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의 전철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iuchi97 (토론 | 기여)
잔글 전차선 지지장치의 개념에 근거한 명칭 추가
태그: m 모바일 앱
→‎교류궤전: 유지 바용 -> 유지 비용(오타 수정)
14번째 줄:
== 방식 ==
=== 공급방식 ===
차량 밖에서 전기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차량에 축전지 등의 전원을 탑재하는 것도 존재한다. 차량 밖에서 전기를 보내는 것을 "궤전"(饋電)이라고 부르며, 차량에서 그 전기를 받는 것을 "집전"(集電)이라고 부른다<ref name = "鉄道の科学">宮本昌幸著、『鉄道の科学』、講談社、2006年6月20日初版第1刷発行、ISBN 4-06-257520-5</ref>. 집전방식은 [[가공 전차선]] 방식과 [[제3궤조]] 방식으로 구분된다. 또 전원의 전류는 직류를 이용하는 것과 교류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뉜다.
 
외부에서 받은 전력은 [[주전동기]]의 종류에 따라 차량 안에서 변환한 다음 사용된다.
33번째 줄:
* 단점
** 직접궤전방식이라는 단순한 교류궤전에서는 전선에서 전자파에 의해 주위의 통신선에 장애를 미치는 "통신[[유도장애]]"로 불리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BT궤전]]과 [[AT궤전]] 등의 고안이 행하여진다.<ref name = "鉄道の科学"/>
** 차량에 설치하는 기기의 비용이 고액이 되기 쉽다. 이미 직류 전철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교직접속 등의 유지 바용 등도비용 필요해 고액이 된다. 그래서 직류 전철화가 된 지역에서 부분적인 교류 전철화는 모두 직류 전철화할때보다 총 비용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