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영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식기 삭제함, 분류:잔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2-8-8}}
[[파일:Physagorian Pythagoras Greedy Tantalus cup 05.svg|thumb|350px|계영배의 단면과 작동원ㄹ.]]
'''계영배'''(戒盈杯)는 '가득참을 경계하는 잔' 이라는 뜻으로, 과음을 경계하기 위해 술이 일정 이상 차오르면 술이 모두 새어나가도록 만든 잔으로 절주배(節酒杯)라고도 불린다. 과유불급(過猶不及), 인간의 끝없는 욕심과 지나침을 경계하는 선조들의 교훈이 담겨 있는 잔이다.
'''계영배'''(戒盈杯, {{llang|el|ο κουνένος τσι δικαιοσύνης|오 코우네노스 치 디카이오시니스}})는 [[잔]]의 형태를 한 장난감이다. 어느 높이 이상 액체를 담으면 [[사이펀]] 효과로 인해 액체가 잔 바닥으로 모두 새어나간다. "계영배"라는 한자는 '가득참을 경계하는 잔' 이라는 뜻이다.
 
이런 형태의 잔은 고대 그리스의 사모스 사람 [[피타고라스]]가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알렉산드리아 사람 [[헤론]]이 제작한 예도 있다.
 
== 유래 ==
=== 중국 ===
고대 중국의 [[춘추시대]]의 춘추오패(春秋五覇)중 하나인 [[제환공]](齊桓公)이 군주의 올바른 처신을 위해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경계하며 늘 곁에 놓아 마음을 가지런이 했던 그릇(欹器)이라 하여 유좌지기(宥坐之器)라 불리었다. 『순자(荀子)』에서 후에 [[공자]](孔子)가 제환공의 사당을 찾았을 때, 그릇에 구멍이 뚫려 있음에도 술이 새지 않다가 어느 정도 이상 채웠을 때 술이 새는 것을 보고 제자들에게 총명하면서도 어리석음을 지키고, 천하에 공을 세우고도 겸양하며, 용맹을 떨치고도 검약하며, 부유하면서도 겸손함을 지켜야한다며 이 그릇의 의미를 가르쳤다고 한다. 현존하는 그릇은 19세기 청(淸)의 [[광서제]](光緖帝)에 만든 것이 전해진다.
 
=== 한국 ===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과학자인 [[하백원]](河百源, 1781~1845)이 술이 가득채우면 새어나가는 잔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비슷한 시기 도공 [[우명옥]]이 계영배를 만들었다고 강원도 홍천 지방의 전설로 내려오고있다. 우명옥은 당시 설백자기(雪白磁器)를 만들어 명성을 얻은 인물로, 후에 자신의 방탕한 삶을 뉘우치면서 계영배를 만들었다고 하며 이 잔은 후에 조선후기의 거상 [[임상옥]](林尙沃, 1779~1855)에게 전해지며 그는 이 잔을 늘 곁에 두고 인간의 과욕을 경계하면서 조선 역사상 전무후무한 거상으로 거듭났다고 한다.
 
줄 12 ⟶ 13:
 
[[분류:잔]]
[[분류:중국의 문화장난감]]
[[분류:한국의 문화]]
[[분류:유체역학]]
[[분류:그리스의 발명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