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번째 줄:
{{여러 문제|
{{정리 필요|날짜=2017-04-01}}
{{출처 필요|날짜=2017-04-0112}}
}}
{{예술가 정보
25번째 줄:
일제 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서린정(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출신이다. 아버지 [[백낙승 (1886년)|백낙승]]과 어머니 조종희 사이의 3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후 종로구 창신동 197번지 소위 "큰대문집"에서 18세까지 살았다. 수송국민학교와 경기제1고등보통학교를 다니면서 피아니스트 [[신재덕]]에게 피아노 연주를, 작곡가 [[이건우]]에게 작곡을 각각 배웠다. 이때 한국이 낳은 작곡가 [[김순남]]을 사사했다. 1949년 그는 홍콩 로이덴 스쿨로 전학했으며, [[한국 전쟁]]이 발발하기 이전 가족이 [[일본]]으로 이주했다. 그 후 일본으로 건너가 1952년 [[도쿄 대학교]] 문과부에 입학했다. 2년 후 미술사학 및 미학으로 전공을 정했지만, 실제로는 일본 당대의 작곡가 모로이 사부로, 미학자 노무라 요시오 등에게서 [[작곡]]과, [[음악사학]]을 공부했다. 졸업 논문은 ‘아르놀트 쇤베르크 연구’이다.
 
1956년 백남준은 졸업과 함께 [[독일]]로 유학을 떠나 [[뮌헨 대학교]] 및 [[쾰른 대학교]] 등에서 서양의 건축, 음악사, 철학 등을 공부하였다. 뮌헨 대학교 입학 1년 후에는 [[프라이부르크 고등음악원]]으로 옮겨 볼프강 포르트너 교수에게 배우지만, 곧 쇤베르크 이후 [[현대음악]]의 실험이 활발히 진행되던 [[다름슈타트 하기 강좌]]에 참여했다. 1958년 그 곳에서 현대음악가 [[존 케이지]]를 만나 그의 음악에 대한 파괴적 접근과 자유정신으로부터 깊은 영감을 얻었다. 이 영감은 "세계의 역사는 우리에게 알려준다. 주어진 게임에서 이길 수 없다면 규칙을 바꿔라" 라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후 1950년대부터 활발해지기 시작한 독일 라인 지역의 [[실험음악|액션뮤직]]의 현장에서 백남준은 ‘아시아에서 온 문화테러리스트’([[앨런 카프로]])라고 불릴 정도의 탁월한 퍼포먼스 아티스트로 활약했다. 1959년 ‘존 케이지에게 보내는 경의’에서 음악적 콜라주와 함께 피아노를 부수는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것을 시작으로, 바이올린을 단숨에 파괴하거나(바이올린 솔로) 존 케이지가 착용한 넥타이를 잘라버리는 퍼포먼스(피아노 포르테를 위한 연습곡)가 특히 유명하다. 이 초기 퍼포먼스에 대해 백남준은 스스로 "충격, 표현주의, 낭만주의, 클라이맥스, 놀라움, 기타 등등을 보여준 것"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1961년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의 음악 퍼포먼스 ‘오리기날레’에서 머리와 넥타이로 잉크를 묻혀 두루마리에 흔적을 남기는 독특한 퍼포먼스 [[심플]] [[머리를 위한 선]]율을 보여주기도 했다. 1960년대 초반 [[조지 마키우나스]], [[요셉 보이스]] 등과 의기투합하여 [[플럭서스]] 활동을 함께 전개했다. [[다다이즘]]에 영향을 받은 플럭서스는 헤라클레이투스가 주장한 ‘변화 생성의 흐름’ 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여 "목적이 없는 자유, 실험을 위한 실험"이라는 명목 하에 이벤트와 퍼포먼스 그리고 전위음악에 주력했고, 곧 유럽과 아시아 및 미국 등 세계로 퍼져나갔다.
 
1961년 백남준은 작곡가 [[슈토크하우젠]]이 중심이 된 쾰른의 [[WDR 전자음악 스튜디오]]에 출입했으며, 이때 1950년대부터 노버트 위너에 의해 제안된 '사이버네틱스' 개념 하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레이더와 TV 작업에 몰두했던 독일 작가 [[칼 오토 괴츠]]의 실패를 거울 삼아서 2년여 동안 홀로 TV를 활용한 미디어 아트로서의 가능성을 탐문하고 실험했다. 그 성과를 바탕으로 1963년 독일 부퍼탈 파르나스 갤러리에서 자신의 첫 번째 전시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을 열었으며, 13대의 실험적인 TV를 통해 훗날 비디오 아트라고 불리게 되는 초기 형태를 보여주었다. 이 전시는 백남준이 자신의 즉흥음악 또는 무음악의 발상에 기초한 실제 퍼포먼스, 그 흔적과 결과물처럼 유럽에서 자신이 진행해온 작업의 성과와 함께 TV를 비롯한 미디어로 새로운 예술의 형태를 시도하는 작업이 공존하고 있었다. ‘적분된 피아노’, ‘랜덤 액세스 뮤직’, ‘레코드 샤슐릭’같은 20세기 전위음악에 젖줄을 대고 있는 실험적 음악의 시도와 ‘잘린 소머리’, ‘파괴된 누드 마네킹’, ‘보이스의 피아노 파괴 퍼포먼스’'걸음을 위한 선' '바람을 위한 선' 같은 우상파괴적 설치 작업 및 참여예술 형태의 퍼포먼스가 함께 펼쳐졌다. 청년 백남준은 이러한 전시 내용을 ‘동시성’, ‘참여’, ‘임의접속’ 등등에 관한 16개의 테마로써 정리하는 종합적인 큐레이팅 전시로 보여주었기 때문에 최근{{언제|날짜=2015-5-9}} 독일, 오스트리아 등지의 연구자들 사이에서 이 전시의 중요성을 재평가하면서 아카이빙 작업과 연구가 점차 활발해지는 추세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