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이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바깥 고리 → 외부 링크)
14번째 줄:
 
== 역사 ==
성주 이씨(星州 李氏)의 시조인 [[이순유]](李純由)는 [[알평]]의 후손으로 신라 말엽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으며 경순왕조(敬順王朝ㆍ927~935년)에 재상(宰相)까지 올랐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이순유는 아우 이돈유(李敦由)와 더불어 기울어져 가는 신라의 마지막을 지켜본 충신으로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자 마의태자(麻衣太子)와 함께 민심을 수습하고 천년의 사직(社稷)을 보존하기 위하여 구국의 방책을 기도하였으나, 끝내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름마저 극신(克臣)이라 고쳐 지금의 성주읍 경산리(京山里)에 옮겨 숨어 살았다고 한다.
 
이순유의 12세손 [[이장경]](李長庚)은 고려 고종 때의 인물로 슬하에 다섯 아들 이백년(李百年), 이천년(李千年), 이만년(李萬年), [[이억년]](李億年), [[이조년]](李兆年)이 모두 문과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치자 국왕은 그에게 특별히 삼중대광(三重大匡) 좌시중(左侍中)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지전리사사(知典理司事) 상호군(上護軍)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봉하였다. 충렬왕 이후 성주목(星州牧)의 지명을 따라 성주 이씨(星州李氏)라고 하게 되었다.
32번째 줄:
== 인물 ==
* [[이인복]] - 주자학에 밝았으며, 고려 공민왕 때 정당문학 겸 감찰대부가 되고 성산군에 봉해졌다.
* [[이인기]] - 이백년의 아들, 고려 평양부윤
* [[이조년]]
* '''[[이인임]]'''(李仁任, ? ~ 1388년) : 고려 말기의 권신(權臣). 음보(蔭補)로 전객시승(典客寺丞)이 되고 후에 전법총랑(典法摠郞)을 거쳐 공민왕 초에 좌부승선(佐副承宣)이 되었다. 1359년(공민왕 8) 서경존무사(西京存撫使) 때 침입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2등공신에 책록되고, 2차 침입 때는 개경을 탈환하여 1등공신에 책록되었다. 1362년 개성부판사(開城府判事)에서 서북면도지휘사(西北面都指揮使)를 거쳐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고, 1364년 서북면순문사 겸 양윤(西北面巡問使兼平壤尹) 때 최유(崔濡) 등이 덕흥군(德興君)을 내세워 고려에 쳐들어오자 격퇴하였다. 다음 해 삼사우사(三司右使)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가 되고 순성동덕보리공신(純誠同德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1368년 좌시중(左侍中)을 거쳐 이듬해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이 되고, 그 해 서북면도통사(西北面都統使)가 되어 원나라의 동녕부(東寧府)를 정벌하고, 광평부원군(廣平府院君)에 책봉되었다. 1374년 공민왕이 살해되어 후사(後嗣) 문제가 일어나자 태후(太后)·[[경복흥]](慶復興)의 주장을 꺾고 우왕(禑王)을 추대했다. 정권을 잡고 친원정책(親元政策)을 취하여 친명파(親明派)를 추방, [[지윤]](池奫)·[[임견미]](林堅味)·[[염흥방]](廉興邦) 등의 충복들을 요직에 앉혔다. 최영(崔瑩)·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1388년 경산부(京山府)에 안치되었다.
* [[이숭인]] - 이인임, 이인복의 5촌 조카. 호는 도은으로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와 더불어 고려말기의 삼은으로 유명하다. 목은 [[이색]]의 제자이다. 고려 말기에 지밀직사사를 지냈고 조선개국에 반대하여 [[정도전]] 일파인 [[황거정]]에게 피살당했다.
* [[이광적]] (1628~1717) - 대사헌 이언충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이세미(李世美)이다. 조선 효종, 현종, 숙종 삼조에 걸쳐 60년 간이나 입사했던 명신으로 공조참판, 지중추부사 등을 거쳐 90세에 숭정대부에 올랐다. 시호는 정헌(靖憲)이다.
74번째 줄:
 
== 인구 ==
* 2000년 186,188명
* 2015년 203,703명
 
== 바깥외부 고리링크 ==
*[http://www.sungjulee.co.kr/ 성주이씨 대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