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방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잔글 221.139.139.108 (토론)의 1개의 편집을 117.53.77.84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W)
81번째 줄:
* 눈(眼) 눈(雪)[눈:]/매(鞭) 매(鷹)[매:]/ 밤(夜) 밤(栗)[밤:]/ 벌(罰)[벌] 벌(蜂)[벌:]/일(一) 일(事)[일:]/ 줄(絃) 줄(연장)[줄:]
 
== 음운 ==
아무거나
* 10개 단모음이 모두 존재한다.
* 음장이 있다.
* 구개음화,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어두경음화, 음성모음화 현상 등이 나타난다.
* 유성음 사이의 ‘ㄱ, ㅂ, ㅅ’ 보존. [보기] 실겅(시렁), 벌거지(벌레), 싱그다(심다),빵구다(빻다), 가새(가위), 아수보다(아우보다),무수(무), 여수(여우), 입수벌(입술), 새뱅이(새우), 자부름(졸음)
=== 충청남도 음운 ===
 
* 자음 탈락 : 값이→[가비], 삯이→[사기](천원, 예산, 홍성, 보령, 서천)
* 움라우트 : 값이 →[개비](청양, 논산, 금산)
* 어두변음화 ① 삯이→[싸기](공주, 서산, 대덕)/[쌔기](당진, 아산, 청양, 연기,부여,논산, 금산) ② 삶:지 →쌈:찌(서산, 서천을 제외한 지역)
* 음성모음화 : ‘맑아’를 보령에서만 [말가]로 발음하고 그 외 지역에서는 [말거]로 발음함. 보령에서 ‘밟아’를 [발:버]로 발음함.
* 모음조화 동요
* 저모음화 : 배추→배차, 따뜻이→따땃이, 심부름→심바람
* 구개음화 : ① ‘ㄱ' 구개음화 <보기>전디다(견디다), 저드랭이(겨드랑이), 질(길), 저(겨) ②‘ㅋ’ 구개음화 <보기> 치(키)<서산,당진,아산, 예산, 홍성, 청양, 공주, 연기, 보령, 부여, 서천, 논산, 대덕>※금산에서는 ‘쳉이’라고 함. ③‘ㅎ’ 구개음화 : 성(형)<당진, 아산, 예산, 홍성, 청양, 부여, 서천, 논산, 대덕, 금산> ※엉아(서산,당진,아산,천원,예산,청양,연기>
* ㅋ→ㄱ <보기> 부엌이→부어기 / ㅌ → ㅅ<보기> 솥이 →소시 / ㅍ→ㅂ <보기> 숲이 →수비
 
=== 충청북도 음운 ===
 
* 자음탈락
 
진천과 영동에서는 ‘값이’를 [가비]로 발음하고, 옥천과 영동에서는 [개비]로 발음한다. ‘삯이’를 진천에서는 [사기]로 발음하고, 영동에서는 [싸기]로 발음하며, 청원에서는 [새기]로 발음하고, 보은과 옥천에서는 [쌔기]로 발음한다.
 
* 움라우트
 
① 꺾이다 →[께끼다](단양을 제외한 모든 지역)
② 밥이 →[배비](음성, 청원, 보은, 옥천, 영동)
③ 앞이 →[애피](보은, 옥천)
 
 
=== 기타 ===
충청도 사투리의 음운 체계는 [[경기 방언]]과 대체로 일치하지만 일부에서 차이를 보인다.
 
중세 국어에서 반치음(ㅿ)을 가졌던 용언 대부분은 충청도 사투리에서 'ㅅ'으로 바뀌어 규칙 활용을 보여주며 체언에서도 'ㅅ'으로 바뀐 어형들이 많다.
 
* 여우 → 여수
* 무 → 무수
* 선을 '그었다[劃]' → 선을 '그섰다'
* 병(病)이 '나았다' → 병이 '나섰다'
 
충청도 사투리에서 체언 말음의 'ㅋ', 'ㅍ'은 유기성이 사라져 각각 'ㄱ', 'ㅂ'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 '부엌'에 있다 → '부억'에 있다
* '무릎'을 치다 → '무릅'을 치다
 
자음군을 말음으로 가지던 체언도 단순화된다.
* '삯'을 받다 → '삭'을 받다
* '닭'이 운다 → '닥'이 운다
* '책값'이 얼마냐 → '책갑'이 얼마냐
 
'ㅌ, ㅈ, ㅊ'을 말음으로 가지는 단어들은 충청도 사투리에서 말음이 'ㅅ'로 재구조화되어 나타난다.
* '꽃'이 아름답다 → '꼿'이 아름답다
* '밤낮'으로 일한다 → '밤낫'으로 일한다
* '솥'이 뜨겁다 → '솟'이 뜨겁다
 
어두 자음의 경음화 경향도 나타난다.
* '가시'가 많다 → '까시'가 많다
* 머리를 '감다' → 머리를 '깜다'
 
[[움라우트]]는 개재 자음을 사이에 두고 앞의 후설 모음이 뒤의 'ㅣ'에 의해 전설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으로서 [[충청도]] 전역에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현상이다.
* 아기 → 애기
* 어미 → 에미
* 고기 → 괴기
 
[[구개음화]] 현상도 [[충청도]] 방언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 밭을[바틀] 갈다 → 밭을[바츨] 갈다
 
== 형태 및 통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