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측량: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Gcd822 (토론 | 기여)
출처 추가
19번째 줄:
우선 한쪽에 기계를 세우고, 기계를 세운쪽에서 d만큼 떨어진 곳에 표척 한개, 기계를 아직 세우지 않은 쪽에 표척 한개를 세운 뒤, 두 표척의 눈금(a<sub>1</sub>, b<sub>1</sub>)을 읽는다. 그 다음 반대편으로 기계를 이동하여, 똑같은 방법으로 표척으로부터 d만큼 떨어진 곳에 기계를 세우고 두 표척의 눈금(a<sub>2</sub>, b<sub>2</sub>)을 읽는다. 이렇게 하면 레벨과 표척의 거리가 같아져서 수평이 안 맞아서 생기는 오차, 양차, 표척의 읽음값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가 상쇄된다.
 
두 지점간의 고저차 <math>h = a_1 -b_1 = a_2 - b_2</math>이고 두 값을 평균하면 <math>h = \frac{(a_1 -b_1) + (a_2 - b_2)}{2} = \frac{(a_1 + a_2) - (b_1 + b_2)}{2}</math>{{Sfn|이재기|최석근|박경식|정성혁|2013|p=230-231}}{{Sfn|최용기|박기용|2015|p='''4'''-6}}
 
== 야장 기입 ==
25번째 줄:
 
=== 고차식 야장 ===
고차식 야장 기입법(differential or two-column system; 2란식)은 계산이 가장 간단하지만간단{{Sfn|최용기|박기용|2015|p='''4'''-5}}하지만 점검이 어렵다는 단점과, 중간점을 기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야장 기입은 전, 후시(FS, BS)를 동시에 취하는 이기점(TP)만을 기록한다.
 
[[파일:수준측량 예시.jpg]]
80번째 줄:
 
=== 기고식 야장 ===
기고식 야장 기입법(Instrumental height system)은 기계고(IH)를 구하여 여기서 전시값(FS)을 빼서 지반고(GH)를 구하는 방법이다. 고차식과 달리 중간점(IP)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중간점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그러나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완전한 검산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Sfn|최용기|박기용|2015|p='''4'''-5}}
 
[[파일:수준측량 예시.jpg]]
122번째 줄:
 
=== 승강식 야장 ===
승강식 야장 기입법(rise and fall system)은 계산 과정이 복잡하지만 완전한 검산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fn|이재기|최석근|박경식|정성혁|2013|p=229}}{{Sfn|최용기|박기용|2015|p='''4'''-5}}
 
[[파일:수준측량 예시.jpg]]
188번째 줄: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제목=측량학1|저자1=이재기|저자2=최석근|날짜=2013|판=2|출판사=형설출판사|ref=harv|저자3=박경식|저자4=정성혁|ibsnISBN=978-89-472-7336-7}}
* {{서적 인용|제목=토목기사 과년도 시리즈 측량학|저자1=최용기|저자2=박기용|날짜=2015|출판사=성안당|ref=harv|ISBN=978-89-315-6808-0}}
 
[[분류:측량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