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위키백과:봇_편집_요청/2017년_10월
6번째 줄:
 
== 지형 ==
순천만은 원형에 가까운 만으로 그 크기는 남북직경 약 30㎞30km, 동서 22㎞이다22km이다. 주요 지형은 [[갯벌]], [[염생습지]], [[구하도]], [[자연제방]], [[하천지형]]([[범람원]], [[배후습지]]) 등을 들 수 있다. 순천만의 안과 입구에는 많은 작은 섬들이 있으며 동천하구의 동쪽 해안 지역은 [[해식애]]를 이루고 있고, 서쪽 해안 일대는 뻘질 [[간석지]]로 나타나는데 현재는 [[방조제]]를 만들어 간척하였다. 순천만의 토양은 표토는 암회갈색의 [[사양토]]가 기층에는 뻘질의 점토성분이 많아 배수가 불량한 편이라 [[홍수]] 등 재해대책에 어려움이 있다. <ref>「순천만의 하구 지형 경관 변화」(정성민·이민부, 『지형학회지 Vol.11 No.2』, 2004)</ref>
 
== 서식 동식물 ==
[[파일:Panorama_of_Reed_fields_in_Suncheon_bay.jpg |right|thumb|350px|[[순천만]] 갈대숲]]
순천만에는 [[갈대]]가 고밀도로 단일 [[군락]]을 이루고 있다. 바다와 인접한 갯벌 주변에 약 5.4㎢4km<sup>2</sup>에 달하는 갈대밭이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이루는 동시에 잘 보전된 갈대 군락이다. 잘 보전된 갈대 군락은 새들에게 은신처, 먹이를 제공하여 철새들이 많이 찾아온다. 국제보호조인 [[흑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와 같은 조류 외에도 [[저어새]], [[황새]], [[혹부리오리]], [[민물도요]] 등이 서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논병아리]], [[해오라기]], [[황로]], [[노랑부리백로]], [[쇠백로]], [[중백로]], [[왜가리]], [[쇠기러기]], [[큰기러기]],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고방오리]], [[흰쭉지]], [[댕기흰쭉지]] 등 [[시베리아]]~[[중국]]~[[한국]]을 경유하는 종 140종이 넘는 조류가 관찰 되었다
 
== 산업 및 오염화 ==
현재 순천만 주변의 하천의 직강화로 인해 유속이 빨라져 퇴적물들이 빨리 퇴적하여 갯벌이 확장되고 있다. 또한 갯벌로 갈대의 군락이 확대되고 있다. 또, 복잡한 해안선은 약 58.7㎞에7km에 이르며 간석지가 발달하고 흩어져 있는 섬들 주변은 어업발전에 입지조건이 좋다. 연안에는 [[조기]]·[[멸치]]·[[갈치]]·[[장어]]·[[문어]]·[[전어]] 등의 어업이 성하며, [[김 (해조류)|김]]·[[꼬막]]·[[굴]] 양식도 행하여진다. 하지만 순천만의 구하도 주변에 축사가 들어서고 오폐수의 유입으로 부영양화 현상을 보이고 있고, 구하도의 물이 항상 고여 있어 오염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구하도가 자연적으로 퇴적되어 [[하천]]의 깊이가 얕아지게 되면서 구하도가 매립되어 농경지와 도로로 변하면서 사라지고 있다.
 
== 문화적 가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