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산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119.194.128.13(토론)의 편집을 임재균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4번째 줄: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그림 = 113 도봉산.jpg
|그림설명 = 인천 방향 역명판
|그림2 = Q68633_Dobongsan_A02.JPG
|그림설명2 = 인천 방향 승강장(좌), 소요산 방향 승강장(우)([[스크린도어]] 설치 전)
|역번호 = 113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964-33
25번째 줄: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SR}}
|그림 = Q68633_Dobongsan_A03.JPG
|그림설명 = 부평구청 방향 역명판
|그림2 = Q68633_Dobongsan_A04.JPG
|그림설명2 = 부평구청 방향 승강장
|역번호 = 710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964-40
42번째 줄:
}}
 
'''도봉산역'''(道峰山驛)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경원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전철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다. [[서울경원선]] 지하철[[성북역|성북]] 7호선- [[의정부역|7호선의정부]] 복선전철화 착공 당시 가칭 역명은 누원역(樓院驛)이었으나<ref>매일경제, 1982.01.29, 10면, '성북~의정부역 13.1km 84년까지 전철화'</ref> [[1986년]] 서울 4호선 노원역과의 역명 혼란으로 인해 영업 개시 즈음에 인근에 위치한 [[도봉산]]의 경우이름을 따 도봉산역으로 명명하였다.<ref>1986.8.26. 철도청고시 제21호</ref> 가칭 역명이 누원역(樓院驛)이었던 이유는역부터역의 위치가 조선 시대부터 구한말까지 경기도 양주군 [[장암역해등촌면]]까지 지상상루원리(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2동]]) 및 경기도 양주군 둔야면 누원리(현재의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의 경계에 인접해 있었기 구간이다때문이다.
 
== 역사 ==
* [[1964년]] [[4월 28일]] : [[용산역|용산]] 기점 26.6km 지점에 열차를 임시 정차시켜 여객 취급, 기간은 같은 해 [[5월 30일]]까지였다<ref>철도청 고시 제70호(1964.04.22)</ref>
* [[1986년]] [[9월 2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ref>철도청고시 제21호, 제22호, [[1986년]] [[8월 26일]].</ref>
* [[1986년]] [[9월 30일]] : 역사 준공
* [[1989년]] [[1월 1일]] : 운전간이역으로 격하<ref>철도청고시 제47호, [[1988년]] [[12월 27일]].</ref>
* [[1996년]] [[10월 1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1단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
* [[1998년]] [[1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409627#172 철도청고시 제1997-70호], [[1997년]] [[12월 30일]].</ref>
* [[2005년]] [[12월 21일]] : [[동묘앞역]] 개통으로 1호선 역번호가 114에서 113으로 변경
* [[2016년]] [[4월 29일]] : 도봉산역 역사 신축공사 완료
 
== 개요 ==
[[경원선]] [[성북역|성북]]~[[의정부역|의정부]] 복선전철화 착공 당시 가칭 역명은 누원역(樓院驛)이었으나<ref>매일경제, 1982.01.29, 10면, '성북~의정부역 13.1km 84년까지 전철화'</ref> [[1986년]] [[서울 지하철 4호선]] [[노원역]]과의 역명 혼란으로 인해 영업 개시 즈음에 인근에 위치한 [[도봉산]]의 이름을 따 도봉산역으로 명명하였다.<ref>1986.8.26. 철도청고시 제21호</ref> 가칭 역명이 누원역(樓院驛)이었던 이유는 이 역의 위치가 조선 시대부터 구한말까지 [[경기도]] [[양주군]] [[해등촌면]] 상루원리(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및 [[경기도]] [[양주군]] [[둔야면]] 누원리(현재의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의 경계에 인접해 있었기 때문이다.
 
== 역 구조 ==
출구는 3개다.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이다. 출구는 [[코레일]] 소속 2개, [[서울교통공사]] 소속 1개로 총 3개다.
 
=== 1호선 승강장 ===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양 끝의 외선은 [[동두천역|동두천]]~ - [[인천역|인천]] 간 급행 열차와 일부 특별 열차를 대피하기 위한 완행 열차의 대피선으로 사용한다. 또한 [[망월사역]] 방향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선로와의 연결선이 있다. 현재 1번 승강장은 도봉산역 역사 공사 관계로 사용하지 않는다.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줄 81 ⟶ 78:
 
=== 7호선 승강장 ===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열차 회차선로는 [[장암역]] 방면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도봉차량사업소]]로 입·출고하는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기 때문에, [[부평구청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대부분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 [[부평구청역수락산역|부평구청수락산]] 방향의방면의 경우 도봉산역을 출발하자마자 바로 지하로 들어가고 [[장암역|장암]] 방향의방면의 경우는 지상으로 계속 가나 느린 속도로 천천히 운행한다.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줄 95 ⟶ 92:
!상행
|rowspan="2"|{{한국 도시철도|SM7}}
|[[장암역|장암]] 방면<br/>당역 종착
[[도봉기지]] 입고 열차 당역 종착
|-
!하행
줄 104 ⟶ 100:
== 역 주변 ==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서울누원초등학교|누원초등학교]]
* [[누원고등학교]]
* [[도봉고등학교]]
줄 110 ⟶ 106:
* [[도봉산]]
* [[서울인강학교]]
* [[서울창포원]]
 
== 사진 ==
<gallery>
Seoul-Metropolitan-Rapid-Transit-7-Dobongsan-station-platform.jpg|7호선 장암승강장 방향 승강장([[스크린도어]] 설치 전)
</gallery>
 
줄 146 ⟶ 142:
| 6,540
| 6,614
|rowspan=2| <ref name=sdg>[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10224927&id=www_020203020000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ref>
|-
| 하차
줄 172 ⟶ 168:
| 10,415
| 10,429
|rowspan=3| <ref name=smrt>[http://smrt.co.kr/program/board/list.jsp?menuID=001003010&boardTypeID=26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ref>
|-
| 하차
줄 294 ⟶ 290:
}}
{{인접정차역/닫기}}
 
== 개요각주 ==
<references/>
 
{{경원선}}
{{수도권 1호선}}
{{서울 7호선}}
 
== 각주 ==
<references/>
[[분류:서울 도봉구의 전철역]]
[[분류:수도권 전철 환승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