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수정
3번째 줄:
== 생애 ==
성종의 서자이자, 3남으로 생모는 [[귀인 정씨 (성종)|귀인 정씨]](貴人鄭氏)이다. 정부인은 면천군부인 능성 구씨(沔川郡夫人 綾城具氏)이다. 연산군이 생모인 [[폐비 윤씨]] 사건의 원인이 성종의 후궁인 정씨와 엄씨의 참소에 있다고 판단하여 사건의 처리과정에서 [[봉안군]](鳳安君) 이봉과 안양군을 이에 연루시켰다. 연산군은 봉안군과 안양군에게 생모 정씨를 때리도록 하였는데, 봉안군은 자기 어머니인 줄을 알고 있었으나, 안양군은 누구인지도 모르고 때릴 정도로 우둔하였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a_A9999_1_0006861&curSetPos=0&curSPos=0&isEQ=true&kristalSearchArea=P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안양군]</ref> 연산군은 다음날 어머니를 때린 것에 대한 상으로 안양군에게 말을 한 필 내렸다.<ref>《연산군일기》 52권, 10년(1504년) 3월 21일 1번째 기사</ref> 며칠 뒤 연산군은 안양군을 제천으로 유배보내고 가산을 몰수하였고 폐비 윤씨 사건 당시 나이가 어려 일을 알지 못하였을 것이니 더 이상 죄를 묻지 말라고 하였다.<ref>《연산군일기》 52권, 10년(1504년) 3월 30일 2번째 기사</ref> 그러나 이듬해인 [[1505년]] 안양군은 사약을 받고 죽었으며 그 처첩은 다른 종친에게로 들어갔다.
 
== 사후 ==
{{참고|전주이씨 안양군 묘}}
묘는 부인 능성 구씨와의 합장묘이며, 묘역은 양주에 있었던 것을 고종 32년(1895) 석물과 함께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산158-1번지로 이장하였다. 봉분 앞에는 제물을 놓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상석이 있고, 그 앞에 불을 밝히기 위한 장명등이 있다. 좌우로는 멀리서도 무덤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망주석과 문인석 등의 석물이 갖추어져 있다. 묘역 앞에는 신종묵이 글을 짓고, 이일형이 글씨를 쓴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세워져 있다. 1990년 4월 30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122호로 지정되었다.
 
== 가족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