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노키 마사시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일본의 신 삭제함, 분류:일본의 인물신 (겐무) 추가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9번째 줄:
|출생=불명<ref name="h">[[에도 시대]] [[라이 산요]](頼山陽)가 그의 저서《[[일본외사]](日本外史)》에서 [[에이닌]] 2년([[1294년]]) 생으로 추측해 향년 43세로 언급한 것이 후세에 관용처럼 인용되고 있다.</ref>
|사망=[[겐무]] 3년 5월 25일([[1336년]] [[7월 4일]])
|별명=초명 : 다몬마루, 마사시게<br /> 별명 : 다이난 공(大楠公)
|계명=靈光寺大圓義龍卍堂
|묘소=[[오사카 부]] [[가와치나가노 시]] [[간신지]]
|관위=병위위, 종오위하 검비위사, 좌위문위, 가와치노카미, 셋쓰노카미, 추증 정일위
|주군=[[고다이고 천황]]
|씨족=[[구스노키 씨]](楠木氏)
20번째 줄:
|자녀=[[구스노키 마사쓰라]]<br />[[구스노키 마사토키]]<br />[[구스노키 마사노리]]
|}}
'''구스노키 마사시게'''({{ja-y|楠木正成|くすのき まさしげ|구스노키 마사시게}} ?<ref name = "h"/> ~ [[1336년]] [[7월 4일]])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남북조 시대 (일본)|남북조(南北朝) 시대]]까지 활약한 가와치(河内)의 무장이다. [[가마쿠라 막부]]로부터 악당(惡堂)이라 불리며, [[고다이고 천황|고다이고(後醍醐) 천황]]의 막부 타도에 동참하였다. [[메이지 유신]] 후, 재평가되어 [[1880년]] 정1위에 추증되었다. 가마쿠라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이 친정을 실시한 뒤, 천황을 도와 막부 타도에 동참했던 [[아시카가 다카우지|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가 천황을 등지고 다시 막부를 세우려 하자 그와 대립해 끝까지 황실의 편에 서서 싸우다 미나토(湊) 강의 싸움에서 패하고 자결하였다.
 
== 생애 ==
32번째 줄:
 
=== 거병ㆍ가마쿠라 막부 타도 ===
이 해 고다이고 천황의 거병 소식을 접하고 시모아카사카(下赤坂) 성에서 거병, 가마쿠라 막부측의 유아사 조부쓰(湯淺定佛)와 싸워 승리했다(아카사카 성 싸움). 이때 천황과 구스노키를 연결해 준 것은 이가 가네미쓰(伊賀兼光) 혹은 [[진언종|진언밀교(眞言密敎)]]의 승려인 몬칸(文觀)으로 보인다. 고다이고 천황이 [[오키 제도|오키(隱岐) 섬]]으로 유배되었을 동안에도 [[야마토 국|야마토(大和)]](지금의 [[나라 현]])의 [[요시노|요시노(吉野)]] 등지에서 막부와 교전하고 있던 모리나가(護良) 친왕과 함께 가와치 국의 가미아카사카(上赤坂) 성, [[곤고 산|곤고(金剛)]] 산 중턱에 쌓은 지하야(千早) 산성 등에서 [[게릴라전|게릴라 전법]] 및 분뇨를 사용한 오물공격 등으로 막부군에 맞서 분전했다.
 
그러한 그의 활약으로, 겐코 3년ㆍ[[쇼쿄]] 2년([[1333년]])에 이르면 일본 전국 각지에서 막부 타도의 움직임이 거세지게 되었고,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닛타 요시사다|닛타 요시사다(新田義貞)]], 아카마쓰 노리무라(赤松円心) 등의 거병으로 마침내 가마쿠라 막부는 멸망하였다(겐코의 난). [[교토 시|교토(京都)]]로 개선하는 천황을 구스노키는 [[효고 현|효고(兵庫)]]까지 나아가 마중하였고 천황의 경호를 맡았다고 한다.
 
=== 겐무신정 ===
고다이고 천황의 [[겐무 신정]](建武新政)이 시작되자, 마사시게는 기록소기인(記録所寄人)에 잡소결단소봉행인(雜訴決斷所奉行人) 등의 관직에 가와치ㆍ이즈미 등지의 [[슈고]](守護)를 겸하게 되었고, 천황으로부터 절대적 신임을 받았다. 당시 마찬가지로 천황을 도와 막부 타도에 공이 있었던 유키 지카미쓰(結城親光)ㆍ나와 나가토시(名和長年)ㆍ지구사 다다아키(千種忠顯) 세 사람과 더불어 '산보쿠잇소(三木一草)'라 불리며, 그들의 공을 잊지 않고 있던 조정으로부터 두터운 포상을 받았다.(《다이헤이키》중) 그러나 겐무 원년([[1334년]]) 겨울, 호조씨 잔당을 토벌하기 위해 구스노키가 교토를 떠난 직후, 그의 정치적ㆍ군사적 동지이기도 했던 모리요시 친왕이 모반 혐의로 붙들려 아시카가 다카우지에게 인도되는 사건이 있은 뒤 대부분의 관직을 사임한다. 이를 통해 구스노키는 모리요시 친왕의 유력한 조력자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듬해([[1335년]])에 나카센다이(中先代)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고다이고 천황과 그의 신정에 반기를 들고 나섰고, 조정은 닛타 요시사다에게 다카우지 토벌을 명하지만 요시사다는 하코네(箱根)ㆍ다케노시타(竹ノ下)에서 다카우지에게 패한다. 이때 구스노키는 오슈에 있던 [[기타바타케 아키이에]](北畠顯家) 등과 연락해, 요시사다 등과 함께 아시카가 군을 교토에서 축출하였다.
49번째 줄:
[[파일:Kusunoki Masashige statue.jpg|thumb|[[황거외원]]에 있는 구스노키 마사시게상]]
[[파일:Minatogawa Jinja(the front of the main shrine).jpg|200px|left|thumb|미나토가와 신사]]
남조의 시각에서 [[남북조 시대 (일본)|남북조 시대]]를 그린 고전 《태평기(太平記)》에는 구스노키 마사시게의 공적을 유난히 강조해 서술하였고, 아시카가 집안의 사서인 《매송론(梅松論)》에서까지 구스노키는 동정적인 시점에서 서술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전사한 마사시게의 목을 본 다카우지가 "죽고 없다 한들, 가족은 필시 만나고 싶을 게지"라며 그의 목을 정중하게 유족에게 돌려보내는 등, 청렴했던 그에게 보인 다카우지의 경의 때문이기도 했다는 분석이 있다. 또 미나토 강에서 자결할 때까지 아시카가 군과 16번의 전투를 치렀고, 전황이 구스노키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던 후반에 다카우지는 구스노키가 그냥 자신에게 투항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잠시 동안 공격을 멈추고 그가 올 때까지 기다렸다는 설이 있다.(이 이야기는 NHK 역사 다큐멘터리 「그때 역사가 움직였다」에서도 인용되었다.)
 
남북조 싸움이 결국 북조측의 승리로 끝나면서 남조측에 가담해 싸우다 죽은 마사시게는 조적(朝敵, 역적)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에이로쿠(永綠) 2년([[1559년]])에 마사시게의 자손이라 칭한 구스노키 마사토라(楠木正虎)가 조정에 헌금하면서 조상에게 씌워진 조적의 이름을 사면해달라는 탄원을 올렸고, 마침내 [[오기마치 천황]]의 명으로 마사시게는 조적의 이름을 벗을 수 있었다. 또 에도 시대에는 [[미토 번|미토(水戶) 번]]에서 융성했던 미토학의 존왕주의 사가들에 의해 마사시게는 충신으로 추대되어 재조명되기 시작한다. 에도 시대 후기에는 존왕가에 의해서 빈번히 그의 제사가 올려졌고, 그 움직임은 후에 미나토가와(湊川) 신사 창건으로 결실을 맺었다. 한편으로 [[야스쿠니 신사|야스쿠니(靖國) 신사]] 등의 초혼사 창건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오늘날의 게릴라전과도 유사한 전술을 장기로 구사했던 마사시게의 전법은 에도 시대에는 구스노키류(楠木流) 군학(軍學)으로 널리 알려져, 마사시게의 후예를 칭한 구스노키 마사타쓰(楠木正辰)의 제자였던 유이 쇼세쓰(由井正雪, 由比正雪라고도)가 구스노키류 군학을 강연하기도 했다.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남북조정윤론|남북조정윤론(南北朝正閏論)]]이 제기되어 남조가 정통성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면서 구스노키 마사시게는 '''대(大) 남공(楠公)'''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강담(講談) 등에서는 《[[삼국지연의|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속의 천재 지략가 [[제갈량|제갈량(諸葛亮)]]과 견주어 참모적인 이미지가 거듭 붙여졌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중 [[황국사관|황국사관(皇國史觀)]]의 영향으로 대의를 위해 죽을 각오로 전투에 임하는 「충신의 표상」, 「일본인의 귀감」으로서 상찬되어 수신 교육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의 패도(佩刀)인 고류카게미쓰(小竜景光)는 야마다 아사우에몬(山田淺右衛門)의 손을 거쳐 메이지(明治) 천황의 패도가 되었는데, 메이지 천황은 청ㆍ일 전쟁 중 대본영이 [[히로시마|히로시마(廣島)]]로 옮겨질 때도 이 칼을 차고 갔다고 한다. 현재 이 패도는 [[도쿄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메이지 유신]] 이후 정부는 남조 공신의 자손에게도 작위를 하사하고자 그 자손을 탐문했지만 구스노키 마사시게의 자손을 자칭하는 전국 각지의 많은 씨족 가운데 그의 직계임을 확인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를 가진 집안은 끝내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때문에 닛타ㆍ키쿠치ㆍ나와 집안의 자손은 남작의 작위를 받은 것과 달리 구스노키 집안에는 작위가 주어지지 않았다. 그 뒤 1940년(쇼와 10년)에 있었던 '대남공 600년제'를 전후해 구스노키 집안의 자손이 확인되었고 그를 모신 미나토가와 신사 안에 '구스노키 동족회'가 조직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현재 [[니가타 현]]에 그의 직계 자손이라고 하는 가계가 존재하고 있는데, 성은 구스노키(楠木)가 아닌 미나미(南)라고 한다.
 
전후는 가치관의 전환과 역사학에서의 중세사 연구가 진행되면서 '악당'으로서의 성격이 강조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소설가 요시카와 에이지(吉川英治)의 소설 「사본태평기(私本太平記)」로, 여기서는 전쟁 전의 이미지와는 다른 마사시게의 인물상을 그려냈다. 다만 이 '악당'이라는 평가는 어디까지나 역사학에서의 이야기이고 일반적인 것은 아니며(악당이라는 말에는 일반적으로 '사회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사람 내지 악행을 이루는 집단'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아직까지도 마사시게는 일본인들에게는 영웅으로서의 이미지가 더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 일본 NHK 방송의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당당 일본사(堂々日本史)」에서 「겐무신정의 파괴, 악당 구스노키 마사시게 할복(建武新政破れ、悪党楠木正成自刃す)」이라는 타이틀로 방송한 것에 미나토가와 신사가 항의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78번째 줄:
 
* 나가타키(長滝) 시치샤(七社) 신사
: [[기후 현]] [[야마가타 시 (기후 현)|야마가타(山県) 시]] 나가타키에 있는 시치샤 신사 옆에는 '하치오지궁(八王寺宮)'이라는 이름이 새겨진 무덤이 있는데, 구스노키 마사시게의 부인 히사코(久子)의 무덤이다. 예부터 전해오는 이 무덤은 임제종 사찰 난비안간논지(楠妣庵觀音寺)에 있었다고 한다. [[1348년]] 아들 마사쓰라ㆍ마사토키 형제가 시조나와테의 싸움에서 전사한 후, 마사시게의 처는 출가하여 암자를 짓고 살면서 구스노키 일족의 명복을 빌며 지냈다. 그 후, 전란 중 암자를 떠나 [[미노 국|미노(美濃)]]의 이지라촌(伊自良村) 나가타키의 가마가타니(釜ヶ谷) 오쿠노인(奥の院)에 숨어 살았다.(그녀가 태어난 곳인 간나비 촌의 전승에 따르면 히사코는 어느 날 관음상을 모시고 수행을 하러 떠나 종적을 감추었다고 한다.) 오쿠노인에 있는 간나비 신사에는 구스노키 집안이 그들의 조상으로 받들었던 [[다치바나노 모로에|다치바나노 모로에(橘諸兄)]]의 아버지 미노왕(美努王)을 모시고 있다. 묘는 이지라 호에 있는 나가타키 시치샤 신사 경내 서쪽에 있다. 마사시게의 부인 히사코가 이 지역으로 오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닛타 요시사다가 죽은 뒤 그의 동생 와키야 요시스케(脇屋義助)가 [[호쿠리쿠 지방|호쿠리쿠(北陸)]]에서 북조측에게 패해 미노로 숨어 들었고, 그곳에서 미노 지역의 남조 지지파와 함께 북조에 맞서 싸운 네오 성(根尾城) 싸움에서마저 패한 뒤, 네오 강 하류에 주둔하던 북조측 세력을 피해 함께 참전했던 이지라지로사에몬(伊自良次郞左衛門)의 가신과 함께 이지라를 지나 남조의 중심거점이던 요시노로 가는 길을 따라간 것으로 보여진다.
 
* 미나토가와 신사
87번째 줄:
 
* 호켄 탑(奉建塔)
: 구스노키 마사시게 사후 600년을 기념하여 [[1940년]](쇼와 10년) 전국 아동학생과 교직원 등의 모금에 의해 조신사(浄心寺) 터에 세워진 기념탑이다. 마사시게의 추측 연령이 43세인 것에 기인해 높이 43자(약 13m)로 지어졌다. 탑에는 구스노키 집안의 문장인 국수문(菊水紋)과 마사시게가 전장에서 깃발에 써서 내걸었다는 '비리법권천(非理法權天, 이 세상의 어떤 법규와 도리도 위대한 하늘의 뜻보다 우선될 수는 없다)'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다.(단, 이 칭호는 사실이 아닌 구전으로 내려온 것에 기인한 것이다.)
 
* 남공산탕(楠公産湯) 우물
117번째 줄:
 
== 바깥 고리 ==
* {{언어고리언어링크|ja}} [http://gifu-yamagata.jp/kusunoki.htm 구스노키 마사시게 전 다이난 공 박람회]
 
[[분류:13세기 태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