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분수 표현 관련 설명 제거 (과한 편폭; '정보'라는 부적절한 용어 사용; 문맥이 매끄럽지 않음); 번분수 관련 내용 삭제 (아무런 정보를 주지 않는 무의미한 내용);
1번째 줄:
[[수학]]에서, '''유리수'''(有理數, {{llang|en|Rationalrational number}})는 두 [[정수]]의 분수 형태(단 분모는 반드시 0이 아니다)[[비율]]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이다. 단, [[실수분모]] 말한다0이 아니어야 한다. 이에특히, 반해분모가 1일 수 있으므로 정수의모든 [[분수정수]]는 (수학)|분수유리수이다. 유리수체의 기호는 [[볼드체]] 꼴로<math>\mathbf 나타낼Q</math>나 [[칠판 없는볼드체]] 실수를<math>\mathbb Q</math>이며, '[[무리수]]'을 한다뜻하는 영어({{llang|en|quotient}})에서 따왔다.
 
== 정의 ==
모든 유리수의 [[집합]]은 <math>\mathbf{Q}</math> 또는 [[칠판 볼드체]]로 <math>\mathbb{Q}</math>라고 표시한다. 'Q'는 '몫'을 의미하는 'Quotient'에서 유래하였다. [[조건 제시법]]을 사용하여 <math>\mathbb{Q}</math>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유리수체''' <math>\mathbb Q</math>는 [[정수환]] <math>\mathbb Z</math>의 [[분수체]]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math>\mathbb{Q} = \left\{\frac{m}{n} : m, n \in \mathbb{Z}, n \ne 0 \right\}</math>
:<math>\mathbb Q=\left\{\frac mn\colon m,n\in\mathbb Z,\;n\ne0\right\}</math>
 
=== 산술추상적 정의 ===
엄밀히 말해, 유리수체 <math>\mathbb Q</math>는 다음과 같은 공리를 만족시키는 ([[동형]] 아래 유일한) [[체 (수학)|체]]이다.
* <math>\mathbb Q</math>의 [[환의 표수|표수]]는 0이다.
* 만약 [[환 (수학)|환]] <math>R</math>의 표수가 0이라면, 유일한 [[환 준동형]] <math>\mathbb Q\to R</math>이 존재한다.
 
=== 구체적 정의 ===
같은 유리수: 두 유리수 <math>\frac{a}{b}</math>와 <math>\frac{c}{d}</math>가 <math>a \cdot d = b \cdot c</math>를 만족할 때, <math>\frac{a}{b} = \frac{c}{d}</math>이다.
유리수체 <math>\mathbb Q</math>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집합 <math>\mathbb Z\times(\mathbb Z\setminus\{0\})</math> 위에 다음과 같은 [[동치 관계]] <math>\sim</math>를 줄 수 있다.
:<math>(m,n)\sim(m',n')\iff mn'=nm'\qquad(m,n,m',n'\in\mathbb Z,\;n,n'\ne0)</math>
유리수체 <math>\mathbb Q</math>는 집합으로서 [[몫집합]] <math>(\mathbb Z\times(\mathbb Z\setminus\{0\}))/{\sim}</math>이며, 그 위의 덧셈과 곱셈은 다음과 같다.
:<math>[(m,n)]_\sim+[(m',n')]_\sim=[(mn'+nm',nn')]_\sim</math>
:<math>[(m,n)]_\sim\cdot[(m',n')]_\sim=[(mm',nn')]_\sim</math>
체가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인 각종 연산 법칙과 덧셈 항등원 <math>[(0,1)]_\sim</math> 및 각 유리수 <math>[(m,n)]_\sim</math>의 덧셈 역원 <math>[(-m,n)]_\sim</math> 및 곱셈 항등원 <math>[(1,1)]_\sim</math> 및 0이 아닌 각 유리수 <math>[(m,n)]_\sim\ne[(0,0)]_\sim</math>의 곱셈 역원 <math>[(n,m)]_\sim</math>의 존재가 성립하므로, 이는 체를 이룬다.
정수환과 유리수체 사이의 표준적인 [[단사 함수|단사]] [[환 준동형]]은 다음과 같다.
:<math>\mathbb Z\hookrightarrow\mathbb Q</math>
:<math>n\mapsto[(n,1)]_\sim</math>
각 유리수 <math>[(m,n)]_\sim</math>를 분수 꼴
:<math>\frac mn</math>
로 나타내면, 유리수를 마치 두 정수의 비율인 것처럼 다룰 수 있다.
 
== 표현 ==
덧셈: 두 유리수 <math>\frac a b</math>와 <math>\frac c d</math>의 덧셈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분수 표현 ===
:<math>\frac{a}{b} + \frac{c}{d} = \frac{ad+bc}{bd}</math>
유리수는 두 정수의 비율이므로, [[나눗셈]] 기호와 의미가 같은 [[분수 (수학)|분수]] 기호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과 3의 비를 분수로 나타내면 {{sfrac|3}}이다. 분자와 분모를 동시에 그 [[공약수]]로 나누어 원래와 값이 같지만 꼴이 더 단순한 분수를 얻는 과정을 [[약분]]이라고 한다. 분자와 분모가 [[서로소 정수|서로소]]이어서 더 이상 약분할 수 없는 분수를 [[기약 분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sfrac|12|18}}을 최대 공약수 6으로 나눠 약분하면 기약 분수 {{sfrac|2|3}}을 얻는다. 분자가 분모보다 작은 분수를 [[진분수]], 작지 않은 분수를 [[가분수]]라고 한다. 가분수는 정수와 진분수의 합으로 표현한 것을 [[대분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sfrac|11|9}}의 대분수 표현은 1{{sfrac|2|9}}이다.
 
[[무리수]]는 두 정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분수 표현이 불가능하다.
곱셈: 두 유리수 <math>\frac a b</math>와 <math>\frac c d</math>의 곱셈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ath>\frac{a}{b} \cdot \frac{c}{d} = \frac{ac}{bd}</math>
 
=== 십진법 표현 ===
덧셈에 대한 역원: 유리수 <math>\frac a b</math>의 덧셈에 대한 역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를 이용하여 두 유리수의 뺄셈을 할 수 있다.
유리수의 진법 전개는 [[유한 소수]]이거나 [[순환 소수]]이다. 십진법 전개가 가장 흔하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math>-\left(\frac{a}{b}\right) = \frac{-a}{b}</math>
:<math>\frac75=1.4</math>
:<math>\frac{a}{b} - \frac{c}{d} = \frac{a}{b} + \left(- \frac{c}{d}\right) = \frac{a}{b} + \frac{-c}{d} = \frac{ad-bc}{bd}</math>
:<math>\frac13=0.\dot3=0.333\cdots</math>
:<math>\frac16=0.1\dot6=0.1666\cdots</math>
:<math>\frac17=0.\dot1\dot4\dot2\dot8\dot5\dot7=0.142857142857\cdots</math>
:<math>\frac19=0.\dot1=0.111\cdots</math>
:<math>\frac1{11}=0.\dot0\dot9=0.090909\cdots</math>
분수를 소수로 전환하려면 [[나머지 있는 나눗셈]]을 통해 순환 마디를 구하면 된다. 유한 소수나 순환 소수를 분수로 전환하려면 {{sfrac|10}} = 0.1, {{sfrac|100}} = 0.01, {{sfrac|1000}} = 0.001 및 {{sfrac|9}} = 0.111..., {{sfrac|99}} = 0.010101..., {{sfrac|999}} = 0.001001001... 따위를 이용하면 된다.
 
반면 무리수의 진법 전개는 [[비순환 소수]]이다.
곱셈에 대한 역원: 0이 아닌 유리수 <math>\frac a b</math>의 곱셈에 대한 역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를 이용하여 두 유리수의 나눗셈을 할 수 있다.
:<math>\left(\frac{a}{b}\right)^{-1} = \frac{b}{a}</math>
:<math>\frac{a}{b} \Big/ \frac{c}{d} = \frac{a}{b} \cdot \left(\frac{c}{d}\right)^{-1} = \frac{a}{b} \cdot \frac{d}{c} =\frac{ad}{bc}</math>
 
=== 형식적연분수 구성표현 ===
유리수는 유한 [[연분수]] 표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math>\frac{11}9=[1;4,2]=1+\frac1{4+\dfrac12}</math>
:<math>\frac{15}{11}=[1;2,1,3]=1+\frac1{2+\dfrac1{1+\dfrac13}}</math>
:<math>\frac{734}{367}=[2;5,3,7,3]=2+\frac1{5+\dfrac1{3+\dfrac1{7+\dfrac13}}}</math>
분수를 연분수로 나타내려면, 분자와 분모에 [[유클리드 호제법]]을 응용하면 된다.
 
무리수의 경우, 연분수 표현은 항상 무한 연분수이다.
정수의 순서쌍에 대한 동치류로서 유리수를 정의할 수 있다. 두 정수 <math>a</math>와 <math>b(\ne0)</math>에 대하여, 순서쌍 <math>(a,b)</math>를 하나의 유리수로 생각하고, 다음과 같은 동치관계를 정의한다. 여기서 왼쪽은 유리수 사이의 같음을 나타내고 오른쪽은 정수 사이의 같음을 나타낸다.
 
== 연산 ==
:<math>(a,\,b) = (c,\,d) \Leftrightarrow ad = bc</math>
=== 등식과 부등식 ===
두 유리수가 같을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frac ab=\frac cd\iff ad=bc\qquad(a,b,c,d\in\mathbb Z,\;b,d\ne0)</math>
어떤 유리수가 다른 어떤 유리수보다 작을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frac ab<\frac cd\iff ad<bc\qquad(a,b,c,d\in\mathbb Z,\;b,d>0)</math>
 
=== 덧셈과 뺄셈 ===
덧셈과 곱셈, 덧셈과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유리수에서 정의되는 규칙을 옮겨 쓴다.
두 유리수의 덧셈에는 [[통분]] 기법이 쓰이며, 이는 다음과 같다.
:<math>\frac ab+\frac cd=\frac{ad+bc}{bd}</math>
유리수의 [[반수 (수학)|반수]]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math>-\frac ab=\frac{-a}b</math>
두 유리수의 뺄셈은 반수를 더하는 것과 같다.
:<math>\frac ab-\frac cd=\frac ab+\left(-\frac cd\right)=\frac{ad-bc}{bd}</math>
분모의 [[최소 공배수]]를 공분모로 취하여 통분하면 더 간단히 구할 수 있다.
 
=== 곱셈과 나눗셈 ===
:<math>(a,\,b) + (c,\,d) = (ad+bc,\,bd)</math>
두 유리수의 곱셈은 다음과 같다.
:<math>(a,\,b) \cdot (c,\,d) = (ac,\,bd)</math>
:<math>-(a,\,b)frac =ab\cdot\frac (-a,cd=\,-b)frac{ac}{bd}</math>
0이 아닌 유리수의 [[역수]]는 다음과 같다.
:<math>(a,\,b)^{-1} = (b,\,a),\ b \ne 0</math>
:<math>\left(\frac ab\right)^{-1}=\frac ba</math>
 
두 유리수의 나눗셈은 역수를 곱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형식적 구성은 일반적인 [[정역]]으로부터 [[분수체]]를 만드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math>\frac ab\div\frac cd=\frac ab\cdot\left(\frac cd\right)^{-1}=\frac{ad}{bc}</math>
 
== 성질 ==
집합 <math>\mathbb Q</math>는 정수의 집합 <math>\mathbb Z</math>으로 만든 [[분수체]]이며, 따라서 <math>\mathbb Q</math>는 사칙연산이 자유로운 [[체 (수학)|체]]이다.
 
집합 <math>\mathbb{ Q}</math>는 정수의[[환의 집합표수|표수]]가 <math>\mathbb{Z}</math>으로0인 만든가장 작은 [[분수체체 (수학)|체]]이며이다. 즉, 따라서[[환의 표수|표수]]가 0인 체는 <math>\mathbb{ Q}</math>는 사칙연산이 자유로운 [[체 (수학)|체동형]]이다인 체를 반드시 포함한다.
 
서로 다른 어떤 두 유리수 사이에도 또다른 유리수가 존재하므로 집합 <math>\mathbb{Q}</math>는 [[조밀 집합]]이다. 그러나 <math>\mathbb{Q}</math>와 <math>\mathbb{Z}</math>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므로, <math>\mathbb{Q}</math>는 [[가산 집합]]이다.
 
집합 <math>\mathbb{Q}</math>는 [[환의 표수|표수]]가 0인 가장 작은 [[체 (수학)|체]]이다. 즉, [[환의 표수|표수]]가 0인 체는 <math>\mathbb{Q}</math>와 [[동형]]인 체를 반드시 포함한다.
 
 
 
:<math>{2 \over 3} = {{1+ 1} \over 3}= {{1} \over 3}+ {{1} \over 3} </math>
:<math>{3 \over 4} = {{1+ 1+1} \over 4}= {{1} \over 4}+ {{1} \over 4}+ {{1} \over 4} </math>
:<math>= {{1+ 1+1} \over 4}= {{1+1} \over 4}+ {{1} \over 4}= {{2} \over 4}+ {{1} \over 4}={3 \over 4} </math>
이처럼 분수는 <math> {{a} \over {b}}</math>와 같이 분자<math> {a}</math> 와 분모<math> {b}</math>로 표현된다.
이것은 <math> {a} \div {b}</math>를 의미하는 표현이다.
 
따라서, <math> {a}</math>가 <math> {b}</math>로 나누어진다면,
 
이것은 <math> \left({{\text{자 기 자 신 의 정 보 }} \over {\text{전 체 의 정 보 }}} \right)</math> 를 의미하는 표현이다.
즉, 자기 자신의 정보가 전체의 정보로 나누어짐을 의미하는 표현이고,
 
바꾸어 말하면, 자기 자신의 정보를 전체의 정보로 나눔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 자신의 정보가 전체 정보에서 얼마만큼을 차지하는지를 보여주게 된다.
 
서로 다른 어떤 두 유리수 사이에도 또다른 유리수가 존재하므로 집합 <math>\mathbb Q</math>는 [[조밀 집합]]이다. 그러나 <math>\mathbb Q</math>와 <math>\mathbb Z</math>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므로, <math>\mathbb Q</math>는 [[가산 무한 집합]]이다.
또한 분수는 [[번분수]]의 성질이 있다.
 
유리수체에는 표준적인 [[절댓값]]과 [[p진 절댓값]]을 줄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한 [[완비화]]는 각각 [[실수체]]와 [[p진수체]]이다.
:<math>2= {2 \over 1} = {{ 2 \over 1} \over {1 \over 1}}= {{2} \over 1}= {2} </math>
:<math>1= {1 \over 1} = {{ 1 \over 1} \over {1 \over 1}}= {{ {1\over 1} \over {1\over 1}} \over {{1\over 1} \over{1\over 1}}}= {{ 1 \over 1} \over {1 \over 1}}= {{1} \over 1}= {1} </math>
 
== 외부 링크 ==
* [http://navercast.naver.com/science/math/{{네이버캐스트|id=1956 네이버 캐스트 - |제목=자연수 vs. 유리수]|저자=정경훈|날짜=2010-10-2}}
* {{eom|title=Rational number}}
* {{매스월드|id=RationalNumber|title=Rational number}}
* {{nlab|id=rational number|title=Rational number}}
* {{플래닛매스|urlname=RationalNumber|title=Rational number}}
 
{{수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