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각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Quartz3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Quartz3 (토론 | 기여)
20번째 줄:
자각몽의 대한 언급은 고대 그리스 글에서 발견되었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종종 잠이 들 때, 지금 나타난 것은 한낱 꿈이라고 의식의 무언가가 선언했다"라고 기록했다. 그리고 의사이며 철학자였던 ‘아일리우스 갈레노스’는 자각몽을 치료의 형태로 사용하였다. 또한, 415년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쓴 편지에서 꿈 해석가 겐나디우스의 이야기에 대해 말하고 여기서 자각몽에 대해서 언급하기도 했다.
동양에서는 특히, 티베트 불교의 ‘드림 요가’와 고대 인도의 ‘니드라 요가’에서 자신이 꿈을 꾸고 있음을 자각하는 행동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훈련은 고대 불교 신자들 사이에서는 흔한 수행방법이었다.
 
=== 17세기 ===
철학자이자 의사였던 토마스 브라운은 꿈에 매료되었고, 그가 쓴 ‘의사의 종교’에서 자각몽 속 자신의 능력을 묘사해두었다 - "나는 꿈에서 희극을 쓰고, 행동을 지켜보고, 야유를 받고, 그들의 무관심에서 깨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665년 사무엘 피피스가 일기에도 자각몽에 대한 기록이 있다 - "나는 연인을 안고 있었고, 모든 욕망과 희롱을 그녀에게 허락받았다. 그리고 이 꿈에서 일어나지 않기를 꿈꿨지만, 그러나 그것은 단지 꿈에 불과했다"
 
=== 19세기 ===
1867년에 프랑스 문화학자 데르베 드 생 드니는 관찰 사례를 쓴 글 '꿈과 그들을 감독하는 방법, 실질적인 관찰' 속에 자신의 자각몽에 대한 경험을 다루면서, 누구나 의식적으로 꿈꾸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20세기 ===
1913년 네덜란드 정신과 의사이자 작가인 프레드릭 반 에덴은 ‘꿈에 대한 연구’라는 글에서 '자각몽(루시드 드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일부 사람들은 반 에덴이 자각몽보다 더 구체적인 현상을 언급했기 때문에 이 용어가 잘못된 것이라는 주장도 있기도 하다. 반 에덴은 꿈의 내용이 선명한 지 아니면 흐릿한 지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정신병으로 인한 증상의 일시적인 완화를 위해 꿈의 단계에서 꿈을 꾸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단계를 명확하게 표현하려 했던 것이다.
 
 
== 와일드(Wil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