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5번째 줄:
을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math>\sum_{n=p}^qa_n=\begin{cases}0&p>q\\\displaystyle\sum_{n=p}^{q-1}a_n+a_q&p\le q\end{cases}</math>
 
=== 공집합 위의 연산 ===
{{본문|영항 연산}}
편의를 위해, 집합 <math>A</math>의 0번 곱집합 <math>A^{\times0}</math>은 임의의 [[한원소 집합]] <math>\{\bullet\}</math>으로 정의된다. 이 경우, 집합 <math>A</math> 위의 영항 연산
:<math>f\colon A^{\times0}\to A</math>
는 <math>A</math>의 원소
:<math>f(\bullet)\in A</math>
와 일대일 대응한다.
 
=== 집합론 ===
[[수 (수학)|수]], 특히 [[자연수]]를 정의할 때 공집합의 집합 관계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방법이 있다. <math>0:=\emptysetvarnothing, \ 1:=\{\emptysetvarnothing\}, \ 2:=\{\emptysetvarnothing, \{\emptysetvarnothing\}\}, \ \cdots</math>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면 공집합으로부터 자연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은 [[무한 공리]]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