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위키백과:봇_편집_요청/2017년_10월
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문화재청 = 11,00010000,11
}}
 
'''숭례문'''(崇禮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대문이다. 흔히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부르는데<ref>[https://www.google.com/trends/explore#q=%EC%88%AD%EB%A1%80%EB%AC%B8%2C%20%EB%82%A8%EB%8C%80%EB%AC%B8&cmpt=q&tz=Etc%2FGMT-9 구글 트렌드] 숭례문과 남대문의 관심도 변화 비교 그래프. 2016년 3월 21일 확인.</ref>, 이는 [[일제 강점기]] 시절에 일본이 붙인 명칭이 아니라 조선 초기부터 불린 이름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921066203&cp=nv|제목=우리역사 잘못된 상식 바로잡기 |날짜=2008-10-17|출판사=국민일보|확인일자=2010-02-11}}</ref><ref group="주">《태조실록》에는 홍화문은 속칭 동소문(東小門), 흥인문은 속칭 동대문(東大門), 광희문은 속칭 수구문(水口門), 숭례문은 속칭 남대문(南大門), 소덕문은 속칭 서소문(西小門)이라 하였다고 적혀 있다.</ref> 서울 4대문 및 [[보신각]](普信閣)의 이름은 오행사상을 따라 지어졌는데, 이런 명칭은 인(仁: 동), 의(義: 서), 례(禮: 남), 지(智: 북), 신(信: 중앙)의 5덕(五德)을 표현한 것이었으며, 숭례문의 '례'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ref>{{서적 인용|제목 = 다시찾는 우리역사|꺾쇠표=예|저자 = 한영우|페이지 = 277|인용문 = 숭례문은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로써 610년의 역사를 자랑하였다.}}</ref> 숭례문의 편액은 《[[지봉유설]]》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썼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설이 많다. [[1396년]]([[조선 태조|태조]] 5년)에 {{출처|날짜=2016-03-21|[[최유경]]이}} 축성하였다.<ref name="1396축성">[http://sillok.history.go.kr/id/kaa_10509024_002 《태조실록》] 태조 10권 5년 9월 24일. 2번째 기사. 성 쌓는 일이 끝나자 인부들을 돌려 보내다. 각 문의 이름 ,[https://ko.wikisource.org/wiki/%ED%83%9C%EC%A1%B0%EA%B0%95%ED%97%8C%EB%8C%80%EC%99%95%EC%8B%A4%EB%A1%9D/5%EB%85%84#.EC.84.B1_.EC.8C.93.EB.8A.94_.EC.9D.BC.EC.9D.B4_.EB.81.9D.EB.82.98.EC.9E.90_.EC.9D.B8.EB.B6.80.EB.93.A4.EC.9D.84_.EB.8F.8C.EB.A0.A4_.EB.B3.B4.EB.82.B4.EB.8B.A4._.EA.B0.81_.EB.AC.B8.EC.9D.98_.EC.9D.B4.EB.A6.84 〈위키문헌〉]</ref> [[1447년]]([[세종대왕|세종]] 29년)과 [[1479년]]([[조선 성종|성종]] 10년) 고쳐 지었다.<ref name="cha.go.kr">{{웹 인용
|url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010000,11&flag=Y
|제목 = 문화재청 - 숭례문
|저자 =
|날짜 =
|웹사이트 =
|출판사 = 문화재청
|확인날짜 = 2016년 3월 21일
}}</ref>
 
[[2006년]] [[3월 3일]], 숭례문이 도로에 의해 고립되어 버리는 것을 막고 시민들에게 문화재를 가까이 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 숭례문의 중앙통로를 일반인에게 개방하였다. [[2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40분 전후 방화범 [[채종기]]의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방화]]로 인해 불타기 시작해 약 5시간 후인 11일 오전 1시 54분, 목조 건물 일부와 석축 기반을 남기고 2층 누각이 모두 붕괴되어 소실되었다. [[서울시|서울]] 중구청에서 외부인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가림막을 설치했고, 기온이나 강수, 바람 등 기상요인에 의한 추가 붕괴 방지를 위하여 덮개를 씌웠다. [[문화재청]]에서는 소실된 숭례문을 원형에 가깝게 복구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2013년]] [[4월 29일]] 완공되어, [[2013년]] [[5월 4일]] 복원 완료를 기념하는 완공식이 있었다.<ref name="연합20130504" /><ref name="경향20130504" />
 
== 역사 ==
[[파일:South Gate, Seoul, c.1900.jpg|thumb|350px|숭례문 (1900년경)]]
[[파일:Namdaemun1904.jpg|thumb|250px|숭례문 (1904년)]]
[[파일:Nandaimon in the Japanese Period.JPG|thumb|350px|숭례문 (1935년)]]
* [[1396년]](태조 5년) : {{출처|날짜=2016-03-21|[[최유경]]이}} 준공<ref name="1396축성">[http://sillok.history.go.kr/id/kaa_10509024_002 《태조실록》] 태조 10권 5년 9월 24일. 2번째 기사. 성 쌓는 일이 끝나자 인부들을 돌려 보내다. 각 문의 이름 ,[[s:태조강헌대왕실록/5년#.EC.84.B1_.EC.8C.93.EB.8A.94_.EC.9D.BC.EC.9D.B4_.EB.81.9D.EB.82.98.EC.9E.90_.EC.9D.B8.EB.B6.80.EB.93.A4.EC.9D.84_.EB.8F.8C.EB.A0.A4_.EB.B3.B4.EB.82.B4.EB.8B.A4._.EA.B0.81_.EB.AC.B8.EC.9D.98_.EC.9D.B4.EB.A6.84|〈위키문헌〉]]</ref><ref name="cha.go.kr">{{웹 인용|url=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010000,11&flag=Y|제목=문화재청 - 숭례문|저자=|날짜=|웹사이트=|출판사=문화재청|확인날짜=2016년 3월 21일}}</ref>
* [[1396년]](태조 5년) : {{출처|날짜=2016-03-21|[[최유경]]이}} 준공<ref name="1396축성" /><ref name="cha.go.kr" />
* 태종의 맏아들이던 양녕대군이 숭례문 현액을 씀.<ref group="주">이는 지봉유설의 기록에 의거한 것으로, 일각에서는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의 글씨라는 설이 있음.</ref>
* 1398년(태조7년) : 숭례문 완성.<ref name="cha.go.kr" />
줄 230 ⟶ 217:
|출판사 = 연합뉴스
|확인날짜 = 2016년 3월 20일
}}</ref><ref name="경향20130504">{{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041000171&code=960201|제목=숭례문 오늘 오후 2시 복구 기념식…시민 품으로|저자=홍도은 기자|날짜=2013년 5월 4일|뉴스=|출판사=경향신문|확인날짜=2016년 3월 20일}}<!--동일기사예비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041429351&code=960201--></ref>
}}</ref><ref name="경향20130504">{{뉴스 인용
|ur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041000171&code=960201
|제목 = 숭례문 오늘 오후 2시 복구 기념식…시민 품으로
|저자 = 홍도은 기자
|날짜 = 2013년 5월 4일
|뉴스 =
|출판사 = 경향신문
|확인날짜 = 2016년 3월 20일
}}<!--동일기사예비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5041429351&code=960201--></ref>
 
==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