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Goodbye: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Hello, Goodbye'''〉는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의 노래로, [[폴 매카트니]]가 쓰고 [[레논-매카트니]]로 크레디트되었다. 뒷면에는 [[존 레논]]의 〈[[I Am the Walrus]]〉가 실렸다. 음반 미수록 싱글로 1967년 11월 발매했으며, 비틀즈가 자신들의 매니저 [[브라이언 엡스타인]]의 죽음 이후 처음 발표한 음반이었다. 싱글은 세계 곳곳에서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를 비롯한 각국에서 차트 정상을 석권했다.
 
매카트니는 이후에 가사가 자신들의 주제에서 나타나는 이중성을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노래의 기원은, 비틀즈의 조수 [[앨리스테어 테일러]]의 송라이팅에 대한 질문에서 그 답이 있다. 매카트니는 [[하모늄]]에 앉아 테일러에게 그가 묻는 질문에 반대로 대답했다. 완성된 곡에 포함된 음악적 [[코다|종결부]]는 비틀즈가 1967년 10월의 녹음에서 즉흥적으로 만들어낸 것이었다. 노래에 그다지 흥미를 느끼지 못한 레논은 〈I Am the Walrus〉를 A면으로 하자며 밀어 붙였으나, 매카트니와 밴드의 프로듀서 [[조지 마틴]]은 더 상업적으로 잠재력 있는 〈Hello, Goodbye〉를 선택했다. 비틀즈는 총 세 편의 홍보 영상을 촬영했다. 이중 하나는 미국의 《[[에드 설리번 쇼]]》에서 공개되었다. 영국에서는 [[립싱크]]가 규제되고 있었기에 그곳에서는 아무것도 방영되지 않았다.
 
발표 당시, 〈Hello, Goodbye〉는 음악 평론가들의 각양각색의 평가를 받았다. 일부 평론가는 노래의 클래식 팝적 품질에 감탐했지만, 또 일부는 비틀즈의 평범한 곡이자 중요치 않은, 덜 모험적인 곡으로 낮은 평가를 했다. 트랙은 미국에서 발표된 확장된 《[[Magical Mystery Tour]]》 사운드트랙 EP에 수록되었다. 이후로 《[[1967–1970]]》, 《[[1 (음반)|1]]》과 같은 컴필레이션 음반에 수록되었다. 매카트니는 2002년 [[드라이빙 월드 투어]]부터 시작해 종종 콘서트에서 〈Hello, Goodbye〉를 공연하고 있다. [[제임스 라스트]], [[버즈 생크]], [[앨런 투새인트]], [[더 큐어]], 글리의《[[글리 (드라마)|글리]]》의 출연진 중 일부가 노래를 녹음한 바 있다.
 
==배경==
28번째 줄:
비록 송라이팅 크레디트는 [[레논-매카트니]]로 표기되었으나, 〈Hello, Goodbye〉는 [[폴 매카트니]] 혼자서 쓴 것이다.{{sfn|Womack|2014|p=370}} 매카트니는 비틀즈의 매니저 [[브라이언 엡스타인]]의 조수,{{sfn|Turner|1999|pp=125, 139}} [[앨리스테어 테일러]]와 [[언어 연상]] 연습을 하다 작곡에 대한 영감을 받았다.{{sfn|Everett|1999|p=142}} 곡의 기원이 되던 시기는, 1967년 4월의 음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의 완성 이후였고, 비틀즈는 당시 창조적 과정의 일환으로 임의성과 단순성을 포옹하고 있었다.{{sfn|MacDonald|1998|pp=223, 227, 238}}
 
테일러의 기억에 따르면, 그는 런던 [[성 존스 우드]]에 소재한 매카트니의 집을 방문했고 그에게 어떻게 하여 곡을 쓸 수 있는지를 물었다. 매카트니는 응답의 의미로, 테일러를 식당방으로 데려가데려간 테일러와 그곳에 있는 [[하모늄]]에 함께 앉았다. 매카트니는 악기를 연주함과 동시에 테일러에게 자신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던지는 각 낱말에 반대되는 단어를 말해 달라고 부탁했다.{{sfn|Turner|1999|p=139}} 작가 [[스티브 터너]]가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렇게 시작되었다. 흑과 백, 네와 아니오., 멈춤과 출발, 안녕과 잘 가요."{{sfn|Turner|1999|p=139}} 테일러는 이렇게 회상했다. "그때의 곡조에 대해 기억나는 건 없어요 ... 폴이 과연 노래를 부르면서 곡[의 멜로디]를 만든 것인지, 혹은 그의 머릿 속에서 이미 돌아다니고 있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sfn|Turner|1999|p=139}}
 
[[배리 마일스]]가 매카트니의 전기를 집필하기 위해 1990년대에 그와 대화했을 때, 매카트니는 가사가, 자신의 별자리인 [[쌍둥이자리]]를 반영하고 있는 이중성에 대한 것이라고 말했다.{{sfn|Guesdon|Margotin|2013|pp=440, 441}} 그는 이렇게 덧붙였다. "그것은 이 우주에서 꽤나 심오한 주제죠. 남성과 여성, 흑인과 백인, 흑과 백, 고와 저, 우와 좌, 안녕과 잘 있어. 이것들은 굉장히 곡을 쓰기 좋은 주제였어요." 또한, 매카트니는 〈Hello, Goodbye〉에서, "이중성에서 더 긍정적인 면"을 홍보하고 있다고 말했다.{{sfn|Guesdon|Margotin|2013|p=440}} 비틀즈의 전기작가 중 [[이언 맥도널드]]는 작곡 시점을 1967년 9월 말로 기술했고,{{sfn|MacDonald|1998|p=238fn}} [[밥 스피츠]]는 그해 6월 국제 텔레비전 방송 《[[아워 월드]]》를 준비하던 무렵 작곡했다고 주장한다.{{sfn|Womack|2014|p=31}} 스피츠에 따르면 폴 매카트니는 《아워 월드》에 사용하기 위해 〈Hello, Goodbye〉를 썼으나,{{sfn|Womack|2014|p=31}} 그 공은 존 레논이 작곡한 〈[[All You Need Is Love]]〉에게 돌아갔다.{{sfn|MacDonald|1998|p=229}}{{refn|group=nb|Spitz's claim contradicts the more widely held view that McCartney submitted "[[Your Mother Should Know]]" for the broadcast.{{sfn|Womack|2014|p=31}} }}
 
==작곡==
비틀즈의 전기작가 중 한 명인 이언 맥도널드는 작곡 시점이 1967년 9월 말로 기술하였고,{{sfn|MacDonald|1998|p=238fn}} 밥 스피츠는 그해 6월 국제 텔레비전 방송 《아워 월드》를 준비하던 때 썼다고 말한다.{{sfn|Womack|2014|p=31}} 스피츠에 따르면 폴 매카트니는 《아워 월드》에 사용하기 위해 〈Hello, Goodbye〉를 썼으나,{{sfn|Womack|2014|p=31}} 그 공은 존 레논이 작곡한 〈[[All You Need Is Love]]〉에게 돌아갔다고 한다.{{sfn|MacDonald|1998|p=229}}{{refn|group=nb|Spitz's claim contradicts the more widely held view that McCartney submitted "[[Your Mother Should Know]]" for the broadcast.{{sfn|Womack|2014|p=31}} }}
〈Hello, Goodbye〉은 다 장조이며 4/4 박자를 따른다.<ref name=pollack>{{cite web|url=http://www.icce.rug.nl/~soundscapes/DATABASES/AWP/hg.shtml |title=Notes on 'Hello Goodbye'|last=Pollack|first=Alan W.|year=1996|publisher=soundscapes.info|accessdate=22 June 2015}}</ref> 맥도널드는 음악적 구조를 "특징적 스칼라"로 정의하며 "C의 하강 시퀸스" 및 "놀랍기 그지없는 A 플랫의 잠시간의 착륙"에 기초해 성립되었다고 설명한다.{{sfn|MacDonald|1998|p=238}} 음악학 연구가 월터 에버렛은 후렴의 베이스라인은 하강 음계의 반전된 형태를 취함으로써, 리드 기타 파트가 비틀즈의 녹음에 악센트를 부여했다고 썼다.{{sfn|Everett|1999|p=143}}
 
에버렛은 레논-매카트니의 이전 작곡과 〈Hello, Goodbye〉의 관계가 상당하다고 평가한다. 버스에 걸쳐 평행하는 세 번째 보컬은 밴드의 미발표 노래인 〈[[Love of the Loved]]〉를 환기한다. 멜로디적으로는, 후렴은 〈[[For No One]]〉의 건반 파트와 유사하며 상호보완적인 보컬 파트의 마지막 구절은 〈[[Help! (노래)|Help!]]〉를 환기한다.{{sfn|Everett|1999|pp=143–44}} 또한 에버렛은 〈Hello, Goodbye〉의 초기에는 매카트니가 〈[[Strawberry Fields Forever]]〉와 "상반된" V–VI 코드를 모방한 부분을 넣었음을 설명했다.{{sfn|Everett|1999|p=143}} 에버렛은 작곡이 "매카트니의 파생물"로써, 표준적 에이트 바에서 탈피한 악구 구절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파트가 거의 "새단장하고 있다"고 말했다.{{sfn|Everett|1999|p=143}}
 
곡의 제목과 연장선상에 있는 가사는 일련의 반의어(예: 예-아니오, 흑-백, 머무름-출발함)로 구성돼 있다.{{sfn|Hertsgaard|1996|p=232}} 화자의 시점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사람이 교대로 대체하고 있으며, 그러한 작곡은 조지, 이라 거슈윈의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을 환기한다.<ref name=pollack />{{sfn|Womack|2014|p=370}}
 
세 번째 후렴 다음으로, 발표된 녹음에서 2:36 시점의 베이스라인은 내려가는 반음계의 시작을 알리며 [[앨런 폴락]]은 이를 "최초의 아우트로"<ref name=pollack /> 그리고 에버렛은 "[[코데타]]"로 정의했다.{{sfn|Everett|1999|p=143}} 거짓 엔딩 다음으로, 노래는 약 45초간의 코다로 전환된다.<ref name=pollack /> 맥도널드는 이른바 "마오리 피날레"로 칭해지는 이 구간이 "'하와이인'과 착각한 실수 (알로하)"라고 지적했다.{{sfn|MacDonald|1998|pp=238–39}} 코다는 다장조에서의 지속음에 걸쳐 반복되는 음악적 악구로 구성되며,<ref name=pollack /> "Helaheba-hello-a" 보컬 반복구가 수반된다.{{sfn|Womack|2014|p=371}}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