과 실험에 투입된 28억 원의 예산이 모두 낭비되었고 2016년 7월 중단되었다중단된다.<ref name=감일상>{{뉴스 인용|url=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20933&ref=A |제목=반구대 암각화의 암울한 미래|저자=감일상|뉴스=KBS|날짜=2016년 7월 30일}}</ref>
 
2017년 울산시는 과거의 임시제방 축조안과 비슷한 생태제방 축조안을 문화재위원회에 제출하였다. 암각화에서 30m 떨어진 지점에 357m, 높이 65m의 제방을 쌓아 물길이 암각화에 닿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2017년 5월 18일 축조안 심의는 일단 보류됐다. 현장조사를 한 뒤 재심의하기로 한 것이다.<ref name=도재기>{{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5182129015&code=960100 |제목=반구대 암각화 ‘생태제방’ 일단 보류|뉴스=경향신문|저자=도재기|날짜=2017년 5월 18일}}</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