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화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6-07-07}}
[[File:SangpyeongtongboKorean 01Ryukyuan tongbao.jpg|thumb|200px|[[상평통보류큐국]] 앞면([[선혜청고려]], 주조)[[조선]][[File:Sangpyeongtongbo에서 02.jpg|thumb|상평통보쓰였던 다양한 뒷면동전들]]
[[File:Korea 1884 stamp - 10 mun.jpg|thumb|200px|[[1884년]] [[조선]]에서 발행한 10문 [[우표]] ([[문위 우표]])]]
'''문'''(文)은 옛 [[중국]]과 [[조선]]의 [[화폐]] [[단위]]이다. '''닢'''이라고도 하며, 구리돈 1개를 1문 또는 1닢이라고 했다.
[[File:Sangpyeongtongbo 01.jpg|thumb|200px|[[상평통보]] 앞면([[선혜청]] 주조)]]
[[File:Sangpyeongtongbo 02.jpg|thumb|200px|상평통보 뒷면]]
'''문'''(文)은 [[조선]]의 [[화폐]] [[단위]]이다. 옛 [[중국]]의 [[화폐]] [[단위]]였던 문(文)에서 유래했으며 [[일본]]과 [[류큐국]], [[베트남]]에서 쓰였던 각 나라의 문(文)과도 어원이 같다. '''닢'''이라고도 하며, 가운데에 네모난 구멍이 있는 [[구리]] 또는 [[청동]]으로 된 돈 1개를 1문 또는 1닢이라고 했다. [[17세기]]부터 [[19세기]] 말까지 [[상평통보]]가 동전으로 주로 쓰였으며, [[1892년]] [[조선 양|양(兩)]]으로 대체됐다.
 
== 조선 ==
[[조선]] 초기에 [[한지]]로 만든 [[지폐]]인 저화(楮貨)가 최초의 법정지폐(法定紙幣)로 통용됐고 [[16세기]]까지 교환 수단으로 쓰였다.
[[1633년]]부터 [[1892년]]까지 통용된 [[조선]]의 화폐단위로, 중국의 화폐 단위인 원과 가치가 비슷하다. 주로 통용된 동전은 [[상평통보]]였으며, 100문이 1냥이었다. 다만 조선에서 은 1냥은 400문에 해당한다.
 
[[1423년]] [[조선 세종]]이 [[조선통보]](朝鮮通寶)를 발행해 유통했으며, 150문은 [[은]] 1[[근 (단위)|근]](약 600g)에 고정됐지만 시장에서는 그 가치가 자주 변동됐다. 공식적으로 1문은 [[쌀]] 한 되 가치로 정해졌지만 시장에서는 [[쌀]] 한 되에 3문으로 그 가치가 떨어졌으며, [[1429년]]에는 [[쌀]] 한 되 값이 13문으로 오르기도 했다.<ref name="mun">{{뉴스 인용|url=http://news.hankyung.com/article/2015020661861|제목=세종의 화폐개혁은 왜 실패했을까|저자=김유미|날짜=2015-2-7|출판사=한국경제|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7-9-11}}</ref> 시장에서는 [[화폐]] 사용을 꺼려 다시 [[물물교환]] 상태로 돌아갔다.
문은 [[1892년]]에 [[조선 양|양]]으로 대체되었다.
 
[[1625년]] [[조선 인조]]가 다시 조선통보를 발행했으나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으로 쓰이지 않게 됐다. 동전을 만드는데 필요한 [[구리]]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던 점 또한 [[화폐]] 사용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ref name="copper">{{뉴스 인용|url=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50828000981|제목=[Weekender] Korean currency evolves over millennium|저자=정주원|날짜=2015-8-28|출판사=The Korea Herald|언어=영어|확인일자=2017-9-11}}</ref>
<gallery>
 
Korea 1888 coin - 5 mun.jpg|5문
[[1633년]] 빈민을 구제하던 관청인 [[상평청]]에서 [[상평통보]]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상평통보]]는 [[조선 숙종]] 때인 [[1678년]]에 [[조선]] 각지에서 유통되기 시작했다. 1문은 1푼이라고 하기도 했으며, 10문이 1전, 10전이 1냥, 10냥이 1관과 같았고 [[조선 숙종|숙종]]은 400문을 은 1냥에 고정시켰다.<ref name="fun">{{뉴스 인용|url=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70513592608355|제목=[이승종의 환율이야기]"한 푼만 줍쇼…" 한 푼은 얼마일까?|저자=이승종|날짜=2015-7-5|출판사=아시아경제|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7-9-11}}</ref> 기록이 정확하게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총 1,784,038개가 주조됐다고 알려진 [[당백전]]<ref>[http://numis.org/coins-of-the-month/ numis.org]</ref>을 제외하고는 얼마나 다양한 형태의 [[상평통보]]가 주조됐으며 각각 얼마의 가치를 지녔는지 정확이 알기는 어렵다.
Korea 1888 coin - 10 mun.jpg|10문
 
1 Warn, Korea, 1888, sample coin - Bode-Museum - DSC02715.JPG|1원
{| class="wikitable"
</gallery>
|-
! 액면가 !! 한자 !! 한글 !! 지름 (mm) !! 발행 시작 날짜 !! 기타
|-
| 1문 || 一文 || 일문<small>(당일전)</small> || 24-25 || [[1633년]] ||
|-
| 2문 || 二文 || 이문<small>(당이전)</small> || 27-29 || [[1679년]] ||
|-
| 5문 || 五文 || 오문<small>(당오전)</small> || 31-33 || [[1883년]] ||
|-
| 100문 || 百文 || 백문<small>([[당백전]])</small> || 40.6 || [[1866년]] [[12월 12일]] || 관주전(官鑄錢)은 두께가 2.8mm, 무게가 25.1g로 항상 같다.
|}
 
=== 상평통보 주전소 ===
[[1633년]] [[상평통보]]를 주조하기 시작한 기관은 [[상평청]]이었으나 다른 기관들도 [[상평통보]]를 발행하기 시작했고 발행한 곳을 나타내기 위해 뒷면 위쪽에 다양한 글자를 넣었다. [[1892년]] 문(文)이 [[조선 양|양(兩)]]으로 대체됐을 당시에 52개의 주전소가 있었다.<ref>[http://creounity.com/apps/time_machine/index.php?go=korea.php&lang=en creounity.com]</ref>
 
{| class="wikitable"
|-
! 글자 !! 한글 !! 주전소 !! 발행 연도
|-
| 戶 || 호 || [[호조]] || [[1678년]]
|-
| 工 || 공 || [[공조 (행정기관)|공조]] || [[1685년]]
|-
| 均 || 균 || [[균역청]] || [[1807년]]
|-
| 司 || 사 || [[사복시]] || [[1678년]]
|-
| 賑 || 진 || [[진휼청]] || [[1747년]]
|-
| 向 || 향 || [[양향청]] || [[1742년]]
|-
| 宣 || 선 || [[선혜청]] || [[1742년]]
|-
| 惠 || 혜 || [[선혜청]] || [[1806년]]
|-
| 典 || 전 || [[전환국]] || [[1883년]]
|-
| 兵 || 병 || [[병조]] || [[1742년]]
|-
| 備 || 비 || [[비변사]] || [[1742년]]
|-
| 摠 || 총 || [[총융청]] || [[1692년]]
|-
| 营 또는 營 || 영 || [[어영청]] || [[1678년]]
|-
| 武 (1) || 무 || [[무비사]] || [[1742년]]
|-
| 武 (2) || 무 || [[무위영]] || [[1742년]]
|-
| 禁 || 금 || [[금위영]] || [[1742년]]
|-
| 訓 || 훈 || [[훈련도감]] || [[1678년]]
|-
| 抄 || 초 || [[정초청]] || [[1678년]]
|-
| 統 (1) || 통 || [[삼도수군통제사]] 군영 || [[1727년]]
|-
| 統 (2) || 통 || [[통위영]] || [[1727년]]
|-
| 經 || 경 || [[경리청]] || [[1830년]]
|-
| 守 || 수 || [[수어청]] || [[1742년]]
|-
| 沁 || 심 || [[강화군|강화]]관리영 || [[1883년]]
|-
| 開 || 개 || [[개성특급시|개성]]관리영 || [[1678년]]
|-
| 松 || 송 || [[개성특급시|개성]]관리영 || [[1882년]]
|-
| 利 || 리 || [[리원군|리원]]관리영 || [[1882년]]
|-
| 水 || 수 || [[수원시|수원]]관리영 || [[1727년]]
|-
| 原 || 원 || [[원주시|원주]]관리영 || [[1678년]]
|-
| 海 || 해 || [[해주시|해주]]관리영 || [[1742년]]
|-
| 春 || 춘 || [[춘천시|춘천]]관리영 || [[1888년]]
|-
| 川 || 천 || [[단천시|단천]]관리영 || [[1883년]]
|-
| 昌 (1) || 창 || [[창덕궁]] || [[1864년]]
|-
| 昌 (2) || 창 || [[창원시|창원]]관리영 || [[1864년]]
|-
| 圻 || 기 || [[광주시 (경기도)|광주관리영]] || [[1742년]]
|-
| 京 || 경 || [[경기도|경기]]감영 || [[1742년]]
|-
| 京水 || 경수 || [[경기도|경기]]수영 || [[1742년]]
|-
| 黃 || 황 || [[황해도|황해]]감영 || [[1742년]]
|-
| 平 || 평 || [[평안도|평안]]감영 || [[1678년]]
|-
| 平兵 || 평병 || [[평안도|평안]]병영 || [[1678년]]
|-
| 咸 || 함 || [[함경도|함경]]감영 || [[1742년]]
|-
| 咸北 || 함북 || [[함경북도|함경북]]영 || [[1742년]]
|-
| 咸南 || 함남 || [[함경남도|함경남]]영 || [[1742년]]
|-
| 江 || 강 || [[강원도|강원]]감영 || [[1742년]]
|-
| 尚 || 상 || [[경상도|경상]]감영 || [[1695년]]
|-
| 尚水 || 상수 || [[경상도|경상]]수영 || [[1695년]]
|-
| 尚右 || 상우 || [[경상도|경상]]우영 || [[1695년]]
|-
| 尚左 || 상좌 || [[경상도|경상]]좌영 || [[1695년]]
|-
| 全 || 전 || [[전라도|전라]]감영 || [[1682년]]
|-
| 全兵 || 전병 || [[전라도|전라]]병영 || [[1678년]]
|-
| 全右 || 전우 || [[전라도|전라]]우영 || [[1678년]]
|-
| 全左 || 전좌 || [[전라도|전라]]좌영 || [[1678년]]
|-
| 忠 || 충 || [[충청도|충청]]감영 || [[1742년]]
|}
 
[[경리청]]에서 발행한 [[상평통보]]는 經(경)을 [[행서]]로 나타냈다.
 
동전의 뒷면 아래에는 주조 번호를 표시하기 위해 [[천자문]]이나 [[오행]], [[팔괘]], [[천간]], [[지지 (역법)|십이지]]에 나오는 문자 등을 넣었다. 동전의 왼쪽이나 오른쪽에는 주로 점이나 원, 초승달 모양, 가로줄 및 세로줄 등과 같은 기호들을 넣었다.
 
=== 당백전과 물가 상승 ===
[[1866년]] [[흥선대원군]]이 부족한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당백전]]을 발행하자 문(文)은 [[인플레이션]]을 겪기 시작했다. [[당백전]]의 실제 가치는 당오전의 5배에서 6배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나 법정 가치가 100배에 해당해 물가 상승을 초래했고, [[쌀]]값은 2년만에 6배로 치솟았다. [[1835년]] [[에도 막부]]도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100문 동전 천보통보(天保通寶)를 발행했고<ref>Takizawa Takeo(1996). ''Nihon no Kahei no Rekishi'', Yoshikawa Kobunkan. p.242</ref>, [[청나라]]도 [[태평천국의 난]]의 여파로 [[1853년]]에 100문 동전을 발행했으며<ref>Peng Xin-Wei(1958). ''Zhongguo Huobi Shi second ed.'', Shanghai Renmin Chubanshe. pp.833-838</ref> 이들 역시 [[인플레이션]]을 유발했다.
 
[[1883년]] [[조선 고종]]은 통화정책을 정비하고 국제적인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조폐기관인 [[전환국]]을 설치했고, 문(文)과 [[상평통보]]는 [[1892년]]에 [[은화]]인 [[조선 양|양(兩)]]으로 대체됐다.
 
== 옛 중국 ==
청나라 때까지 1문은 1냥의 1/1000 가치를 지녔다. 이때 다시 말해1000문은 1000문=1냥이었으며, 이때 [[]] 1냥과 같은 가치를 지닌다지녔다.
 
{{한국의 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