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0번째 줄:
== 어원 ==
'터키'의 [[터키어]] 표기인 '튀르키예'(Türkiye)에서 '[[투르크]]'(Türk)는 [[고대 튀르크어]]에서 '강한'을 뜻하는데 보통 [[터키인]]과 [[투르크 제국]] 사람을 일컫는 말로 쓰인다.<ref name="Bartleby">[http://www.bartleby.com/61/92/T0419200.html Turk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oughton Mifflin Company 출판, 2000년 작성.</ref> 후대의 변형인 '투-킨(tu-kin)'은 중국인들이 기원전 177년에 중앙아시아 [[알타이 산맥]] 남쪽에 살던 사람들에게 붙인 이름이었다.<ref name="TurkEtymology">(http://www.etymonline.com/index.php?term=Turk Turk), Douglas Harper,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01년 작성.</ref> 또 '튀르키예'의 접미사인 '-이예(-iye)'는 '주인' 또는 '~와 관계된'을 뜻하며 [[아랍어]] 접미사 '-이야(-iyya)'에서 파생된 접미사이다. [[중세 라틴어]] 접미사 '-이아(-ia)'와 관련되어 '투르키아(Turchia)'라고 쓰이며 [[중세 그리스어]] 접미사 '이아(–ία)'가 붙어 '투르키아(Τουρκία)'라고 썼다. '튀르크' 또는 '튀뤼크(Türük)'가 지명으로 쓰인 최초의 기록은 중앙아시아 돌궐(괴크 튀르크)의 오르혼 비문(서기 8세기경)에 등장한다. 영어 '터키(Turkey)'는 중세 라틴어 '투르키아'에서 나온 말이다.(1369년경)<ref name="TurkEtymology" />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이 영어식 국명이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어]] 표기인 '투얼치({{llang|zh|土耳其}}, 토이기)' 역시 이 영어식 국명을 음역한 것이다.
 
== 역사 ==
{{본문|터키의 역사}}
 
=== 고대 ===
{{본문|아나톨리아의 역사}}
[[파일:Troy1.jpg|thumb|left|200px|[[트로이아 전쟁]](기원전 1200년경) 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전설상의 트로이아 성벽 일부.]]
 
오늘날의 터키 영토 대부분을 이루는 [[아나톨리아]] 반도는 아시아와 유럽이 상호작용하는 장소로서 지구상에서 매우 오래전부터 인류가 거주하던 땅이었다. [[차탈회위크]]([[신석기 3기]]), [[차외뉘]]([[신석기 1기]]에서 신석기 3기), [[네발리 코리]]([[신석기 2기]]), [[하클리아르]](신석기 3기), [[괴베클리 테페]](신석기 2기), [[메르신]] 등 초기 [[신석기 시대]] 거주지는 지구상 최초의 인류들이 살던 거주지로 여겨진다.<ref name="AnatoliaNeolithic">[http://www.canew.org/files/Thissen%20lecture.pdf Time trajectories for the Neolithic of Central Anatolia], Thissen, Laurens, CANeW – Central Anatolian Neolithic e-Workshop 출판, PDF, 2001-11-23.</ref> [[트로이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신석기 시대로, [[철기 시대]]까지 취락이 지속되었다. 역사 시대로 접어들면 아나톨리아 사람들은 [[인도-유럽어]], [[셈어]], [[남카프카즈어족|카르트벨리어]]를 비롯하여 기원이 불확실한 여러 언어를 썼다. 사실 고대 인도-유럽어인 [[히타이트어]]와 [[루위아어]]를 놓고 어떤 학자들은 아나톨리아가 인도-유럽어를 확산시킨 중심지라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ref name="AnatoliaIndoEuropean">Balter, Michael, ''Search for the Indo-Europeans: Were Kurgan horsemen or Anatolian farmers responsible for creating and spreading the world's most far-flung language family?'', [[사이언스|Science]], volume 303, issue5662, p.1323, 2004-02-27, doi 10.1126/science.303.5662.1323, pmid 14988549}}</ref>
 
[[파일:Celsus-Bibliothek2.jpg|thumb|left|200px|[[에페소스]]의 [[켈수스 도서관]]. 서기 135년경.]]
이 땅에 들어선 최초의 제국은 [[히타이트]]로 기원전 18세기에서 13세기까지 존속하였다. 그 다음은 인도-유럽 계통의 [[프뤼기아|프뤼기아인]]들이 패권을 잡았으나, 기원전 7세기에 [[킴메르인]]의 침략으로 멸망한다.<ref name="TroyHittiteEmpirePhrygians">[http://www.metmuseum.org/toah/ht/03/waa/ht03waa.htm Anatolia and the Caucasus (Asia Minor), 2000 – 1000 B.C. in ''Timeline of Art History.''],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10.</ref> 프뤼기아의 가장 강력했던 후계국가는 [[뤼디아]], [[카리아]], [[뤼키아]]였다. 뤼디아인과 뤼키아인은 인도-유럽어에 기원을 둔 언어를 구사했는데, 두 언어는 히타이트와 헬레니즘 시대 이전에 非인도-유럽어의 요소를 받아들였다.{{출처|날짜=2010-07-25}}
 
기원전 1200년경부터 아나톨리아 해안에는 [[아이올리스]]와 [[이오니아]]의 [[그리스인]]들이 정착하였다. 이 지역은 기원전 6~5세기에 [[아케메네스 제국|아케메네스 왕조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이후 기원전 334년에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지배를 받게 된다.<ref name="PersiansInAsiaMinor">[http://www.wsu.edu/~dee/GREECE/PERSIAN.HTM Ancient Greece: The Persian Wars] Hooker, Richard, 출판 Washington State University, WA, United States, 1999-06-06.</ref> [[헬레니즘]] 시대에 아나톨리아는 [[비튀니아]], [[카파도키아]], [[페르가몬]], [[폰토스]] 등 여러 헬레니즘계 소왕국으로 분열되었으며, 기원전 1세기 중엽에 모두 [[로마 공화정|로마]]에 복속된다.<ref name="AlexanderToRome">[http://www.metmuseum.org/toah/ht/04/waa/ht04waa.htm Anatolia and the Caucasus (Asia Minor), 1000 B.C. – 1 A.D. in ''Timeline of Art History.''], Metropolitan Museum of Art, 출판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10.</ref> 기원후 330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뷔잔티온]]을 로마 제국의 새 수도로 삼아 [[노바 로마]]('새로운 로마', 나중에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이스탄불]]이 된다.)라고 개명하였다. [[서로마 제국]]이 몰락한 후에도 이 도시는 [[비잔티움 제국]](동로마 제국)의 수도로 번영했다.<ref>[http://depts.washington.edu/silkroad/cities/turkey/istanbul/istanbul.html Constantinople/Istanbul, Daniel C. Waugh, 출판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2004.]</ref>
 
=== 튀르크인과 오스만 제국 ===
{{본문|튀르크족의 이주|튀르크족의 역사|셀주크 제국|오스만 제국}}
[[파일:OttomanEmpireIn1683.png|thumb|left|200px|절정기의 오스만 제국 영토. 1680년경.]]
 
크느크(Kınık) [[오우즈 튀르크족]]은 10세기경 무슬림 세계의 변방이었던 [[카스피 해]]와 [[아랄 해]] 북쪽인 오우즈 연맹의 얍구 [[카간|칸국]] 살던 사람들로, 셀주크 가문은 이들의 분파였다.<ref>''Al Hind: The Making of the Indo Islamic World, Vol. 1, Early Medieval India and the Expansion of Islam, 7th-11th Centuries'', Andre Wink, Brill Academic Publishers, 1990, isbn 90-04-09249-8.</ref> 11세기에 셀주크 일파는 조상 대대로 살던 땅을 떠나 아나톨리아 동부로 이주하였으며,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말라즈기르트]])에서 승리하면서 이 땅은 오우즈 튀르크족의 새 터전이 되었다. 셀주크의 승리로 [[룸 술탄국|아나톨리아의 셀주크 술탄국]]이 부상하여, 중앙아시아 일부와 이란, 아나톨리아, [[서남 아시아]]를 아우르던 [[셀주크 제국]]의 개별 분파로 성장하였다.<ref>''The Oxford History of Byzantium'', Cyril Mango,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2, isbn 0-1981-4098-3.</ref>
 
1243년에 셀주크 군대는 [[몽골인]]들에게 패배하고, 제국의 패권은 점차 무너지게 된다. 이후 [[오스만 1세]]가 지배하던 일개 튀르크 공국이 200여년이 넘는 세월 간 발전하여 아나톨리아와 발칸 반도, [[레반트]]를 아우르는 [[오스만 제국]]이 되었다.<ref name="Ottomans">''The Ottoman Centuries: The Rise and Fall of the Turkish Empire'', Patrick Kinross, Morrow, 1977, isbn 0-6880-3093-9.</ref>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메흐메트 2세]]의 오스만 군대에 함락되어, 비잔티움 제국이 멸망하였다.
 
[[파일:Edirne 7333 Nevit.JPG|thumb|200px|[[셀리미예 모스크]]는 오스만 제국 시대의 유명한 건축물이다.]]
16~17세기에 오스만 제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강대국이었으며, [[발칸 반도]]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남부를 통해 [[중부 유럽]]으로 점차 진출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과 종종 충돌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2>''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Stanford Jay Shaw, Kural Shaw, Ez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isbn 0-5212-9163-1.</ref> 이에 맞서 지중해의 제해권을 지키고자 [[합스부르크 에스파냐]], [[베네치아 공화국]], [[성 요한 기사단]]이 신성 동맹을 결성하였다. 그런 가운데 [[동아시아]]와 [[서유럽]] 사이의 고대 해상로를 독점한 오스만 제국은 [[인도양]]에서 [[포르투갈]]과 자주 대립하였으며, 1488년 [[희망봉]]의 발견 이래 점차 타협이 이루어졌다.
 
이후 [[오스만 제국의 몰락|쇠퇴기]]에 접어든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 대전]](1914년~1918년)에서 [[동맹국]]편으로 참전하여 결국 패배하였다. 세계 대전 당시 막대한 인명 희생을 부른 [[아르메니아 학살]]도 이때 일어났다.<ref>[http://www.umd.umich.edu/dept/armenian/facts/gen_bib1.html Extensive bibliography by University of Michigan on the Armenian Genocide]</ref> 1918년 10월 30일 [[무드로스 정전 협정]]으로 [[승전국]]인 [[연합국 (제1차 세계 대전)|연합국]]은 1920년 [[세브르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의 분리|오스만 제국을 분리]]시키려 하였다.<ref name="Ottomans" />
 
=== 공화정 시대 ===
{{본문|터키 공화국의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연합군이 [[이스탄불 점령|이스탄불]]과 [[이즈미르 점령|이즈미르를 점령]]하면서 [[터키의 민족 운동]]이 촉발되었다.<ref name="Ottoman_Turkey" /> [[갈리폴리 전투]]에서 공훈을 세운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장군의 주도로 세브르 조약 규정을 철회시키기 위한 [[터키 독립 전쟁]]이 일어났다.<ref name=autogenerated1>''Ataturk'', Andrew Mango, Overlook 출판, 2000, isbn 1-5856-7011-1.</ref> 1922년 9월 18일, 점령군은 퇴각하였으며, 새로운 터키의 나라가 건국되었다. 11월 1일에 [[터키 대국민의회|새로이 열린 의회]]는 공식적으로 [[술탄|술탄국]]의 폐지하여, 623년간 이어진 오스만 제국의 지배가 종식되었다. 1923년 7월 24일 [[로잔 조약]]에서 신생 터키 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의 [[후계 국가]]로서 그 주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으며, [[1923년]] [[10월 29일]]에 새 수도 [[앙카라]]에서 터키 공화국이 정식으로 건국을 선포하였다.<ref name="Ottoman_Turkey" />
 
무스타파 케말은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옛 오스만의 잔재를 털어내고 새로운 세속 공화국의 건설을 목적으로 [[아타튀르크의 개혁|여러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였다.<ref name="Ottoman_Turkey" /> [[1924년]]에 그는 [[632년]] 이래 1300년 동안 이어져 오던 [[칼리프제]]를 폐지하였고, [[터키 공화국]]의 기본 정신인 [[세속주의]]를 법으로 제정했다.
 
[[1925년]]에는 복장 개혁을 시행하여 여성들의 복장을 해방시키고, 과거에 금지되었던 여성의 교육권을 보장해 남녀평등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이슬람력]]을 폐지하여 유럽식 [[그레고리력]]으로 대체했다. [[1926년]]에는 민법을 개정해 일부다처제를 금지하고 [[일부일처제]]를 확립하였으며, [[1928년]]에 [[터키어]]의 아랍 문자 표기법을 폐기하고 [[로마자]] 표기법으로 변경하였다. [[1930년]]에는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했다. '가족명에 관한 법'에 따라, 1934년에 터키 의회는 무스타파 케말에게 '아타튀르크'(아버지 터키인, 즉 '국부')라는 명예 성명을 부여하였다.<ref name="Atatürk" />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중 대부분 터키는 중립을 취하였으나, 1945년 2월 23일에 의례적인 의미로 [[연합국 (제2차 세계 대전)|연합군]]측에 참전하였으며, 1945년 [[유엔]]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ref name="Turkey_UN">[http://www.un.org/Overview/growth.htm Growth in United Nations membership (1945–2005)], United Nations 출판, 2006-07-03.</ref> [[소비에트 연방]]이 [[터키 해협]]에 군사 기지를 요구하는 가운데 옆 나라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내전|공산주의자와 내전]]을 벌이면서 위기 상황이 조성되자, 1947년 [[미국]]은 [[트루먼 독트린]]을 선언하게 된다. 이 독트린에서 미국은 터키와 그리스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개입할 수 있음을 밝혔으며, 그 결과 미국이 대규모로 군사 및 경제 원조를 제공하게 되었다.<ref name="Truman Doctrine">''Outposts and Allies: U.S. Army Logistics in the Cold War, 1945–1953'', James A. Huston, Susquehanna University Press, 1988, isbn 0-9416-6484-8, [http://books.google.com/books?vid=ISBN0941664848&id=ID4E3Lm8TsgC&pg=PA198&lpg=PA198&ots=Yg9KqG871J&dq=turkey+cold+war&sig=d5Xry3n-9lmlUZTnM6tpFBBtxOQ#PPA177,M1].</ref>
 
터키는 [[한국 전쟁]]에서 유엔군으로 참전하였으며, 1952년에는 [[북대서양 조약기구]]에 가입하여 지중해로 진출하려는 소련의 팽창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하였다. 이후 [[키프로스]]에서 십여 년간 [[키프로스 내전|내전]]이 벌어졌고, 1974년 7월에 [[EOKA B|그리스인들의 군사 정변]]으로 [[마카리오스 3세]] 대통령이 실각하고 [[니코스 삼프손]]이 독재 정권을 세우자, 터키는 1974년에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키프로스 공화국을 침공]]하였다. 9년 뒤에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 나라는 오직 터키의 승인만 받은 나라이다.<ref>[http://news.bbc.co.uk/2/hi/europe/1021835.stm Timeline: Cyprus,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06-12-12.]</ref>
 
1945년에 [[터키 공화국의 일당제 시대|일당제 시대]]가 종식된 이후, [[터키 공화국의 다당제 시대|다당제 시대]]에는 수십여 년간 긴장을 초래하였으며, 1960년대에 1980년대 사이에 정치적 불안 상태가 계속되면서 [[1960년 터키 군사 정변|1960년]], [[1971년 터키 군사 정변|1971년]], [[1980년 터키 군사 정변|1980년]]에 군사 정변이 일어났으며, 1997년에는 [[군부가 연립 정권을 하야|1997년 터키 군부 협정]] 시기이기도 하였다.<ref name="TRPoliticsandMilitary">''Turkish Politics and the Military'', William Mathew Hale, Routledge, UK 출판, 1994, isbn 0-4150-2455-2.</ref> 한편 1980년대부터 터키 경제가 자유화되어 이 나라의 경관이 바뀌게 되며, 이후 수십 년 동안 높은 성장과 위기가 잇따랐다.<ref name="80sLiberalization"/>
 
== 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