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다른 뜻|수사학 (아리스토텔레스)||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수사학'''(修辭學, {{llang|el|ῥήτωρ}}, rhêtôr, orator, teacher)은 [[담론]]의 기술로서, 수사학으로 작가나 연사는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청중에게 정보를 주고, 청중을 설득하며, 청중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정식 학습과 생산적인 시민적 관습으로서 수사학은 유럽 전통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가장 잘 알려진 정의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하였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을 [[논리학]]과 [[정치학]]을 보완하는 것으로 여기고,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든 활용할 수 있는 설득의 수단을 찾는 능력"이라고 불렀다. 수사학은 전형적으로 논증의 이해와, 발견, 발전을 위한 [[발견법]]을 제공한다.  [[고대 로마]] 시대에 처음 집대성된 수사학의 5대 규범(cannon)은 설득력 있는 연설을 설계하는 전통적인 방법을 따르며, 발견술(inventio), 배열술(dispositio), 표현술(elocutio), 기억술(memoria), 연기술(pronuntiatio)로 구성된다. [[문법]]과 [[논리학|논리]] (또는 [[변증법]])와 함께 수사학은 담론의 세 가지 기술 중 하나이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