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울리 행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JAnD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hu:Pauli-mátrixok
StarLight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울리 행렬'''이란 [[양자역학]]에서 [[스핀]]을 표현하는데 쓰이는 행렬로 [[에르미트 행렬]] 이면서 [[유니타리행렬]]인 다음과 같은 2 x 2 복소[[행렬]]을 말한다.
==정의==
:<math>
'''파울리 행렬'''(Pauli matrix)은 다음과 같은 3개의 행렬로 이루어져 있다.
\sigma_1 = \sigma_x =
\begin{pmatrix}
0&1\\
1&0
\end{pmatrix}
</math>
 
:<math>
<math>\sigma^1=\begin{pmatrix} 0 & 1 \\ 1 & 0 \end{pmatrix}, \quad \sigma^2=\begin{pmatrix} 0 & -i \\ i & 0 \end{pmatrix}, \quad
\sigma_2 = \sigma_y =
\sigma^3=\begin{pmatrix} 1 & 0 \\ 0 & -1 \end{pmatrix} </math>
\begin{pmatrix}
0&-i\\
i&0
\end{pmatrix}
</math>
 
:<math>
이들은 [[에르미트]] 행렬이다
\sigma_3 = \sigma_z =
\begin{pmatrix}
1&0\\
0&-1
\end{pmatrix}.
</math>
보통 그리스 문자 [[시그마]](σ)로 나타내며 [[아이소스핀]] 대칭성과 연관되어 사용될때는 [[타우]](τ)로도 자주 나타낸다. 이 행렬들의 이름은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의 이름을 따와 명명되었다.
 
== 수학적 성질 ==
<math>(\sigma^i)^\dagger = \sigma^i.</math>
파울리 행렬은 에르미트 행렬이면서 유니타리행렬이다.
: <math>\sigma_i^\dagger = \sigma_i </math> : 에르미트 행렬
: <math>\sigma_i^\dagger \sigma_i = I </math> : 유니타리행렬
여기서 <math>I</math>는 [[단위행렬]]이다.
:{| class="toccolours collapsible collapsed" width="80%" style="text-align:left"
!증명 : 파울리 행렬은 에르미트 행렬이다.
|-
|
:<math>
\sigma_1^\dagger =
\begin{pmatrix}
0&\bar{1}\\
\bar{1}&0
\end{pmatrix}
=
\begin{pmatrix}
0&1\\
1&0
\end{pmatrix}
= \sigma_1
</math>
:<math>
\sigma_2^\dagger =
\begin{pmatrix}
0&\bar{i}\\
\bar{-i}&0
\end{pmatrix} = \begin{pmatrix}
0&-i\\
i&0
\end{pmatrix}
=\sigma_2
</math>
:<math>
\sigma_2^\dagger =
\begin{pmatrix}
\bar{1}&0\\
0&\bar{-1}
\end{pmatrix} =
\begin{pmatrix}
1&0\\
0&-1
\end{pmatrix}
=\sigma_3
</math>
|}
:{| class="toccolours collapsible collapsed" width="80%" style="text-align:left"
!증명 : 파울리 행렬은 유니타리행렬이다.
|-
|
파울리 행렬은 에르미트 행렬이기도 하므로,
: <math>\sigma_i^\dagger = \sigma_i </math>
이다. 따라서 파울리 행렬이 유니타리행렬이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 <math>\sigma_i^2 = I </math>
위의 증명은 아래와 같다.
:<math>
\sigma_1^2 =
\begin{pmatrix}
0&1\\
1&0
\end{pmatrix}
\begin{pmatrix}
0&1\\
1&0
\end{pmatrix}
= \begin{pmatrix}
0+1 & 0+0\\
0+0 & 1+0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0 & 1
\end{pmatrix}
=I
</math>
:<math>
\sigma_2^2 =
\begin{pmatrix}
0&-i\\
i&0
\end{pmatrix}
\begin{pmatrix}
0&-i\\
i&0
\end{pmatrix}
=
\begin{pmatrix}
0+(-i)\times i & 0 + 0 \\
0 +0 &i \times (-i) + 0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0 &1
\end{pmatrix}
= I
</math>
:<math>
\sigma_3^2 =
\begin{pmatrix}
1&0\\
0&-1
\end{pmatrix}
\begin{pmatrix}
1&0\\
0&-1
\end{pmatrix}
= \begin{pmatrix}
1+0 & 0+0\\
0+0 & 0+(-1)^2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0 & 1
\end{pmatrix}
=I
</math>
|}
 
파울리 행렬은 에르미트 행렬이면서 유니타리행렬이기 때문에 아래 성질이 성립한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연산 법칙을 만족한다.
:<math>\sigma_1^2 = \sigma_2^2 = \sigma_3^2 = I</math>
 
파울리 행렬의 [[행렬식]]과 [[대각합]]의 값은 다음과 같다.
<math>\sigma^1 \sigma^2 = i \sigma^3</math>
:<math>\begin{matrix}
\det (\sigma_i) &=& -1 & \\[1ex]
\operatorname{Tr} (\sigma_i) &=& 0 & \quad \hbox{for}\ i = 1, 2, 3
\end{matrix}</math>
이로부터, 파울리행렬의 [[고유값]]은 &plusmn;1 임을 알 수 있다.
 
파울리 행렬은 다음과 같은 [[교환관계]]와 [[반대바꿈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1,2,3을 2,3,1이나 3,1,2로 바꾼 조합도 마찬가지를 만족한다. 따라서,
:<math>\begin{matrix}
이들에 각각 허수단위 i를 곱하면 [[사원수]]의 연산법칙이 된다. 이를 더 간단하게 쓰면
[\sigma_a, \sigma_b] &=& 2 i \sum_c \varepsilon_{a b c}\,\sigma_c \\[1ex]
\{\sigma_a, \sigma_b\} &=& 2 \delta_{a b} \cdot I
\end{matrix}</math>
 
여기서 <math>\varepsilon_{abc}</math>는 [[레비-치비타 기호]], <math>\delta_{ab}</math>는 [[크로네커 델타]]를 말한다.
<math>\sigma^i \sigma^j = \delta^{ij} I + \epsilon^{ijk} \sigma^k</math>
 
위의 두 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I''는 2x2 단위행렬이며, <math>\epsilon^{ijk}</math> 완전히 반대칭인 텐서이다.
 
:<math>\sigma_a \sigma_b = \delta_{ab} \cdot I + i \sum_c \varepsilon_{abc} \sigma_c \,</math>.
 
예를 들어, 몇몇 값을 구해보면
:<math>\begin{matrix}
\sigma_1\sigma_2 &=& i\sigma_3,\\
\sigma_2\sigma_3 &=& i\sigma_1,\\
\sigma_2\sigma_1 &=& -i\sigma_3,\\
\sigma_1\sigma_1 &=& I.\\
\end{matrix}</math>
이다.
 
또한, 위 행렬 3개를 한번에 벡터로 모아 '''파울리 벡터'''({{llang|en|Pauli vector}})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자세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math>\bold{\sigma} = \sigma_1 \hat{x} + \sigma_2 \hat{y} + \sigma_3 \hat{z} \,</math>
교환관계식을 이용하면 파울리 벡터와 교환법칙이 성립하는 임의의 벡터 '''a'''와 '''b'''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짐을 알 수 있다.
:<math>(\mathbf{a} \cdot \mathbf{\sigma})(\mathbf{b} \cdot \mathbf{\sigma}) = \mathbf{a} \cdot \mathbf{b} + i \mathbf{\sigma} \cdot ( \mathbf{a} \times \mathbf{b} ) \quad \quad \quad \quad \,</math>
:{| class="toccolours collapsible collapsed" width="80%" style="text-align:left"
!증명
|-
|
:{|
|<math>(\mathbf{a} \cdot \mathbf{\sigma})(\mathbf{b} \cdot \mathbf{\sigma}) \,</math>
|<math> = a_i \sigma_i b_j \sigma_j \,</math>
|-
|
|<math> = a_i b_j \sigma_i \sigma_j \,</math>
|-
|
|<math> = a_i b_j \left( \delta_{ij} \cdot I+ i \varepsilon_{ijk} \sigma_k \right) \,</math>
|-
|
|<math> = a_i b_j \delta_{ij} \cdot I+ i \sigma_k \varepsilon_{ijk} a_i b_j \,</math>
|-
|
|<math> = \vec{a} \cdot \vec{b} + i \vec{\sigma} \cdot ( \vec{a} \times \vec{b} )\,</math>
|}
|}
또한, 임의의 벡터 '''a'''와 그 방향 단위벡터 <math>\hat{n}</math>, 그 벡터의 길이 a에 대해 아래의 관계가 성립한다.
:<math>e^{i (\mathbf{a} \cdot \mathbf{\sigma})} = \cos{a} + i (\hat{n} \cdot \mathbf{\sigma}) \sin{a}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math>
:{| class="toccolours collapsible collapsed" width="80%" style="text-align:left"
!증명
|-
|
먼저 임의의 짝수에 대한 [[거듭제곱]]에 대해
:<math>(\hat{n} \cdot \vec{\sigma})^{2n} = I \,</math>
이 성립함을 알 수 있지만, 홀수에 대한 거듭제곱에 대해서는
:<math>(\hat{n} \cdot \vec{\sigma})^{2n+1} = \hat{n} \cdot \vec{\sigma} \,</math>
임을 알 수 있다. 이 두 사실과, 지수함수와 사인, 코사인 함수와의 관계
:{|
|<math>e^{ix} \,</math>
|<math>= \sum_{n=0}^\infty{\frac{i^n x^n}{n!}} \,</math>
|-
|
|<math>= \sum_{n=0}^\infty{\frac{(-1)^n x^{2n}}{2n!}} + i\sum_{n=0}^\infty{\frac{(-1)^n x^{2n+1}}{(2n+1)!}} \,</math>
|}
를 이용하고 x에
:<math>x = a (\hat{n} \cdot \vec{\sigma}) \,</math>
을 대입하면,
::<math>= \sum_{n=0}^\infty{\frac{(-1)^n (a\hat{n}\cdot \vec{\sigma})^{2n}}{2n!}} + i\sum_{n=0}^\infty{\frac{(-1)^n (a\hat{n}\cdot \vec{\sigma})^{2n+1}}{(2n+1)!}} \,</math>
::<math>= \sum_{n=0}^\infty{\frac{(-1)^n a^{2n}}{2n!}} + i (\hat{n}\cdot \vec{\sigma}) \sum_{n=0}^\infty{\frac{(-1)^n a^{2n+1}}{(2n+1)!}} \,</math>
을 얻는다. 여기서 왼쪽의 합은 코사인, 오른쪽의 합은 사인함수의 급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ath>e^{i a(\hat{n} \cdot \vec{\sigma})} = \cos{a} + i (\hat{n} \cdot \vec{\sigma}) \sin{a} \,</math>
이다.
|}
 
==리대수의 발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