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십이혹: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Huzzlet the 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의결 - 의결 (불교) 문서로 링크 바꿈
251번째 줄:
[[백십이혹#112사|결사]](結使)에서, [[박 (불교)|속박]]의 의미인 [[결 (불교)|결]](結)도 [[번뇌의 다른 이름]]이고 [[부림]]의 의미인 [[사 (불교)|사]](使)도 [[번뇌의 다른 이름]]인데, 불교 일반의 [[번뇌론]]에서 [[결 (불교)|결]](結)은 흔히 [[9결]](九結)을 뜻하고 [[사 (불교)|사]](使)는 흔히 [[10사]](十使)를 뜻한다. 이러한 이유로 [[백십이혹#112사|결사]]에 대해 말할 때 종종 '''9결10사'''(九結十使)라고 표현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622&DTITLE=%B5%B2%A8%CF 結使]". 2013년 5월 2일에 확인}}
 
[[9결]](九結)은 [[애결]](愛結){{.cw}}[[에결]](恚結){{.cw}}[[만결]](慢結){{.cw}}[[무명결]](無明結){{.cw}}[[견결]](見結){{.cw}}[[취결]](取結){{.cw}}[[의결 (불교)|의결]](疑結){{.cw}}[[질결]](嫉結){{.cw}}[[간결]](慳結)을 말하는데, 모든 [[번뇌]]를 [[근본번뇌]]와 [[수번뇌]]로 나눌 때 [[9결]] 가운데 [[질결]](嫉結)과 [[간결]](慳結)은 [[수번뇌]]에 속하고 나머지 7가지는 [[근본번뇌]]에 속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91&DTITLE=%A4E%B5%B2 九結]". 2013년 5월 10일에 확인|ps=<br>"九結:
 九種結縛。即九種結縛眾生令不得出離生死之煩惱。為:(一)愛,(二)恚,(三)慢,(四)無明,(五)見,(六)取,(七)疑,(八)嫉,(九)慳。即六隨眠之根本煩惱加以取、嫉、慳三者,以繫縛之義強,故特稱為結。然五見中,唯立身、邊、邪為見結;及四取中,僅立見、戒二取為取結。此有二義,即:(一) 三見、二取之體皆為十八事,即由物等故稱結。(二)三見為所取,二取為能取,所取、能取雖異,由共取之義故稱結。又十纏中,僅立嫉、慳為結,其理有七,即:(一)皆自力現行故。(二)嫉為賤之因,慳為貧之因。(三)嫉與憂相應,遍顯戚之隨惑;慳與喜相應,遍顯歡之隨惑。(四)出家於教法,在家於財寶,皆由此二者惱亂。(五)帝釋天有甘露味,慳味嫉色;阿修羅有女色,慳色嫉味;由之互興鬥諍。(六)此二者能惱亂人天二趣。(七)惱亂自他故。又大毘婆沙論卷五十以百事為九結之自性。〔成實論卷十、俱舍論卷二十一〕(參閱「結」5179) p148"}}{{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47&DTITLE=%A4Q%C4%F1 十纏]". 2013년 5월 10일에 확인|ps=<br>"十纏:
 十種纏縛眾生之煩惱。乃附隨貪等根本煩惱而起,與染污心相應而造種種惡行,因其纏縛有情令不得出離生死,故謂之纏。即:(一)無慚,於諸功德及有德者無敬崇,卻忌難之,而不自知恥。(二)無愧,於罪為他人所見而不知恥。(三)嫉,於他人諸興盛事心生不喜。(四)慳,吝於惠施世間資財或出世間法財。(五) 悔,追悔於所作之過惡中而令心不安。(六)眠,令心昏懵而無力省察。(七)掉舉,令心不寂靜,無法成就諸禪觀。(八)惛沈,神識昏鈍,於善法身心無力堪住。(九)忿,於違己意之境,則發恚怒而忘失正念。(十)覆,即覆藏自己之罪過。品類足論卷一僅立八纏;大毘婆沙論卷四十七至卷五十又加忿、覆二纏,明示十纏。〔俱舍論卷二十一、大智度論卷七〕 p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