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한국사}}
'''조선총독부'''({{ja-y|朝鮮総督府}})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다. 본부의 소재지는 당시 [[경기도]] [[경성부]](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었다.
[[파일:Seal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svg|thumb|200px|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ja-y|朝鮮総督府|ちょうせんそうとくふ|조센소토쿠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다. 본부의 소재지는 당시 [[경기도]] [[경성부]](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었다.
 
[[1905년]](광무 8년) [[대한제국]] 시기에 설치된 [[통감부|한국통감부]](韓國統監府)를 전신으로 하여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직후에 출범하였으며 초대 조선총독으로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취임하였다. [[1914년]] [[3월 1일]]에 조선총독부령 제111호(1913년 12월 29일 공포)를 통하여 지방 행정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하였는데, 훗날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체계의 기본골격에 영향을 주었다.
줄 6 ⟶ 8:
 
== 총독 ==
[[파일:Seal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svg|thumb|200px|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朝鮮總督)은 육군·해군 대장 중에서 임명되었다. [[일본 천황]]에 직속되어 [[일본제국 내각]]의 통제를 받지 않고 [[한반도]] 내에서 행정권·사법권·군사권 등의 모든 권한을 가졌다. [[1913년]] 칙령 제134호(고등관 관등봉급령)에 따르면, 조선 총독 연봉은 8,000엔이었다고 한다.<ref>[http://blog.ohmynews.com/jeongwh59/286687 <친일파는 살아 있다-41> 허수아비 감투, 중추원참의] 정운현</ref> [[사이토 마코토]]가 취임한 [[1919년]]에 형식적으로 무관 총독 임용제를 폐지하였으나 [[1945년]]에 폐지될 때까지 문관 출신의 총독은 단 한 명도 임명되지 않았다. 조선총독을 역임하고 [[일본의 총리|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거나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고 조선총독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줄 230 ⟶ 231:
*[[1928년]] [[8월]] - 제4차 조선공산당 사건
*[[1929년]] [[11월 3일]] - 광주학생사건 (- 1930년 3월)
{{Col-2}}
 
 
=== 1930년 ~ 1945년 ===
줄 259 ⟶ 260:
*[[1945년]] [[9월 7일]] - 미국 극동 군사령부, 조선의 군정 선언 (즉시 독립 부인)
*[[1945년]] [[9월 9일]] - 총독부, 항복 문서에 조인
{{Col-end}}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