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사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만주국, 푸이 링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분쟁=만주 사변
|전체=[[중일 전쟁]]
|그림=Mukden 1931 japan shenyang.jpg|200px
|설명=[[선양 시|선양]]을 침략하는 일본 관동군.
|날짜=[[1931년]] [[9월 18일]] - [[1932년]] [[2월 18일]]
9번째 줄:
|교전국1={{국기그림|중화민국}} [[중화민국]]
[[파일:Flag of the Republic of China Army.svg|22x20px|border]] [[국민혁명군]]
|교전국2={{국기그림|일본}} [[일본제국일본 제국]]
[[파일:War flag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vg|22x20px|border]] [[일본제국일본 제국 육군]]
|지휘관1={{국기그림|중화민국}} [[장쉐량]]<br />{{국기그림|중화민국}} [[마잔산]]<br />{{국기그림|중화민국}} [[펑잔하이]]
|지휘관2=[[파일:War flag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vg|22x20px|border]] [[혼조 시게루]] <br /> [[파일:War flag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vg|22x20px|border]] [[미나미 지로]]
20번째 줄:
{{전역상자 만주 사변 전투}}
{{2차대전으로 가는 길}}
'''만주 사변'''(滿洲事變,) Manchurian Incident, Mukden Incident,혹은 '''9·18 사변''')은 [[일본 제국]]이 [[1931년]] [[9월 18일]] [[류탸오후 사건]](柳條湖事件, 만철 폭파 사건)을 조작해 일본 [[관동군]]이 만주를 중국 침략을 위한 전쟁의 병참 기지로 만들고 식민지화하기 위해 벌인 침략 전쟁을 말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19181918년) 이후, 일본이 지원하는 중국의 군벌 [[봉천파]]([[장쭤린]])는 [[장제스]]의 국민혁명군에 밀리기 시작하여 일본 본국 정부는 장쭤린에게 퇴각을 권고했고, 만주에서 그를 보호하려 하였다.(19271927년) 일본 정부의 시각에 반발해, [[관동군]]의 일부 참모들이 모의하여 장쭤린을 암살(19281928년)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로써 관동군과 봉천파의 협조는 종결되고 장쭤린의 아들 [[장쉐량]]은 국민당 정부에 합류(19291929년)하였다. 국민당 정부는 반일 공세를 전개하였고, 세계 경제 [[대공황]](19291929년)과 겹쳐 만주에서 일본의 이권(利權)이이권이 타격을 받았다. 일본이 이러한 위기를 타파하고자 만주 전체를 침략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만보산 사건]](1931년 7월) 등이 터져 나와 양국의 갈등은 심화되었다. 이때, 관동군은 다시 한번 계략을 꾸며 자작극인 [[류타오후 사건]](1931년 9월)을 일으켰던 것이다. 일본은 1932년 1월까지 동삼성(東三省)만주 전역을 점령, 3월에는 괴뢰(傀儡)정권으로서괴뢰정권으로서 [[만주국]]을 성립시켰다.<ref name="글로벌"/> 이러한 일은 국제적으로 많은 비난을 받았고, [[국제 연맹]]은 1933년 2월 리튼 보고서를 채택하여 일본의 철병(撤兵)을철병을 요구했으나 일본은 이를 거부하고 국제연맹을국제 연맹을 탈퇴했다.<ref name="글로벌"/> 만주 사변은 1945년까지 계속된 중국과의 15년 전쟁의 시작이며, [[제2차 세계 대전]]의 서곡(序曲)을서막을 이루는 것이었다.<ref name="글로벌"/>
 
== 배경 ==
30번째 줄:
[[장쭤린]]이 [[관동군]]의 계략으로 피살됨으로써, 관동군과 봉천파 간의 협조 관계는 종결되었다. 국민당 정부는 북경을 점령한 뒤 청일통상조약(1896년)을 폐기한다고 일본에 통고하였다. <ref name="이이화"/> 이는 국민당 정부가 국민의 여론을 등에 업고 본격적으로 배일공세를 취하기 위한 신호였다. <ref name="이이화"/> 일본에 반감을 가지게 된, 장쭤린의 아들 [[장쉐량]]이 [[장제스]]의 [[중국 국민당|국민당 정부]]에 합류(1929년)하게 되자 만주에서도 일본상품을 배척하고 제국주의적 이권을 다시 회수하고자 하는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장쉐량 정권은 국권회복운동의 일환으로 여순·대련의 조차지 및 [[남만주 철도]]의 회수, 영사재판권 철회, 일본에 의한 철도부설권 및 탄광개발권 확장에 대한 반대, 일본인·조선인에 대한 가옥임대료 및 소작료 인상 또는 계약갱신 거부 등을 주장했다.<ref name="역사비평"/> 이로 인해 일본인의 동북 지역 활동은 크게 위축되었다.<ref name="역사비평"/> 그리고 중국 국민정부에 의한 만주철도포위선 건설계획은 만주철도의 이권을 위협하게 되었다. 1920년대에는 만주에 투자된 외국 자본 중 70% 이상이 일본의 자본이었을 정도로 일본은 만주 경영에서 톡톡히 재미를 보고 있었다.<ref name="남경태"/> 그러나, 1929년 발생한 세계 경제[[대공황]](1929~39년)으로 성장일로에 있던 일본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고<ref name="남경태"/> [[남만주 철도]] 영업도 부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국권회복운동과 [[소련]]의 제1차 5개년계획의 진척 등의 상황으로 인해 일본은 만주 전체를 침략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이것을 <만·몽의 위기>라고 선전하고, 침략을 정당화시키는 여론을 조성하였다. [[관동군]]을 중심으로 한 일본 군국주의자들은 시데하라 외교(당시 일본 외무대신인 [[시데하라 기주로]]의 국제협조노선에 바탕한 경제외교)의 연약함을 강력히 비난하면서 무력에 의한 동북침략의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ref name="역사비평"/> 일본의 군국주의자들은 만주를 아예 점령하는 것만이 일본의 유일한 활로라고 주장했다.<ref name="남경태"/> 이렇게 보면 만주 사변은 사실상 관동군의 독자적인 결정인 것만은 아니었다.<ref name="남경태"/> 이런 상황에서 1931년 6월 [[나카무라 대위 사건]]과 [[1931년]] 7월의 [[만보산 사건]]이<ref 터져 나왔다. 1931년 6월에 나카무라 (中村) 대위 사건name="고바야시"/>([[:ja:中村大尉事件|中村大尉事件]])과 1931년 7월 2일 [[만보산 사건]]발생했다터져 나왔다.<ref name="고바야시"/>나카무라 대위 사건은 변장을 하고 중국 동북의 [[다싱안링 산맥|흥안령(興安嶺)]] 지방에서 스파이 여행 중이던 참모본부의 [[나카무라 신타로]](中村震太郎) 대위가[[대위]]가 중국군에게 붙잡혀서 동행하던 [[이스키 노부타로]](井杉延太郎) 예비역 상사 등과 함께 사살된 것이다.사건이다<ref name="고바야시"/>. 진상은 8월이 되어서야 일본 측이 발표했는데 일본인의 반중국의식을 자극했다. <ref name="고바야시"/> 한편, 1931년만보산 7월 2일,사건은 [[지린 성]] [[창춘 시|창춘 현]](長春縣) 싼싱바오(三姓堡) 만보산 지역에서 일본의 술책으로 조선족 농민과 중국인 농민 사이에 수로(水路) 문제로 충돌 및 유혈사태가 일어났고, 이것이 일본의 술책으로 인한 것을 알게 된 중국에서는 배일 운동이 더욱 심화되었다.
 
== 발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