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4번째 줄:
 
==초기의 신춘문예==
* 발상지는 [[일본]]이다.<ref name="ReferenceA">[[한겨레신문]], [[2015년]] [[1월 2일]] 신춘문예 100년과 <한겨레></ref> 한국에서 처음으로 신춘문예가 선보인 때는 [[1915년]] [[매일신보]]였다.<ref name="ReferenceA"/> [[매일신보]]는 [[1914년]] 12월 10일치 3면 중앙에 '신년문예모집' 공고를 냈다. [[1920년]]부터 '신춘문예'라는 용어가 나타났고, [[동아일보]]는 [[1925년]], [[조선일보]]는 [[1928년]]에 각각 신춘문예를 시행하기 시작했다.<ref name="한국최초">{{서적 인용
|저자=김은신
|제목=이것이 한국 최초|날짜=1995-11-01
15번째 줄:
 
또한 1928년에는 현상금 대신 ‘박사 진정’(薄謝進呈, 사례로서 얼마 안 되는 돈이나 물품을 준다)이라고 했으나, 이듬해부터, 소설의 경우 1등에게는 60원, 2등에게는 30원을 주었는데, 당시 쌀 중급품 한 가마가 30원, 택시 요금이 1원(균일가)이었다. 첫해에는 4편의 소설체와 8편의 시가체가 뽑혔다. 첫해 주제가 ‘싸움 이야기’와 ‘용 이야기’였는데, 싸움 이야기를 택한 3개 작품 중 한 작품은 전면 삭제를 당했다. 당시의 작가와 작품명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배일(排日) 작품이라서 검열에 걸렸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 신춘문예는 ‘여러 부문의 문학 신인 선발을 목적으로 신문사에서 매년 행하는 문예행사’로 정의할 수 있다.
[[1912년]] 2월 9일의 "현상모집"은 신춘문예의 정의를 바탕으로 할 때, 그 본격적인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다. ‘각지기문(各地奇聞), 속요(俗謠), 소화(笑話), 시(詩), 단편소설(短篇小說), 서정서사(敍情敍事)’의 6개 부문에서 작품을 모집했다. 또한, 1919년 12월 2일의 "현상모집"에서는 신춘문예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한시, 신체시, 시조, 미어(謎語, 수수께끼), 만화를 모집했는데, 마감일은 12월 15일이었다.
 
신춘문예는 매일신보에서 비롯되었으며, 동아일보, 조선일보가 그 뒤를 이었다. 1937년 일본에서 발행된 󰡔신년문예작품집󰡕에 의하면, 해방 이전 일본 전역에서 46개 신문사가 ‘신년문예’를 시행했다.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등단제도라는 기존의 인식과는 달리 현재 일본에도 신춘문예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대략 10여개의 신문사인데, 󰡔나가사키신문(長崎新聞)󰡕, 󰡔야마나시니치니치신문(山梨日日新聞)󰡕, 󰡔호쿠리쿠주니치신문(北陸中日新聞)󰡕, 󰡔후쿠이신문사(福井新聞社)󰡕, 󰡔시모스케신문(下野新聞)󰡕, 󰡔미나미니혼신문(南日本新聞)󰡕, 󰡔미야자키니치니치신문(宮崎日日新聞)󰡕, 󰡔이바라키신문(茨城新聞)󰡕에서는 ‘新春文芸’(신춘문예)라는 명칭을, 󰡔이와테일보(岩手日報)󰡕, 󰡔아리아케신보(有明新報)󰡕, 󰡔아키타사키가케신보사(秋田魁新報社)󰡕에서는 ‘新年文芸’(신년문예)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주로 短歌、俳句、川柳、詩, 수필, 소설 등을 모집하고 있는데, 마감일은 12월 초순이며 당선작 발표는 1월 1일이다. 더구나 신춘문예 명칭과 형식을 사용한 작품 모집은 언론사 외에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주민들을 대상으로 종종 시행되고 있다.
<ref> 조재영, 「신춘문예제도의 명칭과 기원에 관한 연구」, <한국시학연구>47집, 한국시학회, 2016.></ref>
 
== 시행 일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