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정신병제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7번째 줄:
[[정형적 항정신병제제]]로 알려져 있는 제1세대 항정신병제제는 1950년대에 개발되었다. 미국 릴리사의 조현병 치료제인 '''''자이프렉사([[올란자핀]])'''''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사의 조현병 치료제인 '''''쎄로켈(푸마르산 [[쿠에티아핀]])''''' , 일본 다이닛폰 스미모토사의 조현병 치료제인 '''''로나센([[블로난세린]])''''', 미국 [[존슨앤드존슨]]의 서방형 조현병 치료제인 '''''인베가([[팔리페리돈]])''''' 등 제2세대 항정신병제제인 [[비정형적 항정신병제제]]가 더 최근에 개발되었지만, 이 쪽이 항정신병제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항정신병제제는 뇌의 [[도파민 경로]]의 수용체를 차단하는 경향이 있고, 제2세대 항정신병제제는 [[세로토닌]] 수용체에도 반응하게 개발된 경우가 있지만, 약물이 서서히 흡수되는 젤매트릭스 제법으로 복약 순응도를 높여, 1일 1회 복용하는 장기 지속형 서방정인 '쎄로켈 XR'의 경우, 성인의 우울증 치료를 위한 주요 우울 장애 치료의 부가 요법제로 승인되어 있다.
 
이 제제의 [[부작용]]으로 잘 알려진 것은 제1세대의 경우 비정상적 운동을 일으키는 [[추체외로 증상]](EPS) 및 [[고프로락틴혈증]]이며, 제2세대에서는 체중 증가 및 대사장애이다.<ref name = "SCZ">Frankenburg FR, Dunayevich E, Albucher RC, Talavera F. Schizophrenia. 2013 Aug 22 [cited 2013 Oct 2]; Available from: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288259-overview</ref> 약을 줄여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인 금단 증상으로는증상으론, 불면증, 불안, 정신증 및 추체 외로계 장애가 있고, 이러한 것들 때문에 환자 및 보호자들이 기저 증상이 재발하는 등 정상적인 사회 복귀를 어렵게 했다. <ref>Frankenburg FR, Dunayevich E, Albucher RC, Talavera F. Schizophrenia. 2013 Aug 22 [cited 2013 Oct 2];</ref><ref> Dilsaver SC, Alessi NE (March 1988). "Antipsychotic withdrawal symptoms: phenomenology and pathophysiology". Acta Psychiatr Scand 77 (3): 241–6. </ref>
 
3세대에서는 조현병의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도파민 분비량의 불균형을 완화시켜주는 조현병 치료제 중 유일무이한 도파민 부분 효능제(Dopamine Partial Agonist)인 일본 오츠카제약이 1988년 발견한 새로운 정신 질환 치료 매커니즘을 도입한 차세대 조현병 치료제 ''''아빌리파이([[아리피프라졸]])''''가 2002년 미국 발매를 시작으로 유럽, 아시아, 아랍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각종 정신 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처방되고 있으며, 뛰어난 효능과 안전성으로 조현병 치료제 중 매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