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진 안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 인물 ==
* '''[[안우]]'''(安祐, ? ~ [[1362년]]) : 1352년(공민왕 1) 군부판서(軍簿判書)로서 조일신의 난을 평정하였고, 전리판서(典理判書)·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를 거쳐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에 임명되었다. 1357년 참지중서정사(參知中書政事)로서 안주군민만호부만호(安州軍民萬戶府萬戶)를 겸임하였다. 이듬해 기철(奇轍)을 주살한 공으로 1등공신에 책봉되었다. 홍건적이 침입하자 서북면부원수(西北面副元帥)로서 적을 대파하였다. 1359년 홍건적의 잔여 무리를 쫓아 고선주(古宣州)에 이르러 수백 명의 목을 베고 돌아와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추충절의정란공신(推忠節義定亂功臣)이 되었다. 이어 참지정사(參知政事)를 거쳐, 상원수(上元帥)가 되었고 재차 침입해 온 홍건적을 박주(博州)·영변(寧邊) 등지에서 대파하고 [[도원수]](都元帥)가 되었다.
* [[안지 (1377년조선)|안지]](安止, 1377년1384년 ∼ 1464년) : 1414년(태종 14) 친시문과(親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성균관박사가 되고, 1416년 다시 문과중시에 을과 2등으로 급제하여, 예문관의 수찬(修撰)·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445년(세종 27) 공조참판으로 권제(權?)·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를 지어 바쳤고, 이듬해 호조참판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집현전부제학·이조참판을 거쳐 공조판서에 올랐으나 사필(史筆)의 일로 고신(告身)을 환수당하였다. 1455년(세조 1)에 소환되어 지중추원사에 복관이 되고, 이어 영중추부사에 올랐다.
* [[안도 (고려)|안도]](安堵) : 1388년(고려 창왕 1) 문과 급제하고, [[사간원]]우헌납(司諫院右獻納)에 이르렀다.
* [[안지 (1377년)|안지]](安止, 1377년 ∼ 1464년) : 1414년(태종 14) 친시문과(親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성균관박사가 되고, 1416년 다시 문과중시에 을과 2등으로 급제하여, 예문관의 수찬(修撰)·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445년(세종 27) 공조참판으로 권제(權?)·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를 지어 바쳤고, 이듬해 호조참판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집현전부제학·이조참판을 거쳐 공조판서에 올랐으나 사필(史筆)의 일로 고신(告身)을 환수당하였다. 1455년(세조 1)에 소환되어 지중추원사에 복관이 되고, 이어 영중추부사에 올랐다.
* [[안홍기]](安鴻起) : 1419년(세종 1년)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한 뒤 영산현감(靈山縣監)과 성균관주부(成均館主簿)를 지냈다. 사위는 대제학 [[표연말]].
* [[안기종]](安起宗, 1556년 ∼ 1633년) :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이끌고 홍의장군 곽재우(郭再祐)의 휘하로 들어가서 유곡(柳谷)·영천·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적을 무찔러 많은 전공을 세웠다.
* [[안의]](安義) : 자는 의숙(宜叔), 호는 물재(勿齋). 전라도 태인 출신. 병조판서 안사종(士宗)의 후손이며, 이항(李恒)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손홍록(孫弘祿)과 함께 의곡계운장(義穀繼運將)이 되어 곡식과 포목을 행재소(行在所)로 수송하였다. 그 해 7월 왜장 고바야카와(小早川降景)가 전주를 공격하자 전주경기전참봉(全州慶基殿參奉) 오희길(吳希吉)·손홍록과 함께 경기전을 지켰고, 태조의 수용(睟容)과 제기(祭器), 사고(史庫)의 역대실록과 전적을 정읍의 내장산(內藏山)용굴암(龍窟庵)에 옮겨 보존하였다. 1593년 행재소에 나아가 중흥의 6책(策)을 아뢰고 별제(別提)를 제수받았다. 전라도 태인의 남천사(藍川祠)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