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라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다리의 정확한 건설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능라도 수원지에서 물을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1910년부터이므로<ref>[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HSS/HSS19061019u00_02.pdf 雜報 / 水道測量] 皇城新聞 1906년 10월 19일 02면 05단<br>[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HSS/HSS19070123u00_02.pdf 雜報 / 水道及島嶼測査] 皇城新聞 1907년 01월 23일 02면 04단<br>[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HSS/HSS19090807u00_03.pdf 雜報 / 可謂慈航] 皇城新聞 1909년 08월 07일 03면 02단<br>[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DMD/DMD19100807u00_03.pdf 불원간 수통물 분급] 대한매일신보 1910년 08월 07일 03면 05단<br>[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HSS/HSS19100622u00_03.pdf 雜報 / 西道旅行記 (續)] 皇城新聞 1910년 06월 22일 03면 01단</ref> 그때 처음 부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1918년 신문기사에 벽라교(碧羅橋)라는 명칭이 보인다. 일각에서는 이 다리가 청류벽(淸流壁)과 능라도(綾羅島)를 연결하는 다리라서 벽라교(壁羅橋)라고 했다고 하나,<ref name="alum">[http://cafe.daum.net/pyungkobo/aK4s/2 평양시민회와 발자취] 평양고보 동문 카페</ref> 해방 전 신문기사들에는 벽라교(碧羅橋)로 나오므로,<ref>[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180208u00_03.pdf 大同江 一部 解氷, 오는 6일경에는 다 풀려] 每日申報 1918년 02월 08일 03면 04단 : 벽라교(碧羅橋)<br>[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200426u00_04.pdf 各支局通信欄: 浿城을 一週하고] 每日申報 1920년 04월 26일 04면 02단<br>[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88438821 三十隻の屋形船で大同江の舟遊び, 出林大會一行を迎へて] 朝鮮新聞 1926.10.15 3면</ref> [[부벽루]](浮碧樓)와 능라도(綾羅島)에서 따온 이름일 수도 있는 것 같다. 일반에서는 통칭 수도국(水道局) 다리로 불렸으며,<ref name="alum"/><ref>[http://db.history.go.kr/id/ma_018_0010_0060 이태준(李泰俊, 1904~?), "패강냉(浿江冷)"] 삼천리문학 제1집 1938-01-01 삼천리사(三千里社)<br>이태준,
[https://books.google.co.kr/books?id=OJ_TBAAAQBAJ&pg=PT253&lpg=PT253&dq=%EC%88%98%EB%8F%84%EA%B5%AD+%EB%8B%A4%EB%A6%AC&source=bl&ots=kIGzQWMmNw&sig=w1nbStlf7zUUUrQuE5R5_B-VoSI&hl=ko&sa=X&ved=0ahUKEwjqhOfwi4jZAhXEV7wKHZJDCc0Q6AEIMzAF#v=onepage&q=%EC%88%98%EB%8F%84%EA%B5%AD%20%EB%8B%A4%EB%A6%AC&f=false 해방전후: 이태준 단편전집 2 (한국문학을 권하다 18) : "패강랭(浿江冷)"] 애플북스, 2014.09.22</ref> 수도교(水道橋)라고도 했다.<ref>[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230309u00_03.pdf 水道橋에서 추락 자살, 무슨 까닭으로 죽어, 주소 성명도 모른다] 每日申報 1923년 03월 09일 03면 3단</refbr>[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7102100209202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7-10-21&officeId=00020&pageNo=2&printNo=2565&publishType=00020 차량衛戍院看護兵(위수원간호병) 통행은飮毒(음독)하고投身(투신)] 불가능했고, 수도국 직원들이 능라도를 출입하던 통로로도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1927.10.21동아일보 2면<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9040300209205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9-04-03&officeId=00020&pageNo=5&printNo=3095&publishType=00020 醉兵卒暴行(취병졸폭행) 자동차를습격] 1929.04.03동아일보 5면<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2082700209203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2-08-27&officeId=00020&pageNo=3&printNo=4199&publishType=00020 大同江(대동강)을縱橫遠泳(종횡원영) 젊은朝鮮意氣衝天(조선의기충천)] 1932.08.27 동아일보 3면<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2091500209203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2-09-15&officeId=00020&pageNo=3&printNo=4218&publishType=00020 綾羅島(능라도)에서 大同橋(대동교)까지] 1932.09.15 동아일보 3면<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3081300209105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3-08-13&officeId=00020&pageNo=5&printNo=4550&publishType=00010 大同江上(대동강상)의 하로 : 평양 정동규] 1933.08.13 동아일보 5면<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6050900209202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6-05-09&officeId=00020&pageNo=2&printNo=5549&publishType=00020 觀櫻會(관앵회)에 風波(풍파) 現役(현역) 將校暴行(장교폭행)] 1936.05.09동아일보 2면</ref> 차량 통행은 불가능했고, 수도국 직원들이 능라도를 출입하던 통로로도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 다리는 미군이 작성한 1946년 지도에도 나와 있으나,<ref>[[:c:File:Pyongyangarmymapservice1946.jpg|미군이 1946년 작성한 평양 지도]]</ref> 오늘날에는 없다. 당시는 벽라교가 서평양에서 능라도로 출입하는 유일한 통로였으나, 지금은 능라도와 대동강 양안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1988년에 준공된 [[능라교]], 1995년에 준공된 [[청류교]]가 있다. 수원지 정수장은 이전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