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문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한편 고려조의 순수한 우리 [[국문학]]은 표기 수단을 얻지 못하고 구비문학으로 전래된 것이지만 그 문학사적 위치는 최고의 수준을 지니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라 말에서 [[고려 광종]]조까지 때까지 생존한 [[균여]]의 <보현십원가>는 [[향가]] 작품으로서 신라문학의신라 문학의 계통을 이은 것이다. 그 표기 수단은 향찰식 표기법이고, 사상은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十種願)을 가사화한 것으로가사화해서 높은 불교문학적불교 향기를문학적 지니고정취가 있다. 균여의균여 작으로는작품으로는 이 밖에도 수십 수의 향가가 있었다고도 하나 오늘날은오늘날 11수 외에는 전혀 남은 것이 없다.
 
이 향가의 계류는 [[고려 예종]]의 <[[도이장가]](悼二將歌)>를 거쳐 [[의종대]](毅宗代)의 <[[정과정곡]](鄭瓜亭曲)>까지 흘러내려왔다. 이들의 형태는 전형적인 향가에서는 멀어지고 다만 [[이두]]를 사용했을 뿐이다. 이렇게 고려 일대의 가요는 이두를 사용해서 표기했으리라 믿어진다. 따라서 사대(事大), 모화(慕華)에 물들어 있는 자들은 이것을 이언(俚言)이니 음사(淫詞)니 하여 고려가요를 경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