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제왕 요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FSA123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마르코 폴로]]는 케레이트 족 지도자 [[토그릴 완 칸]]을 사제왕 요한이라고 기록했다. 몽골의 부족 중 케레이트와 나이만은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믿고 있었으므로 반은 맞는 소리였다. 그러나 서유럽인들은 이를 고의적으로 무시했다. 그들에게 사제왕 요한은 언제까지나 장엄하고 친절하며 용맹한 가톨릭 군주여야 했다.
 
[[아시아]] 지역에서 사제왕 요한을 찾을 수 없게 되자, 이제는 [[에티오피아]]가 사제왕 요한의 나라라는 말이 또 나왔다. [[대항해 시대]]는 에티오피아의 사제왕 요한과 접촉하기 위한 것이었다.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에티오피아가 16세기 초반 오스만 제국과의제국이 지원하는 아달 술탄국과의 전쟁에서 무참히 패하자 결국 사제왕 요한에 대한 환상은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사제왕 요한 신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제왕 요한과 가톨릭 세계가 힘을 합해 이슬람을 협공하자는 것이었다. 에티오피아의 대패로 사제왕 요한의 신화는 사라졌다.
 
{{위키공용분류|Prester Jo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