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각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직선 변을 가지는 이각형은 불가능하더라도 [[정다각형]]이다. 왜냐하면 두 변의 길이가 같고, 두 각이 (0 도로)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각형은 [[작도 가능한 도형]]이다.<ref name=Eekhoff>Eric T. Eekhoff; [http://www.math.iastate.edu/thesisarchive/MSM/EekhoffMSMSS07.pdf Constructibility of Regular Polygons]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714082609/http://www.math.iastate.edu/thesisarchive/MSM/EekhoffMSMSS07.pdf |date=2015-07-14 }}, Iowa State University. (retrieved 20 December 2015)</ref>
 
다각형의 어떤 정의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이각형을 적절한 다각형으로 취급하지 않는다.<ref>Coxeter (1973), Chapter 1, ''Polygons and Polyhedra'', p.4</ref>
 
== 기본 다면체에서 ==
[[파일:Near uniform polyhedron-43-t0.png|160px|썸네일|파란 직사각형 면이 큐브의 제한에서 이각형으로 되고 있는 고르지 않은 [[깎은 육팔면체]].]]
 
이각형을 [[다면체]]의 [[면 (기하학)|면]]으로 쓰는 것은 이각형이 불가능한 도형이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하지만 종종 이것은 다면체를 변환시킬 때 유용하다.
 
== 구면의 달꼴 ==
[[구면 달꼴]]은 꼭짓점이 구의 대척점인 이각형이다.<ref>Coxeter (1973), Chapter 1, ''Polygons and Polyhedra'', pages 4 and 12.</ref>
 
이런 이각형으로 이루어진 [[구면 다면체]]를 [[호소헤드론]]이라 한다.
 
<gallery>
그림:Regular digon in spherical geometry-2.svg|구 위의 달꼴이다.
그림:Hexagonal Hosohedron.svg|정 육각 [[호소헤드론]]의 이각형 여섯개이다.
</gallery>
 
== 이론에서 중요성 ==
이각형은 그래프나 다면체의 표면 같은 [[위상수학|위상적]] 네트워크 이론에서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위상적 동등성은 오일러 값과 같은 전역적인 위상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최소의 다각형 집합으로 줄이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 같이 보기 ==
줄 35 ⟶ 54:
[[분류:2]]]
[[분류:다각형]]
 
{{토막글|기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