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27번째 줄:
== 역사 ==
{{참고|밀양시의 행정 구역#연혁|설명=행정구역의 역사는}}
* 본래 [[가야]]의 영역이었는데, [[신라]]가 점령하고 추화군(推火郡)을 설치하였다. 신라 [[효소왕]] 때(692년 ~ 702년), 사리(使吏) 간진(侃珍)이 추화군(推火郡) 능절(能節)의 지대(地代) 30석을 거두어 성중(城中)으로 수송(輸送)하였다는 단편적인 기록이 있다.
*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밀성군(密城郡)으로 개칭되고, 아래 속현 5개를 관할하였다. ([[신라의 행정 구역]] 참조.)
{|class="wikitable"
|+
'''757년 밀성군의 행정구역명 개칭과 속현의 위치'''
|-
! 구 명칭 !! 신 명칭 !! 현대의 비정 위치
|-
| 서화현(西火縣) || [[상약현]](尙藥縣) || [[창녕군]] [[영산면]]
|-
| 추포현(推浦縣) 또는 죽산(竹山) || [[밀진현]](密津縣) || [[삼랑진읍]]
46번째 줄:
|}
 
* 나말여초의 승려 [[보양]](寶壤)이 추화군의 봉성사(奉聖寺)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
* [[940년]]([[고려 태조]] 23년) 상약현이 영산현으로 개칭되고, 천산부곡이 수산현(守山縣)으로 승격하였다. 오악, 형산, 소산 3개현이 합병하여 [[청도군]]이 되었으나, 곧 다시 밀성의 속현이 되었다.
* [[995년]] 밀주(密州)로 승격하였다.
62번째 줄:
* [[1394년]](조선 태조 3년), 명나라에 입조한 환자(宦者) 김인보(金仁甫)의 고향이라는 이유로 다시 밀양부로 승격하였다. 계성현이 영산현에 편입되었다.
* [[1401년]](조선 태종 원년), 다시 밀성군이 되었다.
* [[1415년]](조선 태종 15년), 1천 가구 이상인 고을을 도호부로 하면서 밀양도호부(密陽都護府)가 되었다. [[조선 세종]] 때 기준으로, 수산현(守山縣)과 풍각현(豐角縣)을 속현(屬縣)으로 두고 있었고, 향(鄕)이 1개(내진향(來進鄕)), 부곡(部曲)이 3개(두야보(豆也保)·이동음(伊冬音)·금음물(今音勿))였다.
* [[1479년]](성종 10년), [[밀양읍성]]이 신축되었다.
* [[1592년]] [[5월 27일]]([[음력 4월 17일]]) [[양산]] 목사 [[박진]]은 [[부산]]과 [[동래]]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에 겁을 먹어 전투다운 전투도 못하고 밀양으로 후퇴하였고, [[5월 28일]]([[음력 4월 18일]]) [[박진]]은 군민 300명을 모아 밀양 [[작원관]]에서 [[부산진 전투|부산진]]과 [[동래성 전투|동래]]에서의 전투 이후 최초로 전투다운 전투를 벌였다. (→[[경상도 및 충청도 함락]])
* [[1599년]], [[권응수]]가 밀양부사로 부임하였다.
84번째 줄:
* [[1963년]] [[1월 1일]] 삼랑진면을 [[삼랑진읍]]으로 승격하였다.<ref>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ref> (2읍 10면)
* [[1966년]] [[7월 15일]] 삼랑진읍 임천출장소를 설치하였다.<ref>군조례 제103호</ref>
* [[1971년]] [[3월 4일]] 밀양종합고등학교(현, 밀양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 [[1973년]] [[6월 11일]], [[밀양도서관|밀양 군립 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1973년]] [[7월 1일]] 하남면을 하남읍으로 승격하였다.<ref>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ref> (3읍 9면)
* [[1974년]] [[4월 15일]], 밀양군립박물관(현, 밀양시립박물관)이 개관하였다.
* [[1986년]] [[11월 10일]] 밀양시외버스터미널이 면허를 받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 [[1989년]] [[1월 1일]] 밀양읍 일원을 관할로 밀양시가 설치되었다.<ref>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ref> (2읍 9면 6행정동)
103번째 줄:
[[화악산 (경상도)|화악산]](이는 조선 때에는 밀양의 진산(鎭山)으로 여겨졌다), [[가지산 (경상도)|가지산]]의 지맥이 북동쪽에 융기해 있어 산세가 험준한 산간지대를 이루었지만, 남쪽은 [[낙동강]]과 [[밀양강]] 유역에 광활한 상남·하남 평야가 전개되어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으므로 농업생산력도 다른 시에 비해 과시할 만한 곳이다. 수자원이 풍부하여 일찍이 섬유공업이 발달되었으며, 남천강변에 휴양지가 많이 있어 입지적으로 보아 상공업의 발달에도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ref>[http://www.miryang.go.kr/sub/05_01.php 밀양시의 지리], 2012년 5월 5일 확인</ref>
 
[[낙동강]]은 창녕군 쪽에서 동진하여 [[초동면]]·[[하남읍]]─창원시 [[동읍]]·[[대산면]]·김해시 [[한림면]] 사이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가 [[삼랑진읍]]과 김해시 생림면 간의 경계에서 [[밀양강]]과 합류한다. [[밀양강]]의 본류 동창천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의 [[고헌산]]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밀양으로 진입하여 [[단장천]],[[감존천]],[[범곡천]],[[직현천]] 등과 합류하고, [[상동면 (밀양시)|상동면]]에서 [[청도천]]과 합류하여 본격적으로 밀양강이 되어 남류하다가 [[낙동강]]에 합류한다.
 
=== 기후 ===
402번째 줄:
 
==참고 문헌==
* [[김부식]] (1145), 《[[삼국사기]]》 〈[[:s:삼국사기/권34 |잡지제삼 지리일(雜志第三 地理一)]]〉
:*정구복 외,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일연]](1281),《[[삼국유사]]》〈[[:s:삼국유사/권제2|권제2 효소왕 시대 죽지랑 條]]〉 · 〈[[:s:삼국유사/권제4|권제4 보양과 배나무 條]]〉
412번째 줄:
== 바깥 고리 ==
{{위키공용분류|Miryang, Gyeongsangnam-do}}
* {{언어고리언어링크|ko|en|ja|zh}} [http://www.miryang.go.kr/ 밀양시청 (공식)]
{{지리적 위치
|중앙 = 경상남도 밀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