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너리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Vasari.jpg 파일을 Vasari_-_Le_vite,_1568_B,_v._1,_ritratto_p_(16).jpg 파일로 교체했습니다. (CommonsDelinker 사용자가 명령, 이유 : Duplicate: Exact or scaled-down duplicate: [[:c...
잔글 clean up, replaced: {{서양 예술 사조}} → {{서양미술사조}} using AWB
1번째 줄:
[[파일:Girolamo Francesco Maria Mazzola - Madonna with the Long Neck.jpg|thumb|200px|[[파르미자니노]]의 '목이 긴 성모' (1534-40), 매너리즘은 늘어진 비례와 꾸며진 포즈, 명확하지 않은 원근법으로 유명하다.]]
 
'''매너리즘'''({{llang|en|Mannerism}}, {{llang|it|Manierismo|마니에리스모}})은 사실적 재현의 전통에 반기를 들고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매너 혹은 스타일)에 따라 예술작품을 구현한 예술 사조를 말한다. 후대에 이들의 미술을 ‘매너리즘’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이들이 자신만의 개성적인 스타일에 따라 그렸기 때문이다.<ref>정석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5&aid=0002589308 미켈란젤로가 별 거냐… 매너리즘 화가들 반격]. 한국경제. 기사입력 2011년 11월 29일. 최종수정 2011년 11월 30일.</ref>
 
이탈리아 1520년대 성기 [[르네상스]](High Renaissance)의 후기에서 시작해서 1600년대 바로크가 시작하기 전까지 지속된 유럽 회화, 조각, 건축과 장식 예술의 시기를 지칭한다.<ref>최형순.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531777 그림으로 읽는 근현대 미술사 ② 모더니즘 태동 이전의 흐름]. 전북일보. 2014년 11월 26일.</ref> mannerism은 영어 'manner'(양식)를 뜻하는 이탈리아어 'maniera'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양식적으로는 개인적 접근의 다양성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라파엘로]], 그리고 초기의 [[미켈란젤로]]에게 조화로운 이상의 영향을 받고 반응한 것을 알 수 있다. 지적이면서 인공적인(자연적인 것과 반대되는) 특징이 두드러진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2&aid=0002004248 영화, 매너리즘과 바로크의 자의식]. 프레시안. 2015년 1월 7일.</ref> <ref>변종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298&aid=0000140795 빛과 어둠을 지배한 서양미술사의 두 거장]. 정책브리핑. 2014년 9월 15일.</ref>
 
이 용어는 [[1500년]]경에서 [[1530년]]경까지 북유럽에서 활동한 후기 [[고딕 예술|고딕]] 화가들에게도 사용되며, 특히 안트베르펜 매너리스트들과 17세기 문학(특히 시)의 흐름에서 사용된다.
11번째 줄:
'양식(manner)'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maniera'에서 나왔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자연주의]]와 반대되는 인위성은 매너리즘 예술의 공통적인 특징들 중 하나이다. 또 다른 특징은 이어지는 예술가의 세대들에 의해 변형된 르네상스의 지속적인 영향이다.
 
양식에 대한 용어로서 매너리즘을 분류하는 것은 어렵다. 이 용어는 20세기 초반에 16세기 이탈리아의 분류하기 어려워 보이는 예술(성기 르네상스와 관련된 조화롭고 이성적인 접근법이 나타난다고 인식할 수 없는 예술)들을 분류하기 위해 독일 [[미술사]]학자들이 보급시켰다.
 
이 용어는 예술가들과 양식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33번째 줄:
초기 매너리스트들은 일반적으로 성기 르네상스의 관습과 적나라하게 대조되었다. 이들은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에서 성취한 즉시성과 균형과는 관련이 있거나 어울려 보이지 않는다. 매너리즘은 [[라파엘로]]의 조수인 [[줄리오 로마노]]와, 전형적인 매너리스트 화가인 [[폰토르모]]와 [[로소 피오렌티노]]를 제자로 둔 [[안드레아 델 사르토]]와 같이 고전에 접근한 두 거장의 제자들 사이에서 발전하였다. [[미켈란젤로]]는 매너리즘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의 현관과 [[메디치 가]] 무덤의 조상들에서 이런 경향이 보인다.
[[파일:Henry Howard Earl of Surrey 1546.jpg|thumb|잉글랜드 궁정에서의 매너리즘: 헨리 하워드, 1546년 그림]]
이탈리아 매너리즘의 중심은 로마, 피렌체, 만토바이다. 분리된 "유파" 안에 머물러 있던 베네치아 회화는 [[티티안]]의 긴 작업 기간으로 대표되는 분리된 방향을 추구했다.
 
1500년대 중반에서 후반에 매너리즘은 비밀스러운 도상학(圖像學)적 프로그램과 예술적인 개성의 감각으로 식견있는 관객들을 매혹시켜 유럽 궁정에서 번성하였다. 이것은 예술의 중요한 목적이 외경심과 신앙심을 고양하고, 즐기고 교육하는 것이었던 추세를 반영한다.
39번째 줄:
 
=== 조르조 바사리 ===
[[조르조 바사리]]는 이 표지를 지닌 위대한 책 속에 있는 동료 예술가들에 대한 그의 칭찬을 통해 예술 창작의 "기술"에 대해 그의 의견을 이야기한다. 바사리는 탁월한 회화에서는 섬세함과 숙련된 기교(''maniera'')를 통해 표현된 창작력(''invenzione'')의 풍부함이 필요하고, 완성 작품에 나타나는 지혜와 연구, 그리고 예술가의 지성과 후원자의 감성을 강조하는 모든 기준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예술가는 이제 단지 성 루카 길드의 숙련공 멤버일 뿐이었던 것에서 벗어났다. 예술가는 이제 학자, 시인, 인문주의자들과 함께 우아함과 복잡성에 대한 감상을 불러 일으키는 분위기의 궁정에 자리잡았다. 바사리의 후원자인 [[메디치]]의 문장이 완전히 그것이 예술가의 고유한 것인 같이 그의 초상화 상단에 나타났다.
 
매너리즘 예술가인 [[조르조 바사리]]의 《미술가 평전》의 장식된 표지 그림 테두리(좌측 그림)는 영국의 흐름에서 보면 "제임스 시대(Jacobean)"로 볼 수 있다. 이 책 안에서 미켈란젤로의 메디치가 묘지는 위에는 종이같은 구멍뚫린 테두리와 바닥에는 사티로스의 나체를 표현하여 반(反)건축적인 "건축적" 특징을 시사한다. 피렌체의 비네트 바닥 부분에는 종이나 피지와 같은 재료가 소용돌이 장식 무늬 안으로 잘리고 늘어나고 말려있다. 이 디자인은 인위적으로 만든 "자연스러운" 조화롭지 않은 물리적으로 기발한 병치가 들어간 세부묘사로 자의적이고 과장되어 있다.
 
=== 잔 파올로 로마초 ===
48번째 줄:
== 매너리즘 건축 ==
[[파일:Entrance_of_Colditz_Castle_chapel.jpg|thumb|left|250px|콜디츠 성 교회당의 반암으로 된 정문, [[작센 주]], 독일. 1584년 안드레아스 발터 1세가 설계하였으며, "안트베르펜 매너리즘"의 좋은 예이다.]]
매너리즘 건축의 예는 [[로마]] 교외의 시골인 카프라롤라의 빌라 파르네세이다. 16세기 조판공의 급증은 매너리즘 양식을 이전의 어떤 양식보다도 빨리 전파시켰다. 16세기 전성기의 매너리즘 디자인의 중심은 [[안트베르펜]]이었다. 안트베르펜을 통해 르네상스와 매너리즘 양식은 잉글랜드, 독일, 북유럽과 동유럽에 널리 전파되었다. "로마"식의 세부묘사가 들어간 장식으로 들어찬 콜디츠 성의 현관 표현(왼쪽 그림)은 북유럽 양식의 좋은 예시가 되어 질박하고 풍토적인 벽체에 대해 개성적으로 독립적인 작품으로 표현된다.
 
{{-}}
56번째 줄:
{{각주}}
 
{{서양미술사조}}
{{서양 예술 사조}}
{{포털|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