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2번째 줄:
{{전역상자 십자군}}
'''십자군'''(十字軍, {{llang|la|croisade|크로이사데}})은 [[중세]] [[라틴 교회]]의 공인을 받은 [[종교전쟁]]들이다. 보통 십자군이라고 하면 [[성지]]를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탈환하기 위해 [[지중해 동해안]]에서 진행된 전쟁들을 가리키지만, 엄밀히 말하면 교회에서 주동한 전쟁들 역시 십자군이라고 할 수 있다. 이교도나 이단의 토벌, 가톨릭 집단 내부의 분쟁, 정치적 이득 등 전쟁의 동기는 매우 다양했다. 십자군 시대에는 십자군이라는 말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1760년경을 전후하여 처음 사용례가 나타난다.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가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제1차 십자군]]을 소환한 것을 최초의 십자군으로 본다. 당시 [[아나톨리아]]를 정복하고 있던 [[튀르크족]]에게 위협을 느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니노스|알렉시오스 1세]]를 위한 군사원조가 그 명분이었다. 우르바노 2세의 목적 중 하나는 무슬림들이 지배하고 있던 동지중해에 대한 순례자들의 안전보장이었지만 학자들은 이것이 우르바노 2세 또는 우르바노 2세의 소환에 응하여 십자군에 참여한 이들의 진정한 동기였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우르바노 2세의 대전략은 아마 1054년 [[동서 교회의 분열]] 이래로 분열되어 있던 동방교회(정교회)와 서방교회(가톨릭)를 통합하여 자신이 그 통합된 기독교 세계의 수장이 되는 것이었을 것이다. 제1차 십자군의 성공으로 지중해 동해안에는 4개의 [[십자군 국가]]들([[에데사 백국]], [[안티오키아 공국]], [[예루살렘 왕국]], [[트리폴리 백국]])이 세워졌다. 우르바노 2세의 선동에 서유럽의 모든 계층이 열광적으로 호응했고, 이것이 이후 다른 모든 십자군들의 선례가 되었다. 십자군에 참여한 의용병들은 공개적으로 서원을 세우고 교회의 [[대사 (가톨릭)|면벌부]]를 수여받았다. 예루살렘에서 천국으로의 단체 승천하게 될 것을 바라거나 자신의 모든 죄를 신이 사해줄 것을 기대한 이들도 있었다. 종교적 동기 외에도 [[봉건제|봉건적]]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 영광과 명예를 얻기 위해서, 또는 경제적 정치적 이득을 얻기 위해서 참여하는 이들도 있었다.
 
제1차 십자군 이후 6개의 주요 십자군 국가들과 그보다 세력이 미미한 여러 군소 국가들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동지중해의 십자군 국가들은 결국 모두 멸망하면서 2세기에 걸친 성지 경략은 실패로 돌아갔다. 1291년 최후의 기독교 전초기지가 무너진 뒤 성지 방면으로는 더 이상 십자군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북유럽과 서유럽 내부에서의 십자군은 여러 번 더 이루어졌다. 12세기 후반에는 [[벤트 십자군]]이 조직되어 발트 지역과 [[메클렌부르크]], [[루사티아]] 일대의 비기독교 부족민들을 가톨릭으로 개종시켰다. 13세기 초에는 [[독일기사단]]이 [[프로이센]] 지역에 새로운 십자군 국가인 [[독일기사단국]]을 세웠으며, 프랑스에서는 프랑스왕이 자신의 영토를 지중해까지 확장하기 위해 [[알비 십자군]]을 이용했다. 14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흥기하자 기독교 세계는 다시 십자군을 일으켰다. 하지만 1396년 [[니코폴리스 전투]]와 1444년 [[바르나 전투]]의 대패로 가톨릭 유럽은 혼란에 빠졌다. 1453년 오스만이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킨 것과 1492년 이베리아 반도에서 무어인들을 몰아내고 [[그라나다 전쟁|그라나다를 정복]]한 것의 양대 대형 사건은 이 시기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의 최종적 중심축을 매듭지었다. 이후로도 [[구호기사단]] 같은 조직들이 존속하면서 십자군의 개념은 18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 하지만 [[대항해시대]]가 열리면서 서유럽 세계의 관심은 이슬람 세계에서 신대륙으로 옮겨갔다.
 
십자군에 대한 근현대 역사학자들의 평가는 매우 다양하다. 일각에서는 십자군의 명분과 도덕적으로 모순되는 행동들을 지적한다. 교황이 십자군을 파문하는 경우도 있었음이 이를 증거한다. 십자군들은 이동하는 경로상에서 [[약탈]]을 저지르곤 했고, 십자군 지도자들은 획득한 영토를 본래 명분에 따라 비잔티움 제국에 반환하기보다 자기 영토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민중 십자군]] 때는 수천 명의 유대인들이 십자군에게 살해당하는 일이 벌어졌고([[라인란트 학살]]), [[제4차 십자군]] 때는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십자군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204년)|함락, 약탈]]당하기도 했다. 하지만 십자군은 분명히 서양문명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남겼다. 십자군으로 인해 [[지중해]]의 상업과 교역이 번창, [[제노바 공화국|제노바]]나 [[베네치아 공화국|베네치아]] 같은 [[해상공화국]]들이 번영했다. 교황의 지도에 따라 라틴 교회라는 집합적 정체성이 형성되었으며, 영웅주의, [[기사도]], 신앙심은 중세 문학과 철학의 촉매가 되었다.
 
== 용어 ==
우르바노 2세가 처음 십자군을 소집했을 당시에는 "십자군"이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았다. 당대에는 "여행({{lang|la|iter|이테르}})" 또는 "순례({{lang|la|peregrinatio|페레그리나티오}})"라는 말들이 사용되었다. 12세기에 "십자가를 지닌 자({{lang|la|crucesignatus|크루케시그나투스}}, {{llang|en|signed with the cross}})"라는 말이 나타나기 전까지 이 종교전쟁을 가리키는 용어는 따로 만들어지지 않았다.<ref name="Asbridge 2012 40">{{Harvnb|Asbridge|2012|p=40}}</ref>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십자군"을 의미하는 영어 {{lang|en|crusade|크루세이드}}의 어원을 {{llang|fr|croisade}} < {{llang|fro|croisée}}, {{llang|oc|crozada}}, {{llang|es|cruzada}}, {{llang|it|crociata}} < {{llang|la|crociata}}에서 찾는다. 이는 "십자가하다", "십자가되다", "십자가 표를 하다", "십자가를 취하다" 등으로 해석될 수 있는 명사에 기인한 표현들이다. 여기에 대응하는 중세 영어는 고프랑스에에서 유래하여 13세기-15세기에는 croiserie, 15-17세기에는 croisée라고 했다. 1575년경 croisade 가 처음 출현하여 1760년경까지 주도적인 표기 자리를 지켰다.<ref>{{OED|Crusade}}</ref> 1095년부터 시작된 기독교 종교전쟁들을 가리키는 말로 역사학자들이 "십자군(crusade)"이라는 말을 선택했지만, 워낙 긴 시간에 걸쳐 진행된 사건들을 하나의 단어로 칭하는 것은, 특히 초기 십자군에 대하여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다.<ref name="Asbridge 2012 40"/>
 
지중해 동해안의 성지에 대해 이루어진 십자군들은 전통적으로 총 9회차로 구분된다. 최초는 1095년-1099년의 [[제1차 십자군]]이고 최후는 1271년-1272년의 [[제9차 십자군]]이다. 이 구분은 [[찰스 밀스 (1788년)|찰스 밀스]]가 1820년 책 《[[십자군 성지탈환경략사]]》에서 처음 사용했다. 밀스의 분류는 다소 임의적인 측면이 없지 않지만 그래도 편리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사용된다. 다만 [[신성로마황제]]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제국)|프리드리히 2세]]가 지도한 [[제5차 십자군|제5차]], [[제6차 십자군]]은 하나의 원정으로 묶을 수 있고, [[프랑스왕]] [[루이 9세]]가 지도한 [[제8차 십자군|제8차]], [[제9차 십자군]]도 마찬가지로 묶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십자군이 총 7회차로 정리된다.<ref name="Davies 1997, p. 358">{{Harvnb|Davies|1997|p=358}}</ref>
 
"십자군"이라고 불릴 만한 종교전쟁의 범주는 학자마다 사용하는 맥락이 다르다. [[자일스 컨스터블]]은 역사학자들의 십자군 정의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ref name="Constable 2001 12–15">{{Harvnb|Constable|2001|pp=12–15}}</ref>
* '''전통파'''(''Traditionalists''): 지중해 동해안 [[성지]]에 살고 있는 기독교도들을 돕거나 [[예루살렘]]과 [[성묘]]를 해방시킬 것을 목적으로 성지에 대해 전개된 기독교 측의 원정만을 십자군이라고 한다. 이에 따르면 십자군은 1095년에 시작되어 1291년 종료되었다.<ref>{{Harvnb|Constable|2001|p=12}}</ref>
19번째 줄:
* '''일반파'''(''Generalists''): 라틴 교회와 관련되어 신앙 수호를 목적으로 싸운 모든 종교전쟁을 십자군으로 본다.
* '''대중파'''(''Popularists''): 종교적 열정에 기반하여 대중 다수의 참여로 고조된 것들만 십자군이라고 한다. 이에 따르면 제1차 십자군과 [[군중 십자군]]만이 십자군이라 할 수 있다.<ref name="Constable 2001 12–15"/>
 
당시 기독교인들은 [[무슬림]]을 [[사라센인]]이라고 불렀다. "무슬림" 및 "이슬람"이라는 말은 유럽에서는 16세기 이전까지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ref name="Tolan2002xv">{{Harvnb|Tolan|2002|p=xv}}</ref> 원래 "사라센인"은 그리스-로마 전통에서 아라비아 속주의 사막에 사는 비[[아랍인]]을 가리키는 말이었다.<ref name="Retso505">{{Harvnb|Retso|2003|pp=505–06}}</ref> 그러다 아랍 부족들도 사라센인이라는 범주에 포함되게 의미가 변화하였고, 12세기가 되면 오늘날의 "무슬림"과 같은 의미의 민족적 종교적 지칭어로 중세 문헌에서 사용되었다.<ref name="Retso">{{Harvnb|Retso|2003|p=96}}</ref> 한편 무슬림들은 서유럽인들을 "[[프랑크인]]" 또는 "라틴인"이라고 부르며 [[비잔티움 제국]]의 "그리스인"과 구분했다.<ref>{{OED|Frank}}</ref><ref>{{OED|Latin}}</ref> [[알리 이븐 알아시르]] 같은 중세 무슬림 역사가들은 십자군을 "프랑크 전쟁({{llang|en|Frankish Wars}}, {{llang|ar|حروب الفرنجة|후룹 알파랑가}})"이라고 불렀다. 현대 아랍어에서는 서양에서 사용하는 "십자군"이라는 말을 그대로 수입하여 "십자가 원정들({{llang|en|campaigns of the cross}}, {{llang|ar|حملات صليبية|하말라트 살리비야}})"라고 부른다.<ref>{{Harvnb|Determann|2008|p=13}}</ref>
 
== 지중해 동해안 십자군 ==
=== 배경 ===
[[File파일:Map of expansion of Caliphate.svg|thumb|upright=1.35|622년-750년 사이의 [[초기 무슬림 정복전쟁|무슬림 정복전쟁]] 판도.
{{legend범례|#a1584e|622년-632년 [[무함마드]] 당대}}
{{legend범례|#ef9070|632년-661년 [[정통 칼리파조]]}}
{{legend범례|#fad07d|661년-750년 [[우마이야 칼리파조]]}}]]
[[File파일:Map Crusader states 1135-en.svg|thumb|upright=1.35|1145년 지중해 동해안 지도. 프랑크계 [[십자군 국가]]들([[예루살렘 왕국]], [[트리폴리 백국]], [[안티오키아 공국]], [[에데사 백국]])은 붉은 십자({{color|red|☩}})로 표시.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공국]]은 아르메니아인이 세운 십자군 국가이다. 서쪽에는 [[비잔티움 제국]]의 일부가 보인다. 이슬람권인 [[셀주크 제국]]과 [[파티마 칼리파조|파티마조 이집트]]는 녹색으로 표시되었다.]]
 
예언자 [[무함마드]]가 [[아라비아 반도]]에서 [[이슬람교]]를 창시하였고, 632년 죽기 전까지 아라비아 반도 대부분을 하나의 [[정체]]로 통일시켰다. 아랍인들은 7세기와 8세기를 거치며 군사 정복을 통해 급속히 팽창했다. 그들의 영향력 판도는 [[인도 아대륙]] 북서부와 [[중앙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남이탈리아]], [[이베리아 반도]], [[피레네 산맥]]에 걸쳤다. 예루살렘은 637년 [[예루살렘 공방전 (636년-637년)|공성전]] 때 함락되어 비잔티움 제국에게서 이슬람 세계로 넘어갔다.<ref>{{Harvnb| Wickham|2009|p=280}}</ref><ref>{{Harvnb|Lock|2006|p=4}}</ref><ref>{{Harvnb|Hindley|2004|p=14}}</ref>
 
아랍인들이 예루살렘을 지배한 뒤로도 아랍 세계와 유럽 기독교 세계는 어느 정도 관용하며 무역과 정치적 관계를 지속했다. 천주교도들의 성지순례가 허용되었고, 무슬림 영토에 사는 기독교도들에게는 [[딤미]]의 지위가 내려져 법적 보호를 받았다. 기독교도 딤미들은 교회를 계속 운영했으며, 서로 종교가 다른 집안 사이의 통혼도 드물지 않았다.<ref name = Findley2005p73>{{harvnb|Findley|2005|p=73}}</ref> 이렇게 다양한 문화와 신념들이 혼재하며 평화롭게 경쟁하던 관계는 [[튀르크족]]이 서진하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1071년 셀주크 튀르크족이 비잔틴 육군을 대패시킨 [[만지케르트 전투]]가 전통적으로 그 변곡점으로 지목되곤 했다. 하지만 오늘날 학자들은 만지케르트 전투는 [[셀주크 제국]]이 [[아나톨리아]]로 팽창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전투들 중 하나일 뿐이라고 여기고 있다.<ref>{{Harvnb|Asbridge|2012|p=27}}</ref> 천주교도 순례자들과 상인들에 의해 이런 상황들이 전해졌고, 시리아 지역의 항구들과 예루살렘은 점차 각박해졌다.<ref>{{Harvnb|Asbridge|2012|p=28}}</ref>
 
기독교도들은 [[우마이야 칼리파조]]에게 정복당했던 이베리아 반도를 재정복하는 [[레콩키스타]]를 8세기부터 진행해 왔다. 1085년 레온-카스티야왕 [[알폰소 6세 (레온과 카스티야)|알폰소 6세]]가 [[톨레도]]를 탈환하면서 레콩키스타 운동이 전환점을 맞았다.<ref>{{Harvnb|Bull|1999|pp=18–19}}</ref> 비슷한 시기인 1091년, [[노르만인]] 모험가 [[로제 1세|로제 드 오트빌]]이 무슬림들이 지배하는 [[시칠리아 토후국]]을 무너뜨렸다.<ref>{{Harvnb|Mayer|1988|pp=17–18}}</ref>
 
이렇게 여러 전선에서 권력쟁투가 벌어지는 가운데, 1054년에는 서로마 교회와 동로마 교회가 상호 파문, 기독교 세계가 두쪽나는 [[동서 교회의 분열]]이 일어났다.<ref>{{Harvnb|Mayer |1988|pp=2–3}}</ref> [[그레고리우스 개혁]] 이후 [[교황령]]은 이탈리아 반도에 대한 영향력과 권력을 증가시키려 시도해 왔고, 그 과정에서 교황과 [[신성로마황제]] 중 어느 쪽에 사제 서임권에 대한 우선적 권리가 있느냐는 [[서임권 투쟁]]이 1075년경부터 시작되어 제1차 십자군 시기까지 계속되었다.<ref>{{Harvnb|Rubenstein|2011|p=18}}</ref><ref>{{Harvnb|Cantor|1958|pp=8–9}}</ref> 서임권 투쟁 중 대부분의 시기 동안 [[대립교황 클레멘트 3세]]가 옹립되어 군림했고, 교황 우르바노 2세는 초기 재임기 대부분을 [[로마]] 밖에서 망명생활로 보내야 했다. 이런 상황에서 권력을 증대시키고자 한 교황령의 종교적 선전선동에 의해 무슬림들로부터 팔레스타인 성지를 되찾는 "[[정당한 전쟁]]"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천주교 세계 인구 전반에 걸쳐 극렬해졌다. 십자군 종군은 그 자체로 죄를 씻을 수 있는 [[보속]]의 한 형태로 여겨졌다.<ref>{{Harvnb|Riley-Smith|2005|pp=8–10}}</ref>
 
=== 11세기 ===
1095년 [[피아첸차 공의회]]에서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비잔티움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니노스]]가 교황 우르바노 2세에게 군사 원조를 요청했다. 알렉시오스 1세는 자기 마음대로 통제할 수 있는 소규모 용병부대 정도를 기대했던 것 같다. 알렉시오스 1세는 제국의 재정과 권위를 다잡은 중흥군주였지만, 여전히 많은 외적의 위협을 받고 있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아나톨리아 지역을 급속히 식민하고 있는 튀르크족이 가장 골치였다.<ref>{{Harvnb|Asbridge|2012|p=34}}</ref> 같은 해에 열린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우르바노 2세는 이 안건을 논의하며 십자군 소집을 설교했다. 많은 역사학자들은 우르바노 2세가 동로마 제국을 군사적으로 도움으로써 얼마 전 갈라진 동서 교회를 재통합, 자신이 그 수장이 될 것을 기대했을 것이라 여기고 있다.<ref>{{harvnb|Pierson|2009|p=103}}</ref>
 
[[Image파일:Peter the Hermit.jpg|thumb|left|제1차 십자군 당시 기사, 병사, 여자들을 이끄는 [[피에르 레르미트]].]]
클레르몽 공의회 직후 [[피에르 레르미트]]라는 자가 수천 명의 기독교도 빈민들을 이끌고 나타났다. 이것을 오늘날 흔히 [[군중 십자군]]이라고 부른다.<ref>{{Harvnb|Hindley|2004|pp=20–21}}</ref> 피에르는 예루살렘을 탈환하여 임박한 말세에 대비하라는 내용의 편지를 천국으로부터 받았다고 주장했다.<ref>{{Harvnb|Slack|2013|pp=228–30}}</ref> 군중 십자군의 동기에는 빈민들의 [[구세주의]]가 강하게 깔려 있었으며, 군중 십자군은 예루살렘에 도착만 하면 바로 천국으로 승천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ref name="Cohn 1970 61, 64">{{Harvnb|Cohn|1970|pp=61, 64}}</ref> 군중 십자군은 성지로 가는 길에 독일에서 유럽사 최초의 대규모 [[반유대주의]] 폭력사태를 일으키는데, 이를 [[라인란트 학살]]이라고 한다.<ref>{{Harvnb|Slack|2013|pp=108–09}}</ref> [[스파이어]], [[보름스]], [[마인츠]], [[쾰른]] 등지에서 유대인들에 대한 적대행위가 일어났다. 이런 적대행위는 제한적 폭력에서 완전한 군사적 공격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ref>{{Harvnb|Chazan|1996|p=60}}</ref> 군중 십자군은 동로마에 도착한 뒤 귀족들을 기다리라는 알렉시오스 1세의 충고를 무시하고 [[니케아]]로 쳐들어갔다가 튀르크족의 기습을 받고 대패, 불과 3천 명만 살아남았다([[키베토트 전투]]).<ref>{{Harvnb|Hindley|2004|p=23}}</ref>
 
당시 프랑스왕 [[필리프 1세]]와 신성로마황제 [[하인리히 4세]]는 모두 우르바노 2세와 분쟁 관계였기 때문에 십자군에 참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프랑스와 독일, 저지대, 이탈리아의 많은 귀족들이 이 모험에 동참했다. 그 중 필두라고 할 수 있는 이는 노회한 정객이었던 [[툴루즈 백작]] [[레몽 4세 드 툴루즈 백작|레몽 드 생질]]이었다. 한편 남이탈리아 출신의 가난하지만 무력이 강용한 노르만인 귀족 [[보에몽 1세|보에몽 드 타란토]]와 그 조카 [[탕크레드 드 오트빌 (1072년)|탕크레드 드 오트빌]]이 레몽에 맞서 그와 경쟁했다. [[고드프루아 드 부용]]과 그 동생 [[보두앵 1세 (예루살렘)|보두앵 드 볼로뉴]]가 [[로렌]], [[로타링기아]], [[독일]]에서 소집된 군대를 이끌고 여기에 합류했다. 이상 다섯 명이 전투에서 활약한 인물들이라 할 수 있으며, 여기에 [[로베르 2세 드 노르망디 공작]], [[에티엥 2세 드 블루아 백작]], [[로베르 2세 드 플랑드르 백작]]이 소집한 북프랑스군도 합류했다.<ref>{{Harvnb|Asbridge|2012|pp=43–47}}</ref> 이렇게 모인 [[제1차 십자군]]의 총 병력은 비전투원을 포함하여 10만 명 정도였다. 그들은 육상으로 동진하여 비잔티움에 도달, 알렉시오스 1세의 조심스러운 환영을 받았다.<ref>{{Harvnb|Hindley|2004|pp=30–31}}</ref> 알렉시오스 1세는 십자군 제후들에게 자신에게 충성을 맹세할 것과 [[킬리지 아르슬란 1세]]가 [[룸 술탄국]]의 수도로 선언한 니케아를 첫 공략 목표로 삼을 것을 설득했다. 오합지졸 군중 십자군을 무찌르고 방심하고 있던 킬리지 술탄은 다른 영토 분쟁을 해결하려고 니케아를 비워놓고 있었다. 그리하여 십자군이 육상에서 공성하고 동로마군이 해상 지원하면서 니케아가 함락되었다. 이후 십자군은 이집트로 사절을 보내 동맹을 맺으려 했는데, 십자군이 무슬림 세계의 정치적 종교적 분열을 이용하려 한 첫 사례였다.<ref>{{Harvnb|Asbridge|2012|pp=52–56}}</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