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 nn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S nn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서의 정의 (제 2조 정의)'''
'박물관'이라 함은 문화, 예술, 학문의 발전과 일반 공중의 문화 향수 증진에 이바지 하기 위하여 역사, 고고, 인류, 민속, 예술, 동물, 식물, 광물, 과학, 기술, 산업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 관리, 보존, 조사, 연구, 전시하는 시설을 말한다.
* '''『박물관학 개론』'''<ref name=":0" />'''에서의 정의'''
'박물관은 궁극적으로는 현재와 과거의 문화 유산과 자연 유산을 미래에 전승하고, 사회와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서 인류에 의해 생산된 유형의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수짐, 보존, 조사, 연구하고 이를 일반 대중에게 제공하기 위해 전시, 교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75번째 줄:
* 사이버박물관
 
== 형성과 발전 ==
== 형성과 발전<ref>{{서적 인용|url=|제목=박물관학 개론|성=이보아|이름=박물관의 형성과 발전|날짜=2000.12.10|출판사=김영사|확인날짜=}}</ref> ==
 
=== 서구의 박물관 ===
81번째 줄:
 
==== 뮤제이옹 ====
[[고대 그리스]]의 뮤제이옹(museion)은 '[[뮤즈 (신화)|뮤즈]]에게 헌납된 사원(the house of muse)'를 의미하며 현재 '박물관(museum)'이라는 용어의 유래이다. 뮤제이옹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제우스]]의 아홉 여신들의 '뮤즈의 신전', '명상의 장소', '진리를 탐구하는 시설' 등을 의미하였으며 여기서는 회화, 조각 등의 조형예술과 역사와 철학의 학문적 성과, 보물 등을 제례에 봉헌하고 이를 보관하는 보고역할을 했다. 이밖에도 다양한 공연 예술이 펼쳐지는 일종의 복합 문화공간 같은 기능을 수행하였다.<ref name=":2">{{서적 인용|url=|제목=박물관학 개론|성=이보아|이름=박물관의 형성과 발전|날짜=2000.12.10|출판사=김영사|확인날짜=}}</ref>
 
==== 고대 박물관 ====
기원전 284C 무렵 지어진 [[알렉산드리아]] 뮤제이옹(Museion of Alexandria)는 박물관의 고전적인 기능을 처음으로 갖추었다고 추정된다. 이곳은 알렉산드리아의 원정 이후 [[이집트]]의 왕 [[프톨레마이오스 왕조|프톨레마이오스]] 필라델푸스 왕이 부왕인 프톨레마이오스 소테르의 유언에 따라 조성한 것으로, 부왕이 사용하던 물건과 예술품을 보관하였다고 한다. 후일에는 신전으로 이용되거나 학자들이 문예와 철학을 연구하는 장소가 되었다.<ref name=":2" />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미 다른 여러 교육 기관들이 무세이온으로 불리고 있었는데, 이들은 연구소나 학교의 성격이 강했으며 플라톤의 '아카데미'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시움'이 그 대표적인 예다. 무세이온과 같은 공공장소에 전리품 및 역사적 사건이나 일상에 대한 그림을 전시하였는데 이를 박물관의 원형이라고 할수 있다. 박물관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인 전시 행위는 궁극적으로 자연활동이나 인간 문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인데 따라서 '교육적 기능'이 수반된다. 따라서 그리스의 무세이온과 같이 전시기능을 가진 고대의 기관들은 박물관과 유사한 교육적 기능을 수행할수 있다고 볼수있다. <ref name=":1">{{서적 인용|url=|제목=한국박물관교육학|성=최종호, 서원주 외 12명|이름=서구의 박물관 교육의 역사|날짜=2010.09.30|출판사=문음사|확인날짜=}}</ref>
 
알렉산드리아 대왕의 사후 지속된 [[헬레니즘 문명|헬레니즘]] 시대에 이르러 미술품의 수집과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는 이후 [[로마]]시대에 이르러 세속적인 관심으로 이어져 복제품이 생겨나게 되었다. 로마 군사들이 정복한 지역의 전리품과 미술품 등을 수집하여 가정에서 진열하게 됨으로써 사립박물관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로마의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폼페이우스]]나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자신의 신전을 공개하기도 했다. 로마인들은 '뮤지움(museum)' 이란 단어를 진리를 탐구하는 토론장소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ref name=":2" />
 
==== 중세 박물관 ====
중세 유럽에서는 종교시설이 어느 정도의 박물관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1" /> 주로 교회에서 일련의 [[성서]] 유물을 중심으로 수집하였으며, 귀족이나 부호의 후원으로 수집되었다.<ref name=":2" /> 일부 교회와 수도원의 수집품은 바티칸 박물관가 같이 현대적인 박물관으로 발전하기도 하였다.<ref name=":1" /> 그러나 사유재산에서의 출발로 인해 수집기능은 있었으나 고전적인 박물관의 기능은 없었으며 흥미 위주의 전시를 하고 고가의 입장료를 징수하는 등의 폐단이 존재하였다.<ref name=":2" />
 
==== [[르네상스]] 시대의 박물관 ====
르네상스 시대에는 학술적인 사상에 영향을 받아 수집된 유물의 내용과 유형에 변화가 생겼다. 15세기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발견 이후 세계각지로부터 희귀한 물품들이 유럽으로 반입되었으며 서구의 귀족들과 부호들은 이러한 물품을 수집하여 개인 소장품을 만들었다. 이러한 소장품들은 보통 저택 내부에 마련된 전시실에 진열되었으며 이를 '경이로운 방'이라고 불렸다. <ref name=":1" />
 
이 시기 미술과 작가에 대한 후원이 가장 두드러 졌는데 특히 [[메디치 가문|메디치]](Medico)가의 후원자 역할은 박물관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귀족들은 예술작업에 대한 후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자신의 취향에 맞는 작가를 선정하여 자신의 정치적 선전을 위해 그림을 그리게 하고, 거장의 작품들을 모으기도 하였다. 미술가들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졌으며 소장품을 관리하기 위한 박물관을 짓고 미술가를 초빙하여 조언을 받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박물관 경영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실무경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와 반대로 수집에 대한 열망이 과열되면서 로마 인근지역을 대대적으로 발굴하는 등 문화재를 훼손하는 일도 발생했다. 당시 박물관의 관람객은 일부 귀족과 특정계층에 한정되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시대에 이르러 '박물관(museum)'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 용어는 [[코시모 데 메디치|코시모 디 메디치]](Cosimo de Medici)의 손자인 [[로렌초 데 메디치|로렌조 메디치]](Lorenzo de Medici)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ref name=":2" />
15세기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발견 이후 세계각지로부터 희귀한 물품들이 유럽으로 반입되었으며 서구의 귀족들과 부호들은 이러한 물품을 수집하여 개인 소장품을 만들었다. 이러한 소장품들은 보통 저택 내부에 마련된 전시실에 진열되었으며 이를 '경이로운 방'이라고 불렸다. <ref name=":1" />
 
이 시기 미술과 작가에 대한 후원이 가장 두드러 졌는데 특히 [[메디치 가문|메디치]](Medico)가의 후원자 역할은 박물관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귀족들은 예술작업에 대한 후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자신의 취향에 맞는 작가를 선정하여 자신의 정치적 선전을 위해 그림을 그리게 하고, 거장의 작품들을 모으기도 하였다. 미술가들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졌으며 소장품을 관리하기 위한 박물관을 짓고 미술가를 초빙하여 조언을 받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박물관 경영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실무경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와 반대로 수집에 대한 열망이 과열되면서 로마 인근지역을 대대적으로 발굴하는 등 문화재를 훼손하는 일도 발생했다. 당시 박물관의 관람객은 일부 귀족과 특정계층에 한정되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파일:Medici family (Bronzino atelier).jpg|왼쪽|500x500px|메디치가|섬네일]]
==== 근대 공공 박물관<ref name=":2" /> ====
이 시대에 이르러 '박물관(museum)'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 용어는 [[코시모 데 메디치|코시모 디 메디치]](Cosimo de Medici)의 손자인 [[로렌초 데 메디치|로렌조 메디치]](Lorenzo de Medici)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 근대 공공 박물관 ====
근대에 이르러 박물관은 공공 박물관의 형식으로 변화하였으며 일반 대중들의 관심도 증가 하였다. 궁정, 귀족들이 근대적 시민혁명을 거치며 자신의 의도에 따라 소장품을 개방하거나 개인, 국가, 공공단체들이 공익을 위한다는 의도로 수집을 했던 시점이었다. 공공 박물관은 국가나 공공단체가 설립, 운영 주체가 되었다는 사실 뿐만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박물관을 공개하고 그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공공 박물관의 설립이 시민의 취향을 존중하기보다는 기업홍보와 조세감면 혜택, 정치적, 과시적 목적으로 설립되었다는 비판이 존재하였다.
 
==== 현대의 박물관<ref name=":2" /> ====
[[파일:Louvre 2007 02 24 c.jpg|섬네일|500x500픽셀|파리 루브르 박물관 전경]]
시민 혁명을 거치면서 박물관은 종래의 학자나 예술가 등 특정 계층을 위한 학술연구기관의 성격을 보였으며 나아가 대중에게 지식을 보급하기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영국의 경우, 1845년 박물관령의 공포로 박물관이 비로소 공공기관의 모습을 갖췄으며, 슬론 경(Sir Hans Sloane)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대영박물관]]이 1753년에 설립되었다. 프랑스의 경우, 혁명 이후 귀족의 전유물을 시민 전체의 것으로 돌려, 이를 국가의 문화유산으로 이해하여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고 한다. 프랑스 왕립정부는 1750년 부터 룩셈부르크 왕궁을 국립 박물관으로 용도를 변경하여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였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루브르 궁에 왕긍 소장품을 옮겨 [[루브르 박물관]]을 설립, 일반 대중에게 개방하였다. 이와 같은 왕립 박물관들은 후일 국립박물관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박물관의 증가는 일반 대중의 사회 교육과 문화적 참여권의 확대에 기여하였다. 또한 박물관의 보편화와 대중화는 자본주의의 발달과 산업혁명에 따른 부의 축적, 대중의 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줄 118 ⟶ 114:
 
==== 삼국시대 ====
수집과 보관의 기능을 중심으로 보면 [[백제]] [[진사왕]] 7년(391년) 궁실을 중수하여 못을 파고 동산을 갖추어 진기한 짐승과 식물을 길렀다는 기록이 있다.<ref name=":2" /> 또한 [[경주시|경주]]의 [[경주 동궁과 월지|안압지]]는 통일신라의 강력한 국력의 집약체로 풍부한 유물을 보유한 지하의 보고이다. 그 곳에 동물의 우리, 호랑이 뼈, 곰의 뼈, 조경석 등의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동식물의 수집과 보관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일:Seokjo jeon.JPG|왼쪽|섬네일|241x241px|현재 덕수궁 석조전 모습]]
 
==== 근대박물관<ref name=":2" /> ====
1908년 어원사무국을 설치하여 고려자기를 비롯한 물건들을 구입하기 시작하였다. 이왕가박물관은 근대적 의미의 우리나라 최초의 박물관으로 추정되며 1909년 [[창경궁]]이 일반에 공개되면서 동시에 박물관도 같이공개되었다. 1909년 퇴위한 [[대한제국 고종|고종]]이 [[덕수궁]]에 고관 대작과 외국 사신들이 선물한 진귀한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해 [[석조전]]을 건립하였다. 1938년 덕수궁이 공개되면서 석조전에 일본의 근대 미술을 진열, 상설 미술관으로 기능했으며 회화, 조각, 공예로 분류, 전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