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나은은 여기로 넘어오지 않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본문|수온|오온#수온}}
 
'''수'''(受, {{llang|sa|[[:en:vedanā|<span style="color: black">vedanā</span>]]}}, {{llang|pi|[[:en:vedanā|<span style="color: black">vedanā</span>]]}}, {{llang|en|[[:en:vedanā|<span style="color: black">feeling, sensation</span>]]}})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권오민|2003|pp=69-81}}{{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205&DTITLE=%A8%FC 受]". 2012년 9월 21일에 확인}}
 
[[수 (불교)|수]](受)는, 다른 [[마음작용]]인 [[촉 (불교)|촉]](觸, {{llang|sa|[[:en:sparśa|<span style="color: black">sparśa</span>]]}}, {{llang|pi|[[:en:phassa|<span style="color: black">phassa</span>]]}})이 발생할 때 동시에 생겨나는 [[마음작용]]으로,{{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T.99|loc=제11권, 제273경 〈수성유경(手聲喩經)〉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2n0099_p0072c09 T02n0099_p0072c09 - T02n0099_p0072c10]|ps=<br>"如是緣眼.色。生眼識。三事和合觸。觸俱生受.想.思。"}}{{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K.650, T.99|loc=제11권, 제273경 〈수성유경(手聲喩經)〉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394 394 / 2145]|ps=<br>"인용: 이와 같이 눈과 빛깔을 인연하여 안식이 생긴다. 이 세 가지가 화합한 것이 감촉[觸]이니, 감촉이 함께 하면 느낌[受]{{.cw}}생각[想]{{.cw}}의도[思]가 생긴다."<br>"편집자 번역: 이와 같이 안근과 색경을 인연하여 안식이 생긴다. 이 세 가지가 화합한 것이 촉(觸)이다. 촉(觸)과 함께 수(受){{.cw}}상(想){{.cw}}사(思)가 동시에 생겨난다. "}}{{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53a02 T29n1558_p0053a02 - T29n1558_p0053a04]|ps=<br>"受生與觸為後為俱。毘婆沙師說。俱時起觸受展轉俱有因故。"}}{{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468 468 / 1397]|ps=<br>"'수'는 '촉'보다 뒤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구시(俱時, 즉 동시)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비바사사(毘婆沙師)는 설하기를, "구시에 생기하니, 촉과 수는 전전 상속하며 서로에 대해 구유인(俱有因)이 되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79번째 줄:
==수면==
 
1. '''수면'''(隨眠, {{llang|sa|[[:en:anuśaya|<span style="color: black">anuśaya</span>]]}}, {{llang|pi|[[:en:anusaya|<span style="color: black">anusaya</span>]]}})은 [[근본번뇌]]의 다른 말이며, [[근본번뇌]]라는 말을 줄여서 그냥 [[번뇌]]라고도 한다. [[중생|유정]]을 따라[隨] 일어나며 또한 그 [[행상]](行相: 작용하는 모습)이 미세[眠]하므로 수면이라고 한다. 또한, [[중생|유정]]을 쫓아다녀[隨逐] 마음이 혼미한 상태에 있게 하는 것이 잠자는[眠] 것과 같으므로 수면이라고 한다. [[6수면]](六隨眠){{.cw}}[[7수면]](七隨眠){{.cw}}[[10수면]](十隨眠){{.cw}}[[98수면]](九十八隨眠)이 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96&DTITLE=%A4C%C0H%AFv七隨眠 七隨眠]". 2013년 1월 3일에 확인|ps=<br>"七隨眠: 即將貪、瞋、癡、慢、疑、見等六隨眠中之貪隨眠分為欲貪、有貪二種,合為七隨眠。又稱七使。隨眠者,根本煩惱之異稱,隨逐有情而起,且其行相微細,故稱隨眠。欲貪者,於欲界貪著外在五欲妙境;有貪者,為上二界之貪,即貪著上二界之定及依身,故稱有貪。〔俱舍論卷十九、大乘義章卷五〕(參閱「六隨眠」)"}}{{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A9%B4&rowno=4 隨眠(수면)]". 2013년 1월 3일에 확인|ps=<br>"隨眠(수면): 【범】 Anuśaya (1)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늘 중생을 따라다녀 여의지 아니하므로 수(隨)라 하고, 그 작용이 아득하여 알기 어려움이 마치 잠자는 상태와 비슷하므로 면(眠)이라 함. 또 중생을 쫓아다녀 마음을 혼미하게 하는 것이 잠자는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이름. (2) 번뇌의 종자. 온갖 번뇌의 종자는 항상 중생을 따라다니며 제8 아뢰야식 중에 면복(眠伏)해 있으므로 수면이라 하며, 또 중생을 따라다니며 더욱 허물을 더하게 함이 마치 사람이 잠자기를 좋아하여 오래 자는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이름."}}{{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16&DTITLE=%C0H%AFv隨眠 隨眠]". 2013년 1월 3일에 확인|ps=<br>"隨眠: 梵語 anuśaya,巴利語 anusaya。為煩惱之異名。煩惱隨逐我人,令入昏昧沈重之狀態;其活動狀態微細難知,與對境及相應之心、心所相互影響而增強(隨增),以其束縛(隨縛)我人,故稱為隨眠。此有貪、瞋、慢、無明(癡)、見(惡見)、疑等六種,稱為六隨眠(六根本煩惱)。其中,貪復分為欲貪與有貪,稱為七隨眠;見分為身、邊執、邪、見取、戒禁取等五見,稱為十隨眠。此外,以此更加細分,則有九十八隨眠。<br>
 關於隨眠之體另有異說,說一切有部認為貪等煩惱即隨眠,屬於心相應之法;大眾部、化地部等認為現起之煩惱稱為纏,另外稱熏成種子之法為隨眠,與心不相應;經部認為煩惱於覺醒活動之位為纏,對此,煩惱為眠伏狀態之種子稱為隨眠,為非心相應亦非不相應。於唯識宗,不承認煩惱即隨眠之說,蓋隨眠為煩惱之習氣,即指種子而言。此煩惱之種子隨逐我人,眠伏潛在於阿賴耶識。〔大毘婆沙論卷五十、俱舍論卷十九、卷二十、發智論卷三、品類足論卷三、成唯識論卷九、瑜伽師地論卷五十九、卷八十九〕"}}
 
[[수면 (불교)|수면]](隨眠)의 성격 또는 본질에 대해서는 부파 또는 종파에 따라 의견이 달랐다.
[[설일체유부]]에서는 [[수면 (불교)|수면]](隨眠: 근본번뇌 또는 번뇌)을 [[마음 (불교)|마음]]과 [[상응]]하는 [[법 (불교)|법]]이라고 보아, [[심소법]]으로 분류하였다. 반면, [[부파불교]]의 [[분별부]](分別部)와 [[독자부]](犢子部)에서는 [[수면 (불교)|수면]](隨眠)을 불상응행법에 속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대중부]](大眾部)와 [[화지부]](化地部)에서는 [[현행]]하는 [[번뇌]]와 훈습에 의해 형성된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 상태의 [[번뇌]]를 구분하여 전자를 [[전 (불교)|전]](纏)이라고 부르고 후자를 [[수면 (불교)|수면]](隨眠)이라 불렀는데, [[수면 (불교)|수면]]을 불상응행법에 속한 것으로 보았다. [[경량부]](經量部)에서는 [[번뇌]]가 각성되어 활동 상태에 있는 것을 [[전 (불교)|전]](纏)이라 하고 [[번뇌]]의 종자 상태 즉 [[번뇌]]가 잠복되어 있는 상태 또는 잠자는 상태를 [[수면 (불교)|수면]](隨眠)이라 하였는데, [[수면 (불교)|수면]]은 [[마음 (불교)|마음]]과 [[상응]]하는 [[법 (불교)|법]]도 [[상응]]하지 않는 [[법 (불교)|법]]도 아니라고 하였다. 즉 [[심소법]]에 속한 것도 불상응행법에 속한 것도 아니라고 하였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서도 [[수면 (불교)|수면]]과 [[번뇌]]가 같은 것으로 보지 않았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대체로 [[수면 (불교)|수면]]을 [[번뇌]]의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습기]](習氣)인 것으로, 즉 [[종자]]인 것으로 보았는데, 이 [[번뇌]]의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가 [[중생|유정]]을 따라 쫓아다니며 [[아뢰야식]]내에 잠자듯이 엎드려 있는 잠재 상태로 존재한다고 보았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A9%B4&rowno=4 隨眠(수면)]". 2013년 1월 3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16&DTITLE=%C0H%AFv隨眠 隨眠]". 2013년 1월 3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715&DTITLE=%A4%DF%A4%A3%AC%DB%C0%B3%A6%E6心不相應行 心不相應行]". 2012년 12월 4일에 확인|ps=<br>"心不相應行: 梵語 citta-viprayukta-sajskāra,巴利語 citta-vippayutta-dhamma。乃俱舍家、唯識家等對於一切諸法所立五位分類中之第四位。又作心不相應行蘊、非色非心不相應行法、非色不相應行蘊、心不相應法、不相應行法、不相應行、不相應。指不屬於色、心二法,與心不相應之有為法之聚集。依小乘說一切有部之義,在色、心及心所之外,另有與心不相應之實法,其體係有為法,又為五蘊中之行蘊所攝,故稱心不相應行。經部、唯識等則主張不相應行乃於色心之分位所假立者,並非實法。<br>
 心不相應行之數,大小乘均有異說。小乘俱舍家舉出得、非得、同分、無想果、無想定、滅盡定、命根、生、住、異、滅、名身、句身、文身等十四種不相應行法。順正理論卷十二加上和合性,而立十五不相應行法之說。品類足論卷一則舉出得、無想定、滅定、無想事、命根、眾同分、依得、事得、處得、生、老、住、無常性、名身、句身、文身等十六法。此外,分別部及犢子部等,將隨眠亦計為不相應法。大乘唯識家中,瑜伽師地論卷三舉出得、無想定、滅盡定、無想異熟、命根、眾同分、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異生性、流轉、定異、相應、勢速、次第、時、方、數、和合及不和合等二十四種不相應行法,大乘阿毘達磨集論卷一除去不和合而立二十三不相應行法之說。大乘五蘊論則舉出得、無想等至、滅盡等至、無想所有、命根、眾同分、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異生性等十四法。〔俱舍論卷四、卷十九、入阿毘達磨論卷上、顯揚聖教論卷二、卷十八、成唯識論卷一、卷二、大毘婆沙論卷二十二、卷四十五、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二、俱舍論光記卷四、成唯識論演祕卷二末〕(參閱「五位七十五法」、「五位百法」)"}}
 
95번째 줄:
[[부정지법 (마음작용)|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부정심소 (마음작용)|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D%A1%E7%9C%A0&rowno=2 ]".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215&DTITLE=%BA%CE%AFv睡眠 睡眠]".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수면 (마음작용)|수면]](睡眠)은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암매'''(闇昧: 흐리멍덩함, 어리석고 몽매함)해지게 하는 [[마음작용]]이다.{{sfn|권오민|2003|pp=69-81}}{{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D%A1%E7%9C%A0&rowno=2 ]".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제6 의식]]이 깊이 잠자는 것을 '''수'''(睡)라 하고 [[전5식]](前五識)이 캄캄하여 작용하지 않는 것을 '''면'''(眠)이라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D%A1%E7%9C%A0&rowno=2 ]".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달리 말하면, 휴식과 재충전 등의 필요상 불가피하게 [[수면 (마음작용)|수면]](睡眠)과 [[상응]]해야만 하는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어둡고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이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1554&categoryId=2886 수면(睡眠)]".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한편, [[수면 (마음작용)|수면]](睡眠)을 줄여서 간단히 '''면'''(眠)이라고도 한다.
116번째 줄:
<br>四煩惱六者。一貪二嗔。三慢四無明。五疑六不正見。
<br>五隨煩惱二十者。一忿二恨。三惱四覆。五誑六諂。七憍八害。九嫉十慳。十一無慚十二無愧。十三不信十四懈怠。十五放逸十六惛沈。十七掉舉十八失念。十九不正知二十散亂。
<br>六不定四者。一睡眠二惡作。三尋四伺。"}}{{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5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26c25 T31n1585_p0026c25 - T31n1585_p0027a01]|ps=<br>"諸心所法皆於所緣兼取別相。雖諸心所名義無異而有六位種類差別。謂遍行有五。別境亦五。善有十一。煩惱有六。隨煩惱有二十。不定有四。如是六位合五十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5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59 259 / 583]. 심소법(心所法)|ps=<br>"모든 심소법은 대상에 대해서 (전체적인 모습과) 겸하여 개별적인 모습을 취한다. 모든 심소는 명칭이나 개념[義]에 다른 것이 없지만, 여섯 가지 지위의 종류로 차별이 있다. 변행심소에 다섯 가지가 있고, 별경심소에 역시 다섯 가지가 있으며, 선심소에 열한 가지가 있고, 번뇌심소에 여섯 가지가 있으며, 수번뇌심소에 스무 가지가 있고, 부정심소에 네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여섯 가지 지위를 합하면 쉰한 가지가 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314&DTITLE=%A4%AD%A6%EC%A6%CA%AAk五位百法 五位百法]".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수번뇌심소]]는 [[수번뇌]](隨煩惱)들로 구성된 [[마음작용]]들의 그룹이다. [[수번뇌]](隨煩惱)는 [[근본번뇌]]들, 즉 [[번뇌심소]]에 속한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 즉 [[탐|탐]](貪){{.cw}}[[진 (불교)|진]](瞋){{.cw}}[[만 (불교)|만]](慢){{.cw}}[[무명 (불교)|무명]](無明){{.cw}}[[불교 용어 목록/육#의|의]](疑){{.cw}}[[부정견|부정견]](不正見)을 [[발동근거]][所依]로 하여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을 말한다. 즉, 각각의 [[수번뇌]]는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근본번뇌]]의 하나 혹은 다수의 작용에 의해 동류(同類)로서 이끌려 일어난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ps=<br>"諸隨煩惱其相云何。頌曰。<br>
136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239)</sup> 분(忿){{.cw}}한(恨){{.cw}}부(覆){{.cw}}뇌(惱){{.cw}}질(嫉){{.cw}}간(慳){{.cw}}광(誑){{.cw}}첨(諂){{.cw}}해(害){{.cw}}교(憍) 심소이다.
<br><sup style="color: blue">240)</sup> 무참(無慚){{.cw}}무괴(無愧) 심소이다.
<br><sup style="color: blue">241)</sup> 도거(掉擧){{.cw}}혼침(惛沈){{.cw}}불신(不信){{.cw}}해태(懈怠){{.cw}}방일(放逸){{.cw}}실념(失念){{.cw}}산란(散亂){{.cw}}부정지(不正知)의 심소이다."}}{{sfn|황욱|1999|p=6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ps=<br>"‘隨煩惱’란 ‘隨惑’이라고도 하는데, 곧 근본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를 가리킨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隨煩惱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ps=<br>"隨煩惱: 梵語 upakleśā,巴利語 upakkilesa。指隨根本煩惱而起之煩惱。與「根本煩惱」相對稱。又作隨惑、枝末惑。據俱舍論卷二十一載,隨煩惱有二義:(一)指隨心生起而惱亂有情之一切煩惱。(二)指依根本煩惱而起之其他煩惱。書中共舉出十九種隨煩惱,並總括為三類,即:(一)大煩惱地法,指放逸、懈怠、不信、惛沈、掉舉。(二)大不善地法,指無慚、無愧。(三)小煩惱地法,指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等十種,及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br>
 據成唯識論卷六載,隨煩惱指根本煩惱之六大惑以外的二十種法,可分為三類,故又稱「三隨煩惱」。即:(一)小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小煩惱地法而立,指忿、恨、覆、惱、嫉、慳、誑、諂、害、憍等十種;此十種煩惱各別而起,故稱小隨煩惱。(二)中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不善地法而立,指無慚、無愧;此二種煩惱遍於一切之不善心,稱為中隨煩惱。(三)大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煩惱地法而立,指掉舉、惛沈、不信、懈怠、放逸、失念、散亂、不正知等八種;此八種煩惱遍於一切染污心,而輾轉與小、中隨煩惱俱生,故稱大隨煩惱。〔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三、品類足論卷一、成實論卷十隨煩惱品、瑜伽師地論卷五十五、華嚴經疏鈔卷三十四〕"}}{{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1 隨煩惱(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ps=<br>"隨煩惱(수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1) 온갖 번뇌. 일체 번뇌는 모두 몸과 마음에 따라 뇌란케 하므로 수번뇌. (2) 근본 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구사종에서는 이를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惛沈)·도거(掉擧)·무참(無慚)·무괴(無愧)·분(忿)·부(覆)·간(慳)·질(嫉)·뇌 (惱)·해(害)·한(恨)·광(誑)·첨(諂)·교(憍)·수면(睡眠)·회(悔)의 19종이라 하고, 유식종에서는 분·한·부·뇌·질·간·광·첨·해·교(이상은 소수혹)·무참·무괴(이상은 중수혹)·도거·혼침·불신·해태·방일·실념(失念)·산란·부정지(不正知, 이상 대수혹)의 20종을 말함."}}{{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2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ps=<br>"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유식종에서 근본 번뇌에 따라서 일어나는 번뇌를 20종으로 나눈 것. 분(忿)·한(恨)·부(覆)·뇌(惱)·간(慳)·질(嫉)·광(誑)·첨(諂)·해(害)·교(憍).(이상은 소수번뇌) 무참(無慚)·무괴(無愧).(이상은 중수번뇌) 도거(掉擧)·혼침(惛沈)·불신(不信)·해태(懈怠)·방일(放逸)·실념(失念)·산란(散亂)·부정지(不正知).(이상은 대수번뇌)"}}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총 20가지의 [[마음작용]]들이 [[수번뇌]]를 구성하는데, 이들은 다시 그 성격에 따라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cw}}[[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cw}}[[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의 3그룹으로 나뉘며, 이 3그룹에 속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은 다음과 같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24 324-325 / 58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隨煩惱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2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불교 용어 목록/ㅂ#분|분]](忿){{.cw}}[[불교 용어 목록/ㅎ#한|한]](恨){{.cw}}[[뇌 (마음작용)|뇌]](惱){{.cw}}[[부 (마음작용)|부]](覆){{.cw}}[[불교 용어 목록/경#광|광]](誑){{.cw}}[[첨 (불교)|첨]](諂){{.cw}}[[교 (불교)|교]](憍){{.cw}}[[불교 용어 목록/ㅎ#해|해]](害){{.cw}}[[불교 용어 목록/지#질|질]](嫉){{.cw}}[[불교 용어 목록#간|간]](慳)
145번째 줄:
* [[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 [[불교 용어 목록/불#불신|불신]](不信){{.cw}}[[불교 용어 목록/ㅎ#해태|해태]](懈怠){{.cw}}[[불교 용어 목록/ㅂ#방일|방일]](放逸){{.cw}}[[불교 용어 목록/ㅎ#혼침|혼침]](惛沈){{.cw}}[[불교 용어 목록/ㄷ#도거|도거]](掉擧){{.cw}}[[불교 용어 목록/시#실념|실념]](失念){{.cw}}[[불교 용어 목록/ㅂ#부정지|부정지]](不正知){{.cw}}[[산란 (불교)|산란]](散亂)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에서 '소'수번뇌(小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은 모두 개별적으로 일어나는 [[수번뇌]](隨煩惱: 근본번뇌를 의지하여 근본번뇌와 함께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라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소(小)'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된 것이다. 즉, [[소수번뇌]](小隨煩惱)라는 말은 각기 따로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24 324-325 / 58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隨煩惱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그리고, 각기 따로 일어난다는 것이란, [[소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심한 [[번뇌]], 즉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악 (3성)|악]])으로 분류되는 [[번뇌]]들인데, [[마음 (불교)|마음]]이 쌓은 [[악업]]에 따라 그에 [[상응]]하여 각각의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악 (3성)|악]])이 일어난다는 것을 말한다. [[소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이 [[중수번뇌심소]]나 [[대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보다 더 심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 즉 더 [[염오|오염]]된 [[마음작용]]들이다. '소(小)'가 심하지 않은 [[번뇌]] 또는 덜 [[염오|오염]]된 [[마음작용]]을 의미한다고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소수번뇌|'소'수번뇌]](小隨煩惱)는 '덜한' 2차적인 번뇌가 아니라 '특수한 또는 심한'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264&DTITLE=%A4%A4%C0H%B7%D0%B4o中隨煩惱 中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ps=<br>"中隨煩惱: 又稱中隨惑。指無慚、無愧二種隨煩惱。大乘唯識家所立二十種隨煩惱中,無慚、無愧二者乃遍一切不善心而俱起,其行位之寬狹在大隨與小隨之間,故稱為中隨煩惱。〔成唯識論卷六〕"}}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에서 '중'수번뇌(中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은 모든 [[불선심]](不善心), 즉 [[악한 마음]]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수번뇌]]라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중(中)'이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된 것이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24 324-325 / 58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隨煩惱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여기서, 모든 [[불선심]](不善心)을 말하고 있지 모든 [[염오심]](染污心) 즉 [[번뇌]]에 물든 모든 [[마음 (불교)|마음]]을 말하고 있지 않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불선심]]은 [[염오심]]의 일부로서, [[바른 지혜]]가 [[현현]](顯現: 명백하게 나타남)하는 것을 장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악한 과보]]를 일으킬 정도의 심한 [[번뇌]], 즉 심한 [[번뇌성]]의 [[마음작용]]과 [[상응]]하고 있는 상태의 [[마음 (불교)|마음]]을 말한다.{{sfn|권오민|2003|pp=69-81}}{{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663&DTITLE=%ACV%A6%C3染污 染污]".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염오(染污)|ps=<br>"染污: 梵語 klista。煩惱之別稱。又作雜染、染。指有漏法中,妨礙悟道者,即不善與有覆無記之法。"}} '[[불선심]](不善心)과 언제나 함께 일어난다는 것'이란, 달리 말하면,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에 속한 [[불교 용어 목록/무#무참|무참]](無慚)과 [[불교 용어 목록/무#무괴|무괴]](無愧)는 각각 자신과 남에 대해 반성함 또는 수치스러워함이 없는 것인데, 이러한 성질이 모든 [[악한 마음]]에서는 언제나 발견되며 이러한 성질이 모든 [[악한 마음]]에서 언제나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중수번뇌|'중'수번뇌]](中隨煩惱)는 '특수하지도 일반적이지도 않은'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264&DTITLE=%A4%A4%C0H%B7%D0%B4o中隨煩惱 中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에서 '대'수번뇌(大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은 모든 [[염오심]](染污心) 즉 [[번뇌]]에 물든 모든 [[마음 (불교)|마음]]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수번뇌]]라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大)'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된 것이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24 324-325 / 58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隨煩惱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즉, [[대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모든 [[염오한 마음]]에서 언제나 발견되며 모든 [[염오한 마음]]에는 이들이 동시에 함께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대수번뇌|'대'수번뇌]](大隨煩惱)는 '일반적인'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264&DTITLE=%A4%A4%C0H%B7%D0%B4o中隨煩惱 中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이에 비해 [[근본번뇌|'근본'번뇌]](根本煩惱)는 '뿌리가 되는 1차적인[根本]' 번뇌를 뜻한다.
 
==수번뇌심소의 근본번뇌==
189번째 줄:
{{참고|미리혹과 미사혹|불교 용어 목록/오#오부}}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수소단'''(修所斷, {{llang|sa|[[:en:bhāvanā-heya|<span style="color: black">bhāvanā-heya</span>]]}})은 [[선정]](禪定)을 통한 반복된 관찰, 즉 [[견도|4제(諦)를 관찰]]하고 나서 그 후 오랜 시간 동안 자주자주 도(道)를 수습하는 것인 [[삼도|수도]](修道)에 의해 끊어지는 [[법 (불교)|법]](法)으로, 여기서의 법은 [[번뇌]](煩惱)인 [[유루법]](有漏法)들과 이것들과 상응하여 함께 발생하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들을 말한다. '''수도소단'''(修道所斷), '''수단'''(修斷) 또는 '''수혹'''(修惑)이라고도 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2 82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2 862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55 1055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0186 修道所斷(수도소단)]". 2012년 9월 10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27&DTITLE=%A4T%C2%5F三斷 三斷]". 2012년 9월 10일에 확인}} (참고: [[견소단]](見所斷), [[비소단]](非所斷))
 
==수소성혜==
199번째 줄:
'''수소인색'''(受所引色)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극략색]]{{.cw}}[[극형색]]{{.cw}}[[수소인색]]{{.cw}}[[변계소기색]]{{.cw}}[[정자재소생색]]의 5가지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가운데 하나이다.{{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6b27 T31n1606_p0696b27 - T31n1606_p0696c03].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ps=<br>"法處所攝色者。略有五種。謂極略色.極迥色.受所引色.遍計所起色.自在所生色。極略色者。謂極微色。極迥色者。謂即此離餘礙觸色。受所引色者。謂無表色。遍計所起色者。謂影像色。自在所生色者。謂解脫靜慮所行境色。"}}{{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6 6 / 388].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ps=<br>"어떠한 것이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입니까?
<br>간략하게 다섯 종류의 색이 있으니,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界所起色)ㆍ자재소생색(自在所生色)을 가리킨다.
<br>[釋] ‘극략색’이란 극미색(極微色)이고, ‘극형색’이란 그 밖의 다른 장애를 여의고 접촉되는 색이고, ‘수소인색’이란 무표색(無表色)이고, ‘변계소기색’이란 영상(影像)의 색이고, ‘자재소생색’이란 해탈정려(解脫靜慮)에서 행해지는 경계의 색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法處所攝色 法處所攝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br>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br>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 [[수소인색]]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받아서 끌어들인 색'으로, 특히 [[수계 (불교)|수계]](受戒)를 통해 형성되는 [[무표색]](無表色) 즉 [[무표업]](無表業), 즉 잠재력으로서의 무형의 [[색 (불교)|색]] 또는 무형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으로서의 [[색 (불교)|색]]을 뜻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法處所攝色 法處所攝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C%86%8C%EC%9D%B8%EC%83%89&rowno=1 受所引色(수소인색)]".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受所引色(수소인색):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의 하나. 제6식(識)으로 반연할 경계. 5계(戒)ㆍ8계를 받았기 때문에 인발(引發)되는 무표색(無表色)이란 뜻."}}{{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1588&categoryId=2886 수소인색(受所引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수소인색(受所引色):
내면에 새겨져 있는 잠재력·원동력."}}{{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39750/%E5%8F%97%E6%89%80%E5%BC%95%E8%89%B2 受所引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受所引色:
<br style="margin-bottom: 5px">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br>解釋: 受即領受,引即引取。如受諸戒品,戒是色法,所受之戒,即是受所引色。又如意識領納聲香味觸等法,乃至憶念過去曾見境界,皆名受所引色。"}}
 
[[수소인색]]은 [[무표색]] 즉 [[무표업]]을 의미한다.{{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6b27 T31n1606_p0696b27 - T31n1606_p0696c03].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6 6 / 388].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法處所攝色 法處所攝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무표색]] 즉 [[무표업]]은 [[신 (불교)|몸]]과 [[불교 용어 목록/ㅁ#말|말]]로 짓는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cw}}[[악 (3성)|악]]의 [[구업]](口業) 또는 [[신업]](身業)이 발동될 때 그와 동시에 신체 내부의 [[지 (4대종)|지]]{{.cw}}[[수 (4대종)|수]]{{.cw}}[[화 (4대종)|화]]{{.cw}}[[풍 (4대종)|풍]]의 [[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생겨나는 무형의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일종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이다. 특히, 이러한 [[무표색]] 교학에 따르면, [[계 (불교)|계]]를 지키면 즉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을 행하면 그와 동시에, 그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에 상응하는 만큼의, [[악 (3성)|악]]을 막고 그치게 하는 작용을 하는 무형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으로서의 무형의 물질 즉 [[무표색]]이 [[지 (4대종)|지]]{{.cw}}[[수 (4대종)|수]]{{.cw}}[[화 (4대종)|화]]{{.cw}}[[풍 (4대종)|풍]]의 [[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형성된다고 본다. 마찬가지로 [[악 (3성)|악]]을 행하면 그와 동시에, 그 [[악 (3성)|악]]에 상응하는 만큼의,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을 막고 그치게 하는 작용을 하는 무형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으로서의 무형의 물질 즉 [[무표색]]이 [[지 (4대종)|지]]{{.cw}}[[수 (4대종)|수]]{{.cw}}[[화 (4대종)|화]]{{.cw}}[[풍 (4대종)|풍]]의 [[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형성된다고 본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87&DTITLE=%B5L%AA%ED%A6%E2無表色 無表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無表色:
 梵語 avijñapti-rūpa。又作無表業、無作色、假色。或單稱無表、無作、無教。為「表色」、「表業」之對稱。俱舍七十五法之一。即於身中恆轉相續,具有防非止惡或與之相反的障妨善德之功能,而又為不可見,且無障礙性之色法。此為小乘說一切有部之宗義,即認為無表色係以身業與口業為緣,生於吾人身內的一種無形色法;以其具有防非或妨善之功能,故以之為受戒之體;然因不顯於外,故稱無表;又以其乃身內之地、水、火、風等四大所生,故謂之色;然雖屬色法,卻不如其他色法之具有可見性、物質性、障礙性等。入阿毘達磨論卷上(大二八‧九八一上):「無表色者,謂能自表諸心心所轉變差別,故名為表;與彼同類而不能表,故名無表。」<br>
 又說一切有部以無表色皆由四大種所造,故為實色,含攝於十一種色之中。俱舍宗之看法類似,認為無表色係由四大種所造,以色業為性,故名為色;然非由「極微」所成,無見無對,故與五根五境等之色法相異。成實家則以之為非色非心,攝於不相應行蘊。經量部及大乘唯識家不認其為實有,於強勝之思的心所所發善惡表業而薰成之種子上假立。又菩薩瓔珞本業經等以心法為戒體,故不別立無表色。其他古來異說甚多。<br>
219번째 줄:
<br>동의어: 무교색, 무작색(無作色)"}}
 
이와 같이 [[설일체유부]]에서는 [[무표색]]을 [[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형성되는 색이라고 보기 때문에, [[무표색]]은 실색(實色) 즉 실재하는 [[색 (불교)|색]]이라고 본다. 즉 [[무표색]]을 [[실법]](實法)이라고 본다. 이에 비해,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무표색]] 즉 [[수소인색]]이란 강력한 [[불교 용어 목록/ㅅ#사(思)|사]](思)의 [[마음작용]]에 의해 일어난, 즉 강한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의지]]에 의해 일어난,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한 것이건 혹은 [[악 (3성)|악]]한 것이건, [[구업]](口業) 또는 [[신업]](身業)의 행위가 있을 때 그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의지]]와 [[불교 용어 목록/삼#삼업|행위]]가 [[아뢰야식]]에 [[훈습]]되어 새로이 생겨나는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나 혹은 그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의지]]와 [[불교 용어 목록/삼#삼업|행위]]에 의해 세력이 증장되는 기존의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를 마치 신체 내에 형성된 어떤 실재하는 [[법 (불교)|법]]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무표색]] 즉 [[수소인색]]은 [[가법]](假法)이라고 본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217&DTITLE=%AAk%B3B%A9%D2%C4%E1%A6%E2法處所攝色 法處所攝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87&DTITLE=%B5L%AA%ED%A6%E2無表色 無表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
 
==수습==
 
1. '''수습'''(修習, {{llang|sa|[[:en:bhāvanā|<span style="color: black">bhāvanā</span>]]}}, {{llang|pi|[[:en:bhāvanā|<span style="color: black">bhāvanā</span>]]}})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닦고 익힘'으로, '''[[수행]]'''(修行)의 다른 말이다. 줄여서 '''수'''(修) 또는 '''습'''(習)이라고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수습]]은 [[수행법]][行法]을 반복 실천하여 자주 자주 [[훈습]]하는 것을 뜻하는데, 이를 전통적인 표현으로 '''삭삭훈습'''(數數薰習)이라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983&DTITLE=%AD%D7%B2%DF修習 修習]". 2013년 3월 26일에 확인|ps=<br>"修習:
 梵語 bhāvanā,巴利語同。數數薰習之意。略稱修、習。即於諸行法,反覆實踐,數數薰習,以期達到成佛之目的。據梁譯攝大乘論釋卷八或俱舍論卷二十七所載,佛教之修行計有:(一)長時修,長時間修行。(二)無間修,不休不止之修行。(三)恭敬修,以虔誠恭敬心修行。(四)無餘修,完全不缺之修行。唐代善導大師即以此作為淨土宗之修行法則。〔雜阿含經卷三、成實論卷十五修定品、俱舍論卷十八、梁譯攝大乘論釋卷十〕 p4046"}}
 
2.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자량위]](資糧位){{.cw}}[[가행위]](加行位){{.cw}}[[통달위]](通達位){{.cw}}[[수습위]](修習位){{.cw}}[[구경위]](究竟位)의 [[불교 용어 목록/오#오위|5위]]의 수행계위 가운데 제4위인 [[수습위]](修習位)를 뜻한다. [[수습위]]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견도]](見道){{.cw}}[[삼도|수도]](修道){{.cw}}[[무학도]](無學道)의 [[삼도 (불교)|3도]]의 수행계위 가운데 [[삼도|수도]]에 해당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C%8A%B5&rowno=3 修習位(수습위)]". 2013년 3월 26일에 확인|ps=<br>"修習位(수습위):
유식종(唯識宗)에서 일체 만법은 유식(唯識)의 변현(變現)이라고 하는 이치를 관수(觀修)하는데 5위(位)를 세운 중에 제4 계위(階位). 앞의 통달위(通達位)에서 공무아(空無我)의 진리를 관한 뒤에, 다시 수습하여 온갖 장애를 끊는 지위. 3학(見道ㆍ修道ㆍ無學) 중의 수도에 해당. 자세히 말하면 초지(初地)의 주심(住心)에서 제10지의 출심(出心)까지. 이 기간에 10바라밀의 수행을 하면서 10중(重)의 장애를 끊고, 10종의 진여를 증득하는 지위."}}{{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310&DTITLE=%A4%AD%A6%EC五位 五位]". 2013년 3월 26일에 확인|ps=<br>"五位:
 指五種類別。(一)部派佛教將一切法分為五種。又作五事、五法、五品等。即:(一)色法,指物質界。(二)心法,指構成心主體之識。(三)心所法,指心之作用。(四)心不相應行法,非色法、心法而與心不相應之有為法,例如「生住異滅」,便是說明存在之現象。(五)無為法,其生滅變化並非因緣所作,亦不起作用。<br>
 俱舍論等,更對此五位加以分類,將色法析為十一種、心法一種、心所法四十六種、不相應行法十四種、無為法三種,合計七十五種,故有「五位七十五法」之稱。大乘唯識宗則分心法為八種、心所法為五十一種、色法十一種、不相應行法二十四種、無為法六種,合計百種,故稱「五位百法」。以俱舍等宗派而言,五位之順序為:色、心等,此乃認為心外之對象實在而有,由此再起內心之心、心所。而唯識宗則提出不同之主張,即以心、心所等順序表示諸法皆唯識所變現,其本身並無實體。〔俱舍論卷四、順正理論卷十、成唯識論卷七、百法明門論疏卷上、成唯識論述記卷七末〕<br>
244번째 줄:
==수증==
 
'''수증'''(隨增)은 '''수순증장'''(隨順增長) 즉 '따라 [[증가]]한다'{{.cw}}'따라 [[증장]]한다'{{.cw}}'[[계합]]하여 [[증가]]한다' 또는 '[[계합]]하여 [[증장]]한다'는 뜻이다. 예) [[번뇌]]는 [[유루법]]을 [[반연]](攀緣)하여 [[수증]](隨增)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7 7 / 1397]}}{{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476&DTITLE=%A6%B3%BA%7C%B5L%BA%7C有漏無漏 有漏無漏]". 2013년 5월 27일에 확인|ps=<br>"有漏無漏:
 為有漏與無漏之並稱。漏,為漏泄之義,即指煩惱。有煩惱而輪迴生死,稱為有漏;無煩惱而能出離生死,稱為無漏。於各種煩惱之間,具有互相隨增(隨順增長)關係者,稱為有漏法;無互相隨增關係者,稱為無漏法。在四聖諦中,苦、集二諦為有漏法,滅、道二諦為無漏法。<br>
 關於有漏與無漏之分別,玆略述於下:世間凡夫有漏之身體,稱為有漏身;而無漏清淨之佛身,稱為無漏身。又修行有漏之六行觀,能招感人天三界之果報者,稱為有漏道、有漏路;而修行可證得涅槃道果之行法者,稱為無漏道、無漏路。以世俗之法為對象,所產生之智慧,稱為有漏智;而證知四諦之理,及見道以後的聖者之智慧,稱為無漏智。凡夫於見道之前所作之善,稱為有漏善;見道以後之聖者所作的無煩惱污穢之善,稱為無漏善。以有漏智所作之世俗行為,稱為有漏行;以無漏智所修之四諦觀行,稱為無漏行。以有漏道斷除煩惱,稱為有漏斷;以無漏道斷除煩惱,稱為無漏斷。有漏行能招感人、天等五道之有漏果,故稱為有漏因;無漏行可證得涅槃之無漏果,故稱為無漏因。又凡夫因修行六行觀,而住於四禪、四無色定、四無量心定等禪定中,稱為有漏定,或有漏禪;而聖者以無漏智所發得之禪定,稱為無漏定,或無漏禪,此無漏定生起於無漏九地(未至定、中間定、四根本定、下三無色定)中。<br>
317번째 줄:
==수혜==
 
'''수혜'''(修慧, {{llang|sa|[[:en:bhāvanāmayī prajñā|<span style="color: black">bhāvanāmayī prajñā</span>]]}})는 3가지 뛰어난 [[유루혜]](有漏慧), 즉 3가지 뛰어난 [[세간의 지혜]]인 [[문혜]](聞慧){{.cw}}[[사혜]](思慧){{.cw}}[[수혜]](修慧)의 [[3혜]](三慧)의 하나이다. '''수소성혜'''(修所成慧)라고도 한다. 또한 [[3혜]]에 [[생득혜]](生得慧)를 더한 [[4혜]](四慧)의 하나이다. [[3혜]]는 모두 [[무루성혜]](無漏聖慧) 즉 [[무루지]](無漏智)가 생겨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07&DTITLE=%A4T%BCz三慧 三慧]".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sfn|권오민|2003|pp=21-29}}{{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16c18 T29n1558_p0116c18 - T29n1558_p0116c23]}}{{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2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15 1015 / 1397]}}{{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670&DTITLE=%A5%7C%BCz四慧 四慧]".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D%98%9C&rowno=1 四慧(사혜)]".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수혜]](修慧) 또는 [[수소성혜]](修所成慧)는 스승이나 친구로부터 들은 교법을 바탕으로 반복적으로 [[선정]](禪定, 等持)을 수행함으로써 생겨나는 뛰어난 지혜[勝慧]를 말하며, [[사혜]](思慧)를 근거 또는 바탕으로 하여 성립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07&DTITLE=%A4T%BCz三慧 三慧]".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sfn|권오민|2003|pp=21-29}}{{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16c18 T29n1558_p0116c18 - T29n1558_p0116c23]}}{{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2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15 1015 / 1397]}}{{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16b29 T29n1558_p0116b29 - T29n1558_p0116c09]}}{{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2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14 1014 / 1397]}}
 
==수혹==
329번째 줄:
==숙업==
 
'''숙업'''(宿業, {{llang|sa|[[:en:pūrva-karma|<span style="color: black">pūrva-karma</span>]]}}, {{llang|pi|[[:en:pubba-kamma|<span style="color: black">pubba-kamma</span>]]}})은 [[지난 생]]들에서 지은 [[선업]]과 [[악업]]을 말한다. '''숙작업'''(宿作業)이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9%EC%97%85&rowno=1 宿業(숙업)]". 2012년 12월 16일에 확인|ps=<br>"宿業(숙업): 지난 세상에 지은 선ㆍ악의 행업(行業)."}}{{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940&DTITLE=%B1J%B7~宿業 宿業]". 2012년 12월 16일에 확인|ps=<br>"宿業: 梵語 pūrva-karma,巴利語 pubba-kamma。過去世所造之善惡業因。又稱宿作業。即指於現世感宿業之果報,而現世之行業又成為來世招果報者。惟一般多以宿業指惡業因,另以宿善指善業因。〔長阿含經卷二十二世本緣品,俱舍論卷十八〕(參閱「宿善」)"}}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에 따르면, [[중생|유정]]의 [[현재의 생]]의 모습은 스스로 지은 [[숙업]]에 따라 자연법칙적으로 일어나는 [[과보]]이며 또한 [[현재의 생]]에서 새로이 짓는 [[업]]에 따라 [[숙업]]은 그 총체적 양태가 변화되고 그에 따른 [[미래의 생]]의 모습이 자연법칙적으로 [[과보]]로서 일어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940&DTITLE=%B1J%B7~宿業 宿業]". 2012년 12월 16일에 확인}}
 
==숙작업==
407번째 줄: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권오민|2003|pp=69-81}}{{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302&DTITLE=%B3%D3%B8%D1勝解 勝解]". 2012년 9월 22일에 확인}}
[[승해]](勝解)는 '''뛰어난 이해''' 또는 '''확실한 이해'''라는 뜻으로 대상을 살펴서 '''요해'''(了解: 확연히 알아서 자세히 납득함)하여, 대상의 시(是){{.c}}비(非)와 사(邪){{.c}}정(正)을 '''인가'''(印可: 확실히 이런 것이라고 확정함){{.cw}}'''결정'''(決定: 매듭을 지음, 확정적인 판단을 내림)하는 [[마음작용]]이다. 예를 들어, 어떤 교의가 옳은 지[正] 그른 지[邪]를 판정하는 것은 [[승해]](勝解)에 속한다.{{sfn|권오민|2003|pp=69-81}}{{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3 163 / 1397]}}{{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302&DTITLE=%B3%D3%B8%D1勝解 勝解]". 2012년 9월 22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8B%9D%E8%A7%A3&rowno=2 勝解(승해)]". 2012년 9월 22일에 확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