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해꼬지 → 해코지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유식학]]에 따르면, [[말나식]]의 이러한 [[아집]](我執) 즉 [[번뇌장]](煩惱障)은 [[뢰야3위]] 가운데 제일 첫째 단계인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를 벗어날 때 비로소 [[사라지는데]], 이 단계는 [[보살 10지]] 가운데 [[제8지]]의 [[부동지]] [[보살]]의 단계이며, [[성문 (불교)|성문]]의 [[4향4과]]에서는 [[아라한]]의 단계이다. 달리 말하면, [[제7지]]의 [[출심]](出心)의 단계에서 또는 [[불환과]]의 [[출심]](出心)의 단계에서 [[아집]] 즉 [[번뇌장]]이 [[끊어지며]], 이 상태는 [[욕계의 모든 번뇌]]를 벗어난 상태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5%84%EC%95%A0%EC%A7%91%EC%9E%A5%ED%98%84%ED%96%89%EC%9C%84&rowno=1 我愛執藏現行位(아애집장현행위)]". 2013년 4월 18일에 확인|ps=<br>"我愛執藏現行位(아애집장현행위):
뢰야 삼위(賴耶三位:아애집장현행위ㆍ선악업과위ㆍ상속집지위)의 하나. 제7식에게 나라고 집착되는 자리. 끝없는 범부로부터, 보살이면 제7지까지, 2승이면 유학(有學)의 성자(聖者)까지의 제8식. 이 위(位)는 아애집이 현행되는 자리이므로 이런 이름이 있음. 이 위의 제8식을 아뢰야식이라 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790&DTITLE=%BF%E0%ADC%A4T%A6%EC賴耶三位 賴耶三位]". 2013년 4월 6일에 확인|ps=<br>"賴耶三位:
 由「因位」到「果位」,將第八阿賴耶識之變化分為三段以說明之,稱為賴耶三位。此係唯識宗之說。即:(一)我愛執藏現行位,為七地以前之菩薩、二乘之有學位,與一切凡夫等,自無始以來的第八識之位;於此位時,第八識係由第七末那識執有實我實法而成。(二)善惡業果位,乃第八阿賴耶識善惡業之果報相繼生起之位;此為八地以上至十地之菩薩、二乘之有餘依位,乃至全部我愛執藏現行位的第八識之位。於此位中,第八識稱為毘播迦(梵 vipāka),亦即異熟識。(三)相續執持位,即相續執持種子之位;於此位中,第八識稱為阿陀那(梵 ādāna),亦即執持識。謂自無始以來至佛果之盡未來際,在因位時執持善、惡、無記,與漏、無漏之種子,在果位時執持無漏最善之種子,能生起現行諸法。七地以前之菩薩及凡夫等之第八識兼具此三位,八地以上菩薩之第八識具有後二位,達於佛果後,其第八識僅具最後一位。通常將第八識稱為阿賴耶識時,主要係凸顯我愛執藏之過失及眾生第八識之自相。〔成唯識論述記卷二末〕(參閱「阿賴耶識」3676) p6313"}}
 
==자단==
 
'''자단'''(子斷) 또는 '''종자를 끊는 것'''은 《[[북본열반경]](北本涅槃經)》 제29권에 나오는 [[자단]](子斷){{.cw}}[[과단]](果斷)의 [[2종해탈]](二種解脫) 가운데 하나이다.{{sfn|담무참 한역|T.374|loc=제29권. p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12n0374_p0536a28 T12n0374_p0536a28 - T12n0374_p0536b07]. 2종해탈(二種解脫)|ps=<br>"善男子。解脫二種。一者子斷。二者果斷。言子斷者名斷煩惱。阿羅漢等已斷煩惱眾結爛壞。是故子結不能繫縛。未斷果故名果繫縛。諸阿羅漢不見佛性。以不見故不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以是義故。可言果繫。不得說言名色繫縛。善男子。譬如然燈油未盡時明則不滅。若油盡者滅則無疑。善男子。所言油者喻諸煩惱。燈喻眾生。一切眾生煩惱油故不入涅槃。若得斷者則入涅槃。"}}{{sfn|담무참 한역, 번역자 미상|K.105, T.374|loc=제29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99&startNum=673 673-674 / 954]. 2종해탈(二種解脫)|ps=<br>"선남자야, 해탈에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종자를 끊는 것[子斷]이며, 둘째는 과보를 끊는 것[果斷]이다. 종자를 끊는 것은 번뇌를 끊는 것이라고 하는데, 아라한은 이미 번뇌를 끊었으므로 모든 속박[結]이 무너졌다. 그러므로 종자의 번뇌는 속박하지 못하지만, 과보를 끊지 못하였으므로 과보의 속박이라고 하는 것이다. 아라한들은 불성을 보지 못하였으며, 보지 못했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뜻으로 과보의 속박이라고는 말할지언정, 명과 색의 속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선남자야, 마치 등불을 켜는 것과 같아서 기름이 다하기 전에는 밝은 빛이 꺼지지 않지만, 기름이 다하면 꺼질 것은 의심이 없다. 선남자야, 기름은 번뇌에 비유하고 등은 중생에 비유한 것이니, 모든 중생들이 번뇌의 기름이기 때문에[→ 번뇌의 기름 때문에] 열반에 들지 못하며, 만일 번뇌를 끊는다면 열반에 드는 것이다."}} [[자단]](子斷)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종자를 끊음'으로, [[생사윤회]]를 일으키는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 즉 원인로서의 [[번뇌]]가 모두 끊어져서 [[번뇌]]에 의한 속박이 사라진 상태를 말한다. [[과단]](果斷)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과보를 끊음'으로, [[자단]](子斷)이 이미 성취되었을 뿐만 아니라 과거의 [[업]]에 의해 현재 받고 있는 고과(苦果: 괴로운 과보)의 속박도 끊고 떠난 상태를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139&DTITLE=%A4l%C2%5F子斷 子斷]". 2013년 1월 23일에 확인|ps=<br>"子斷: 即斷除煩惱。煩惱如種子,煩惱所生之苦報如果實,故斷除煩惱又稱子斷。"}}{{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909&DTITLE=%AAG%C2%5F果斷 果斷]". 2013년 1월 23일에 확인|ps=<br>"果斷: 二種解脫法之一。斷除惑業,稱為子斷;斷離生死束縳之苦果,即稱為果斷。有餘涅槃之阿羅漢斷除子縛而未斷除果縛。北本涅槃經卷二十九(大一二‧五三六上):「解脫二種:一者子斷,二者果斷。言子斷者,名斷煩惱,阿羅漢等已斷煩惱,眾結爛壞。」"}}{{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3%BC%EB%8B%A8&rowno=1 果斷(과단)]". 2013년 1월 23일에 확인|ps=<br>"果斷(과단): 자기가 지은 업에 따라 받게 되는 생사의 굴레를 끊고 해탈하는 것. ⇒과박(果縛)"}}{{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01186 果縛(과박)]". 2013년 1월 23일에 확인|ps=<br>"果縛(과박): 업으로 말미암아 받는 생사의 고(苦)가 자기를 속박하여 자유자재한 경지에 이르지 못하게 함을 말함. ⇒과단(果斷)"}}
 
[[자단]](子斷)은 [[유여열반]](有餘涅槃)에, [[과단]](果斷)은 [[무여열반]](無餘涅槃)에 해당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909&DTITLE=%AAG%C2%5F果斷 果斷]". 2013년 1월 23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530&DTITLE=%A6%B3%BEl%AFI%BAn有餘涅槃 有餘涅槃]". 2013년 1월 23일에 확인|ps=<br>"有餘涅槃: 梵語 sopadhi-śesa-nirvāna。全稱有餘依涅槃。乃「無餘涅槃」之對稱。依,指依身,即人之身體。小乘佛教認為,雖斷卻一切生死原因之煩惱而證得涅槃,然因前世惑業所造成之果報身尚存,亦即生死之因已斷,尚有生死之果待盡者,稱為有餘涅槃。反之,已斷盡生死之因,又無生死之果,而達灰身滅智之究竟涅槃之境界者,稱為無餘涅槃。<br>
 大乘佛教之說法,則與小乘有異。於大乘義章卷十九中,以佛之應身、化身為有餘涅槃,以佛之真身為無餘涅槃。另據勝鬘寶窟卷下本載,小乘之生死因果皆盡時,稱為有餘涅槃,大乘之生死因果皆盡時,則稱為無餘涅槃。〔增一阿含經卷七、法華經卷二、勝鬘經、大毘婆沙論卷三十二、大智度論卷三十一、成唯識論卷十、天台四教儀〕"}}{{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257&DTITLE=%B5L%BEl%AFI%BAn無餘涅槃 無餘涅槃]". 2013년 1월 23일에 확인|ps=<br>"無餘涅槃: 梵語 nirupadhiśesa-nirvāna。為「有餘涅槃」之對稱。四種涅槃之一,九諦之一。新譯為「無餘依涅槃」。依,指依身,即人之身體。無餘依涅槃係指斷煩惱障,滅異熟苦果五蘊所成之身,而完全無所依處之涅槃。〔中阿含卷二「七車經」、大毘婆沙論卷三十二、大智度論卷三十一、瑜伽師地論卷十三、卷二十一、卷八十六、成唯識論卷十〕(參閱「有餘涅槃」2459)"}}
 
[[부파불교]]에서는 [[열반]]에 [[유여열반]](有餘涅槃)과 [[무여열반]](無餘涅槃)의 2가지 구분이 있다고 보는데 이를 [[2종열반]](二種涅槃)이라 한다. 이에 비해 [[대승불교]]의
41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12)</sup> 아공의 도리를 깨쳐서 번뇌장을 끊으면 해탈, 즉 열반을 증득한다. 법공의 도리를 깨쳐서 소지장을 끊으면 곧 큰 깨달음[大菩提]을 성취해서 붓다가 된다.
<br><sup style="color: blue">13)</sup> 대승의 열반(涅槃, nirvāṇa)을 가리킨다.
<br><sup style="color: blue">14)</sup> 『성유식론술기』에 의하면, 이상의 내용은 안혜(安慧, Sthiramati) 등이 논서를 저술하는 취지라고 한다."}} [[번뇌장]](煩惱障) 즉 [[아집]](我執)을 끊은 상태인 [[열반]] 또는 [[해탈]]이 [[자단]](子斷)과 [[과단]](果斷)으로 나뉜다고 본다. 즉 [[4종열반]] 중 [[유여열반]]과 [[무여열반]]의 2가지 [[열반]]으로 나뉜다고 본다. 그리고, [[소지장]](所知障) 즉 [[법집]](法執)을 끊은 상태인 [[보리 (불교)|보리]] 즉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이보다 더 뛰어난 [[성불]]의 경지인 [[무주처열반]]인 것으로 보는데 [[보리 (불교)|보리]]를 [[자단]](子斷){{.cw}}[[과단]](果斷)과 구분하여 별도로 [[과지]](果智)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257&DTITLE=%B5L%BEl%AFI%BAn無餘涅槃 無餘涅槃]". 2013년 1월 23일에 확인}}{{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97|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97_p0322b19 T31n1597_p0322b19 - T31n1597_p0322b28]. 자단(子斷)·과단(果斷)의 2종해탈(二種解脫)과 보리(菩提)|ps=<br>"今當說此十種別相。論曰。一者所知依殊勝殊勝語。二者所知相殊勝殊勝語。三者入所知相殊勝殊勝語。四者彼入因果殊勝殊勝語。五者彼因果修差別殊勝殊勝語。六者即於如是修差別中增上戒殊勝殊勝語。七者即於此中增上心殊勝殊勝語。八者即於此中增上慧殊勝殊勝語。九者彼'''果斷'''殊勝殊勝語。十者彼'''果智'''殊勝殊勝語。由此所說諸佛世尊契經諸句。顯於大乘真是佛語。"}}{{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594, T.1597|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578&startNum=13 13 / 297]. 자단(子斷)·과단(果斷)의 2종해탈(二種解脫)과 보리(菩提)|ps=<br>"이제 이 열 가지 개별적인 양상을 말하겠다.
[論] 첫째는 알아야 할 바의 의지처[所知依]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殊勝語]이고, 둘째는 알아야 할 바의 양상[所知相]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다. 셋째는 알아야 할 바의 양상에 들어감[入所知相]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고, 넷째는 그것에 들어가는 원인ㆍ결과[彼入因果]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다. 다섯째는 그것<sup style="color: blue">67)</sup>의 원인ㆍ결과의 수행 차이[彼因果修差別]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고, 여섯째는 이와 같은 수행 차이 중에서 매우 높은 계율[增上戒]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다. 일곱째는 이 가운데 매우 높은 마음[增上心]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고, 여덟째는 이 가운데 매우 높은 지혜[增上慧]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다. 아홉째는 그것의 '''증과인 단멸'''[彼果斷]<sup style="color: blue">68)</sup>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고, 열째는 그것의 '''증과인 지혜'''[彼果智]<sup style="color: blue">69)</sup>의 뛰어남과 뛰어난 말이다. 여기서 말한 바 모든 부처님 세존께서 말씀하신 경전의 모든 문구로써 대승이 참으로 부처님 말씀임을 나타낸다.
<br>
51번째 줄:
 
'''자량'''(資糧, {{llang|sa|[[:en:saṃbhāra|<span style="color: black">saṃbhāra</span>]]}}, {{llang|pi|[[:en:saṃbhāra|<span style="color: black">saṃbhāra</span>]]}})은 자재와 식량을 뜻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8%B3%87%E7%B3%A7&rowno=5 資糧(자량)]". 2013년 2월 22일에 확인|ps=<br>"資糧(자량):
자재(資財)와 식량(食糧). 보살 수행의 5위(位) 가운데 첫 번째를 자량위라 함. 이것은 보리ㆍ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선근 공덕의 자량을 모으기 때문임."}} 즉, 불교 수행의 기본이 되는 [[선근]]과 [[공덕]]을 말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3924&categoryId=2886 자량(資糧)]". 2013년 2월 22일에 확인|ps=<br>"자량(資糧): 산스크리트어 saṃbhāra 수행의 기본이 되는 선근·공덕."}}{{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629&DTITLE=%B8%EA%C2%B3資糧 資糧]". 2013년 2월 22일에 확인|ps=<br>"資糧:
 梵語 sambhāra,巴利語同。即必需品、積集、準備之意。資為資助,糧為糧食;如人遠行,必假糧食以資助其身,故欲證三乘之果者,宜以善根功德之糧以資助己身。諸經中亦每以「資糧」一詞引申為趨向菩提之資本,或謂長養資益菩提之因的諸善法。金光明最勝王經卷六與大寶積經卷五十二等均有二種資糧之說,即指福德資糧(布施、持戒等)、智德資糧(又作智慧資糧,即修行般若智慧)。以上二種再加以先世資糧(過去世所修之善)與現法資糧(現世所修之善),則稱為四種資糧。此外,唯識宗等將修行之階位分為五,首位即稱為資糧位。〔菩提資糧論卷一、攝大乘論釋卷六、成唯識論述記卷九末〕 p5611"}}
 
[[산스크리트어]] '''삼바라'''(saṃbhāra)는 필수품(necessaries), 자재(materials), 모음(bringing together , collecting), 준비(preparation)의 뜻으로, 먼길을 떠나기 전에 자재와 양식을 모으고 준비하듯이 [[불도]](佛道) 즉 [[완전한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걸어가기 위해 모으고 준비하는 필수품 즉 필수적인 자재와 양식으로서의 [[선근]]과 [[공덕]]을 뜻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629&DTITLE=%B8%EA%C2%B3資糧 資糧]". 2013년 2월 22일에 확인}}{{sfn|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loc="[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cgi-bin/tamil/recherche?dictionary=all&prst=exact&maxhits=50&st=sambhara sambhara]". 2013년 2월 22일에 확인|ps=<br>"saṃbhāra:
<br>(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br>(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83번째 줄:
==자리이타==
 
'''자리이타'''(自利利他)는 자신을 이롭게 한다는 '''자리'''(自利, {{llang|sa|[[:en:svārtha|<span style="color: black">svārtha</span>]]}}, {{llang|pi|[[:en:attattha|<span style="color: black">attattha</span>]]}})와 남을 이롭게 한다는 '''이타'''(利他, {{llang|sa|[[:en:parārtha|<span style="color: black">parārtha</span>]]}}, {{llang|pi|[[:en:parattha|<span style="color: black">parattha</span>]]}})를 합한 낱말로 '''자기도 이롭고 남도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482&DTITLE=%A6%DB%A7Q%A7Q%A5L自利利他 自利利他]". 2013년 2월 22일에 확인|ps=<br>"自利利他:
 自利,梵語 svārtha,巴利語 attattha;利他,梵語 parārtha,巴利語 parattha。又作自益益他、自利利人、自行化他、自利他利、自他二利、自他利(梵 sva-parārtha)。同義語尚有自覺覺他、自信教人信等。自利,乃利己之意,即為自身之功德而努力修行,以此所產生之善果而自得其利;利他,乃利益他人之意,即非為己利,而為救濟諸有情而致力行善。以上二者合稱二利,通於世間、出世間二法,成辦二者之利益,乃大乘佛教之目的,即佛之世界,稱為自利利他圓滿。相對於此,小乘則偏於自利方面。<br>
 據成唯識論卷九載,菩薩所修之勝行隨意樂之力,通於一切自他利行。若依別相而論,則六度、菩提分等屬自利行;四種攝事、四無量等屬利他行。菩薩地持經卷一自他利品,列有十種自利利他行:(一)純(梵 kevala),(二)共(梵 para-sajboddha),(三)安(梵 hitānvaya,利益種類),(四)樂(梵 sukhānvaya,安樂種類),(五)因攝(梵 hetu-sajgrhīta),(六)果攝(梵 phala-sajgrhīta),(七)此世(梵 aihika),(八)他世(梵 āmutrika),(九)畢竟(梵 ātyantika),(十)不畢竟(梵 anātyantika)。<br>
121번째 줄:
== 자성 ==
 
'''자성'''(自性, {{llang|sa|[[:en:svabhāva|<span style="color: black">svabhāva</span>]]}}, [[:en:sva-laksana|<span style="color: black">sva-laksana</span>]], [[:en:svalakṣaṇa|<span style="color: black">svalakṣaṇa</span>]], {{llang|pi|[[:en:sabhāva|<span style="color: black">sabhāva</span>]]}}, {{llang|en|intrinsic nature, essential nature, [[:en:essence|<span style="color: black">essence</span>]]}})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다. 즉, 어떤 [[법 (불교)|법]](法)의 [[본질]]적 성질을 그 [[법 (불교)|법]](法)의 자성이라고 한다. 어떤 [[법 (불교)|법]](法)의 자성은 해당 [[법 (불교)|법]]을 다른 [[법 (불교)|법]]과 구별되게 하는 결정적 요소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는 흔히 '''자상'''(自相)이라고도 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4 4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8%87%AA%E6%80%A7&rowno=8 自性(자성)]". 2012년 9월 1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625&DTITLE=%A6%DB%A9%CA自性 自性]". 2012년 9월 12일에 확인}} (반대말: [[불교 용어 목록/경#공상|공상]](共相))
 
예를 들어, 가을의 산이 빨갛고 불이 빨갛고 옷이 빨갛다고 할 때의 공통의 빨강을 가리켜 [[불교 용어 목록/경#공상|공상]](共相)이라고 하고, 파랑 혹은 노랑 등과 구별되는 빨강 그 자체를 가리켜 [[자상]](自相) 또는 자성(自性)이라고 한다.
127번째 줄:
==자성분별==
 
'''자성분별'''(自性分別, {{llang|sa|[[:en:svabhāva-vikalpa|<span style="color: black">svabhāva-vikalpa</span>]]}})은 [[자성분별]](自性分別){{.cw}}[[수념분별]](隨念分別){{.cw}}[[계탁분별]](計度分別)의 [[3분별]](三分別) 가운데 하나이다. '''임운분별'''(任運分別) 또는 '''자성사유'''(自性思惟)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6%84%EB%B3%84&rowno=26 三分別(삼분별)]".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ps=<br>"三分別(삼분별): 심식으로 인식하는 작용의 세 가지. (1) 자성분별(自性分別). 앞에 있는 대경을 그대로 깨닫고, 추측하고 사고(思考)하지 않는 단순한 정신 작용. (2) 수념분별(隨念分別). 지나간 일을 추억하여 여러 가지 생각을 돌리는 정신 작용. (3) 계탁분별(計度分別). 널리 3세(世)에 걸쳐 아직 현실로 나타나지 않은 일들을 미루어 상상하는 정신 작용."}}{{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33&DTITLE=%A4T%A4%C0%A7O三分別 三分別]".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ps=<br>"三分別: 指三種思考識別之作用。分別,梵語 vikalpa。即:(一)自性分別(梵 svabhāva-vikalpa),又稱任運分別、自性思惟。即心識之認知作用,對現在所緣之境任運覺知,而較少推測思考,為一種單純之思考作用。(二)隨念分別(梵 anusmarana-vikalpa),又稱隨憶思惟。係一種與意識相應,對過去之事追念不忘,而隨事臆想或隨境追念之作用。(三)計度分別(梵 abhinirūpanā-vikalpa),又稱推度分別、分別思惟。即對不現前之諸種事相起計量推度之作用。又依婆沙論之說,二禪以上為無尋無伺地,故無自性分別;初禪以上為定地,故無計度分別;唯有隨念分別為三界俱有者。〔大毘婆沙論卷四十二、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二、俱舍論卷二、唯識二十論述記卷下〕(參閱「分別」)"}}
 
[[자성분별]]은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인식대상]]의 [[자성]](自性: 본질적 성질)을 [[심의식#식: 요별|분별]]([[지각 (심리학)|지각]])한다는 뜻으로, 예를 들어 빨간색의 경우 빨간색 그 자체 또는 노란색의 경우 노란색 그 자체를 [[지각 (심리학)|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인식대상]]의 [[자성]](自性: 본질적 성질)을 곧바로 [[지각 (심리학)|지각]]하는 것 즉 [[기억]]이나 [[비교]] 또는 [[추측]]의 개입 없이 [[직관]]적으로 [[지각 (심리학)|지각]]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직관적 지각'''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약간의 [[비교]]와 [[추측]] 등의 사고작용(思考作用)이 [[자성분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런 면에서는 [[자성분별]]은 '''단순한 사고작용'''을 의미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6%84%EB%B3%84&rowno=26 三分別(삼분별)]".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33&DTITLE=%A4T%A4%C0%A7O三分別 三分別]".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E%90%EC%84%B1%EB%B6%84%EB%B3%84&rowno=1 自性分別(자성분별)]".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ps=<br>"自性分別(자성분별): 3분별의 하나. 온갖 사(事)와 이(理)를 사량하여 분별하는 심작용(心作用)의 하나. 지금 앞에 나타나는 모양을 비교하여 생각할 것 없이 바로 그대로 각지(覺知)하는 것. 눈이 빛을 바로 인식 분별하는 것 따위."}}{{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626&DTITLE=%A6%DB%A9%CA%A4%C0%A7O ]".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ps=<br>"自性分別: 梵語 svabhāva-vikalpa。三分別之一。又作自性思惟、任運分別。於心識之認知作用,指任運覺知現在所緣之境,稍加推測思考而分別其自性。蓋以欲界及色界初靜慮共為有尋有伺之地,必說自性分別。關於其體,大毘婆沙論卷四十二謂,其體為尋與伺;雜阿毘曇心論卷一、俱舍論卷二則均謂,其體僅為尋。〔三無性論卷上、攝大乘論釋論卷四、俱舍論光記卷二〕(參閱「三分別」、「分別」)"}}
 
[[자성분별]]은 [[심 (마음작용)|심]](尋)과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伺)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감성적 인식'''(感性的認識)으로, [[육식|안식]](眼識){{.cw}}[[육식|이식]](耳識){{.cw}}[[육식|비식]](鼻識){{.cw}}[[육식|설식]](舌識){{.cw}}[[육식|신식]](身識)의 '''[[5식]]'''(五識)의 본질적 성질, 능력 또는 작용이다.{{sfn|권오민|2003|pp=67-69}}
151번째 줄:
<br>解釋:
成唯識論九卷二十二頁云:十、於諸法中未得自在障。謂所知障中俱生一分,令於諸法不得自在。彼障十地大法智雲、及所含藏所起事業。入十地時,便能永斷。由斯十地說斷二愚及彼麤重。一、大神通愚。即是此中障所起事業者。二、悟入微細祕密愚。即是此中障大法智雲及所含藏者。"}}{{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8D%81%E9%87%8D%E9%9A%9C&rowno=1 十重障(십중장)]". 2013년 4월 26일에 확인|ps=<br>"十重障(십중장):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階位)인 52위(位) 중, 10지(地)에서 각 지(地)마다 1장(障)씩 끊는 열 가지 번뇌. (1) 이생성장(異生性障). 범부의 성질인 번뇌장(煩惱障)ㆍ소지장(所知障)의 종자를 끊고, 성성(聖性)을 얻는 것으로 초지(初地)에 들어갈 적에 끊는 장애. (2) 사행장(邪行障). 3업(業)으로 죄를 범하게 하는 번뇌, 그 체(體)는 구생기(俱生起)의 소지장의 1분(分)이니, 제2지에 들어갈 적에 끊는 장애. (3) 암둔장(闇鈍障). 구생기(俱生起) 소지장의 1분이니, 듣고 생각하는 경계를 잊게 하는 번뇌, 제3지의 승정(勝定)과 정(定) 등이 발생하는 수승한 3혜(慧)를 장애하므로 제3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4) 미세번뇌현행장(微細煩惱現行障). 온갖 법이 실유(實有)하다고 고집하는 번뇌, 구생기 소지장의 1분. 제6식과 함께 있는 신견(身見) 등을 말하니, 제4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5) 어하승반열반장(於下乘般涅槃障). 보살이 생사를 싫어하고 열반을 좋아하는 것이 하승(下乘:2승)과 같게 하는 번뇌, 제5지의 무차별도에 들어감을 장애하는 것이므로 제5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6) 추상현행장(麤相現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1분, 4제(諦) 중의 고(苦)ㆍ집(集)을 염(染)이라 하고, 멸(滅)ㆍ도(道)를 정(淨)이라 하여, 서로 차별하다고 집착하여 일어나는 번뇌. 이것이 제6지의 무염정도(無染淨道)를 장애하므로 제6지의 들어갈 적에 끊음. (7) 세상현행장(細相現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1분, 고ㆍ집의 유전(流轉)과 멸ㆍ도의 환멸(還滅)을 믿어 생멸하는 세상(細相)이 있다고 집착하여 일어나는 번뇌. 이것이 제7지의 들어갈 적에 끊음. (8) 무상중작가행장(無相中作加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1분으로서, 무상관(無相觀)을 자재하게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번뇌. 제8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9) 이타중불욕행장(利他中不欲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1분으로서, 이타(利他)보다도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수행하려는 번뇌. 이것은 제9지의 4무애해(無碍解)를 장애하므로 제9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10) 어제법중미득자재장(於諸法中未得自在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번뇌의 1분으로서, 온갖 법을 두루 반연하는 데 자재하지 못하게 하는 번뇌. 제10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그러나 오히려 선천적으로 있는 미세한 소지장과 번뇌장의 종자가 남았으므로, 이것은 10지의 최후에 금강유정(金剛喩定)의 정심(定心)이 나타날 때, 일시에 끊어 버리고 불위(佛位)에 들어감. ⇒십진여(十眞如)"}}{{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90&DTITLE=%A4Q%AD%AB%BB%D9十重障 十重障]". 2013년 4월 26일에 확인|ps=<br>"十重障:
 指十地菩薩所斷之十種重障,單稱十障。即:(一)異生性障,依煩惱、所知二障分別起之種子而立異生性,障無漏之聖性,入初地見道斷之。(二)邪行障,所知障中俱生之一分及其所起而誤犯之三惡行,乃障極淨之尸羅,入第二地斷之。(三)闇鈍障,所知障中俱生起之一分,令忘失聞思修之法,能障勝定、總持及其所發之三慧,入第三地斷之。(四)微細煩惱現行障,執著諸法實有,無始以來隨身現行,能障四地之菩提分法,入第四地斷之。(五)於下乘般涅槃障,厭生死,樂趣涅槃,障無差別之道,入第五地斷之。(六)粗相現行障,乃執有苦集之染及滅道之淨等粗相而現行之障,能障無染淨道,入第六地斷之。(七)細相現行障,執有生滅之細相而現行之障,乃障妙空無相之道,入第七地斷之。(八)無相中作加行障,令無相觀不任運起,尚有加行之故,障無加行道,入第八地斷之。(九)利他中不欲行障,不欲勤行利樂有情之事,而樂修利己之事,障四無礙解,入第九地斷之。(十)於諸法中未得自在障,乃於諸法中不得自在,能障大法智雲及所含藏並所起之事業,入第十地斷之。於十地中修十勝行以斷此十重障,能證得十真如,故菩薩至第十地於法雖得自在,但尚有微細之所知障及任運煩惱障之種子,若斷此等餘障方能入如來地,加此一重障,合稱十一重障。〔解深密經卷四、成唯識論卷九、瑜伽師地論卷七十八〕(參閱「十地斷障證真」426、「真如」4197) p462"}}
 
192번째 줄:
'''작사지'''(作事智)는 [[성소작지]](成所作智)의 다른 말이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1287&categoryId=2886 성소작지(成所作智)]". 2013년 5월 22일에 확인|ps=<br>"성소작지(成所作智):
사지(四智)의 하나. 번뇌에 오염된 전오식(前五識)을 질적으로 변혁하여 얻은 청정한 지혜. 이 지혜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해야 할 것을 모두 성취함으로 이와 같이 말함.
<br>동의어: 작사지(作事智)"}}{{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251&DTITLE=%A6%A8%A9%D2%A7@%B4%BC成所作智 成所作智]". 2013년 5월 22일에 확인|ps=<br>"成所作智:
 梵語 krtyānusthāna-jñāna。又作作事智。為四智之一,五智之一。即轉前五識(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所得之智。蓋自證化他之二利應作,故稱所作;大悲隨類應同之妙業必得成就,故稱成。密教五佛中之不空成就如來配當此智。(參閱「五智」1161、「四智」1769) p2924"}}{{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5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29a10 T31n1585_p0029a10 - T31n1585_p0029a29].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와 8식|ps=<br>"或有心位五皆不起。如非四境率爾墮心及藏識俱。此類非一。第七八識此別境五隨位有無。如前已說。第六意識諸位容俱。依轉未轉皆不遮故。有義五識此五皆無。緣已得境無希望故。不能審決無印持故。恒取新境無追憶故。自性散動無專注故。不能推度無簡擇故。有義五識容有此五。雖無於境增上希望。而有微劣樂境義故。於境雖無增上審決。而有微劣印境義故。雖無明記曾習境體。而有微劣念境類故。雖不作意繫念一境。而有微劣專注義故。遮等引故說性散動。非遮等持。故容有定。雖於所緣不能推度。而有微劣簡擇義故。由此聖教說眼耳通是眼耳識相應智性。餘三准此有慧無失。未自在位此五或無。得自在時此五定有。樂觀諸境欲無減故。印境勝解常無減故。憶習曾受念無減故。又佛五識緣三世故。如來無有不定心故。五識皆有作事智故。"}}{{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5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79 279-281 / 583].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와 8식|ps=<br>"혹은 어떤 심왕의 지위에서는 다섯 가지 심소가 모두 일어나지 않는다. 네 가지 대상이 아닌 솔이심(率爾心) 및 장식과 함께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종류가 하나 둘이 아니다.
<br>제7식과 제8식에서 이 별경심소 다섯이 지위에 따라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는 것은 앞에서 이미 말한 바와 같다.
210번째 줄:
==작의==
 
'''작의'''([[:zh:作意|<span style="color: black">作意</span>]], {{llang|sa|[[:en:manasikara|<span style="color: black">manasikara</span>]]}}, {{llang|pi|[[:en:manasikara|<span style="color: black">manasikara</span>]]}}, {{llang|en|[[:en:attention|<span style="color: black">attention</span>]]}}, [[:en:ego-centric demanding|<span style="color: black">ego-centric demanding</span>]])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권오민|2003|pp=69-81}}{{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9696&DTITLE=%A7@%B7N作意 作意]". 2012년 9월 21일에 확인}}
 
[[작의]](作意)는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경각(警覺: 정신을 가다듬어 경계함<ref>"[http://hanja.naver.com/word?q=%E8%AD%A6%E8%A6%BA%E5%BF%83 警覺心]",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ref>, 정신을 차리고 주의 깊게 살피어 경계함<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103600 경각심(警覺心)]",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ref>)하게 하여서 [[인식대상]][所緣境]에 주의(注意: 관심을 집중하여 기울임<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931300 주의(注意)]",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ref>)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21 T29n1558_p0019a21]|ps=<br>"作意謂能令心警覺"}}{{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3 163 / 1397]. 작의(作意)|ps=<br>"작의(作意)란 이를테면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경각(警覺)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11c06 T31n1585_p0011c06]|ps=<br>"作意謂能警心為性。於所緣境引心為業。"}}{{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122 122 / 583]|ps=<br>"‘작의(作意)심소’는 능히 심왕을 경각(警覺)시키는 것을 체성으로 하고, 인식대상[所緣境] 쪽으로 심왕을 이끄는 것을 업으로 한다. "}}
242번째 줄:
<br>여기서 정(正)이란 형태의 평등함(즉 평평함)을 말하며, 형태의 평등하지 않음을 일컬어 '부정'이라고 하였다. 또한 땅으로부터 물의 기운이 비등한 것을 설하여 '안개'라고 하였으며, 태양의 불꽃을 '빛'이라고 이름하였다. 그리고 달이나 별, 화약, 보주(寶珠), 번개 등의 온갖 번쩍임[焰]을 '밝음'이라고 하였고, 광명을 장애하여 생겨난 것으로서 그 가운데로 여타의 다른 색을 볼 수 있는 것을 '그림자'라고 이름하였으며, 이와 반대되는 것을 '어둠'이라고 하였다. 그 밖의 색은 알기 쉽기 때문에 지금 여기서 더 이상 해석하지 아니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98%95%EC%83%89&rowno=2 形色(형색)]". 2012년 8월 31일에 확인|ps=<br>"形色(형색):
<br>[1] 【범】 saṃsthānarūpa ↔현색(顯色).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껴서 인식하는 물질. 이에 장(長)ㆍ단(短)ㆍ방(方)ㆍ원(圓)ㆍ고(高)ㆍ하(下)ㆍ정(正)ㆍ부정(不正)의 8종이 있다.
<br>[2] 【범】 rūpāvacara 형체색상(形體色相)이란 뜻. 곧 사람의 안색과 용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407&DTITLE=%A7%CE%A6%E2形色 形色]". 2012년 12월 24일에 확인}}
 
2. '''장'''(障)은 [[불교 용어 목록/ㅊ#추|추]](麤){{.cw}}[[불교 용어 목록/경#고|고]](苦){{.cw}}[[불교 용어 목록/ㅈ#장|장]](障){{.cw}}[[불교 용어 목록/정#정(靜)|정]](靜){{.cw}}[[불교 용어 목록/명#묘|묘]](妙){{.cw}}[[불교 용어 목록/ㄹ#리|리]](離)의 [[6행관]](六行觀) 가운데 하나로 [[불교 용어 목록/ㅎ#하지|하지]](下地)에 대해 [[불교 용어 목록/ㅈ#장|장]](障)이라고 [[위파사나|관]]하는 것을 말한다. [[불교 용어 목록/ㅈ#장|장]](障)은 '''비출리'''(非出離) 즉 [[출리]](出離)가 아니라는 것을 뜻하며, 또한 [[불교 용어 목록/ㅎ#하지|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능히 마치 감옥의 두터운 벽처럼 [[변행인#변행수면·비변행수면|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능히 [[이장 (불교)|장애]]한다는 것을 뜻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27c14 T29n1558_p0127c14 - T29n1558_p0127c27]. 세간도(世間道)|ps=<br>"諸出世道無間解脫前既已說。緣四諦境十六行相義准自成。世道緣何作何行相。頌曰。
269번째 줄:
[[:en:vyūha|<span style="color: black">vyūha</span>]],
[[:en:alaṃkāra|<span style="color: black">alaṃkāra</span>]])은
다음을 뜻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689&DTITLE=%B2%F8%C4Y莊嚴 莊嚴]".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 아름답고 훌륭하게 건설, 건립, 배열 또는 배치하는 것을 뜻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4029&categoryId=2886 장엄(莊嚴)]".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329번째 줄:
==전(纏)==
 
'''[[전 (불교)|전]]'''(纏, {{llang|sa|[[:en:paryavasthāna|<span style="color: black">paryavasthāna</span>]]}})은 [[신 (불교)|몸]]과 [[마음 (불교)|마음]]을 얽어매어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번뇌]]와 같은 말이다. 전은 [[번뇌]]와 동의어이지만 특히 [[수번뇌]](隨煩惱)를 가리킬 때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8전]](八纏) 또는 [[10전]](十纏)을 의미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BA%8F&rowno=5 纏(전)]". 2012년 12월 25일에 확인|ps=<br>"纏(전): 【범】 paryavasthāna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사람의 몸과 마음을 얽어 매어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이므로 전이라 함. 3전ㆍ8전ㆍ10전 등의 구별이 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812&DTITLE=%C4%F1 纏]". 2012년 12월 25일에 확인|ps=<br>"纏: 梵語 paryavasthāna。指心之纏縛,能妨礙修善。為煩惱(尤指隨煩惱)之異名。無慚、無愧、嫉、慳、悔、睡眠、掉舉、惛沈等八隨煩惱,稱為八纏。八纏加忿、覆,則為十纏。又經部稱煩惱之種子(潛勢位)為隨眠;對此,謂煩惱之現行(顯勢位)為纏。〔大毘婆沙論卷四十七、卷五十、品類足論卷一、雜集論卷七、瑜伽師地論卷八十九〕"}}
 
==전(箭)==
496번째 줄:
<br>2 (mwd) paramparA f. an uninterrupted row or series , order , succession , continuation , mediation , tradition (%{-rayA} ind. by tradition , indirectly) MBh. Ka1v. &c. ; lineage , progeny L. ; hurting , killing L. ; %{-prA7pta} (Bhag.) , %{--yAta} (%{-rA7y-} Var.) mfn. received by tradition [587,2] ; %{-vAhana} n. an indirect means of conveyance (e.g. the horse which draws a carriage) L. ; %{-sambandha} m. an indirect conjunction Pa1n2. 8-1 , 24 Sch.
<br>3 (mwd) pArampara mfn. further , future (world) Ka1d.
<br>4 (cap) paraMpara a. following one another, successive, repeated; f. {A} uninterrupted series, thick mass, instr. in the course of, along (---)."}}{{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291&DTITLE=%AEi%C2%E0展轉 展轉]". 2013년 5월 26일에 확인|ps=<br>"展轉:
 梵語 parajparā 或 anupūrva。又作轉轉。即順次連續之意。順次對照,稱為展轉相對,或展轉相望。相互由他轉生,則稱為展轉相生。 p4086"}}{{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4142&categoryId=2886 전전(展轉)]". 2013년 5월 26일에 확인|ps=<br>"전전(展轉):
순서대로 연속함. 차례대로 이어짐."}}{{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9552/%E5%B1%95%E8%BD%89 展轉]". 2013년 5월 26일에 확인|ps=<br>"展轉:
579번째 줄:
<br>Bukkyō daijiten (Oda) 1255-2
<br>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br>Lokakṣema's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Karashima) 624"}} 따라서, 일반 사전적인 의미와는 차이가 있다. '''전전'''(轉轉)이라고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291&DTITLE=%AEi%C2%E0展轉 展轉]". 2013년 5월 26일에 확인}}
 
3가지 이상의 [[법 (불교)|법]]이 차례대로 다음의 [[법 (불교)|법]]을 [[관조]]하는 것, 즉 번갈아 다음의 [[법 (불교)|법]]으로 이어지는 것을 '''전전상대'''(展轉相對) 또는 '''전전상망'''(展轉相望)이라 한다. 그리고 3가지 이상의 [[법 (불교)|법]]이 차례대로 또는 번갈아 앞의 [[법 (불교)|법]]을 [[인연]]하여 [[생겨나는]] 것을 '''전전상생'''(展轉相生)이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291&DTITLE=%AEi%C2%E0展轉 展轉]". 2013년 5월 26일에 확인}} 예를 들어, [[12연기]]의 각 지분들은 [[전전상생]](展轉相生)하는 관계에 있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9552/%E5%B1%95%E8%BD%89 展轉]". 2013년 5월 26일에 확인}} 쉽게 말해, 순차적으로 생겨나는 관계에 있다.
 
한편, '''전생'''(轉生, {{llang|sa|[[:en:jātiparivartah|<span style="color: black">jātiparivartah</span>]]}})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생[生, jāti]을 옮긴다[轉, parivartah]' 또는 '이 생에서 저 생으로 이동한다'는 뜻인데,{{sfn|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loc="[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cgi-bin/tamil/recherche?dictionary=all&prst=exact&maxhits=50&st=parivarta parivarta]". 2013년 5월 26일에 확인|ps=<br>"parivarta:
592번째 줄:
<br>3 (mwd) parIvarta m. exchange , barter Hit. (v.l.) ; N. of the Ku1rma or 2nd incarnation of Vishn2u L. (cf. %{pari-v-}). %{-vartam} ind. ( %{vRt}) in a circle , recurring , repeatedly Ta1n2d2Br.
<br>4 (cap) parivarta m. turning round, moving to and fro, roaming, revolving, revolution (of a planet), lapse (of time); change, barter; abode, spot, place.
<br>5 (cap) parIvarta m. exchange, barter."}} 어떤 법 A가 다른 법 B를 인연하여 생겨날 때, 다른 법 B가 소멸하고 어떤 법 A가 생겨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뜻에서, [[윤회]]를 이번 생이 사라지고 다음 생이 생겨난다는 뜻에서 전생(轉生)이라고도 하며 또는 두 낱말을 합하여 '''윤회전생'''(輪廻轉生)이라고도 하고, [[윤회전생]]을 줄여서 '''윤전'''(輪轉)이라고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3368&DTITLE=%C2%E0%A5%CD轉生 轉生]". 2013년 5월 26일에 확인|ps=<br>"轉生:
 (一)梵語 jātiparivartah。謂死於此處,而生於彼處。又作換世、輪迴轉生。大智度論卷十六(大二五‧一七五中):「菩薩得天眼,觀眾生輪轉五道,迴旋其中。天中死,人中生;人中死,天中生;(中略)非有想、非無想天中死,阿鼻地獄中生。如是展轉生五道中。」(參閱「輪迴」6186)<br>
 (二)西藏為解決佛教領袖承繼問題而設之制度。又作轉世。創始於十三世紀迦爾居派迦爾瑪迦爾居之求松肯巴。(參閱「轉世」6617) p6617"}}
603번째 줄:
 
'''전제'''(前際, {{llang|sa|[[:en:pūrvānta|<span style="color: black">pūrvānta</span>]]}})는 [[불교 용어 목록/ㅈ#전제|전제]](前際){{.cw}}[[중제]](中際){{.cw}}[[후제]](後際)의
[[3제]](三際) 가운데 하나로, [[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과거]]를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C%A0%9C&rowno=4 三際(삼제)]".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三際(삼제): 전제(前際)·중제(中際)·후제(後際). 삼세(三世)와 같음."}}{{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C%84%B8&rowno=5 三世(삼세)]".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三世(삼세):【범】 trayo-dhvana 과거·현재·미래. 또는 전세(前世)·현세(現世)·내세(來世), 전제(前際)·중제(中際)·후제(後際). 세(世)는 격별(隔別)·천류(遷流)의 뜻이니, 현상계의 사물은 잠깐도 정지하지 않고, 생기면 반드시 멸한다. 이 사물의 천류하는 위에 3세를 가(假)로 세운 것. 곧 불교에서는 인도철학의 방(方) 논사(論師)와 같이, 시간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법(法)이란 위에 세운 것. (1) 현재. 어떤 법이 생겨서 지금 작용하고 있는 동안. (2) 과거. 법이 멸했거나 또 그 작용을 그친 것. (3) 미래. 법이 아직 나지 않고, 작용을 하지 않는 것."}}{{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161&DTITLE=%A4T%BB%DA三際 三際]".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三際:
 (一)即三世。(一)前際(梵 pūrvānta),指過去。(二)後際(梵 aparānta),指未來。(三)中際(梵 madhyānta),指現在。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卷上(大八‧八三六上):「觀身實相,觀佛亦然。無前際、無後際、無中際,不住三際,不離三際。」〔大毘婆沙論卷二十四、俱舍論卷九〕}}
 
609번째 줄:
 
'''전후제'''(前後際)는 [[불교 용어 목록/ㅈ#전제|전제]](前際){{.cw}}[[중제]](中際){{.cw}}[[후제]](後際)의
[[3제]](三際) 가운데 [[불교 용어 목록/ㅈ#전제|전제]]와 [[후제]]를 통칭하는 낱말로, [[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과거]]와 [[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미래]]를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C%A0%9C&rowno=4 三際(삼제)]".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三際(삼제): 전제(前際)·중제(中際)·후제(後際). 삼세(三世)와 같음."}}{{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C%84%B8&rowno=5 三世(삼세)]".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三世(삼세):【범】 trayo-dhvana 과거·현재·미래. 또는 전세(前世)·현세(現世)·내세(來世), 전제(前際)·중제(中際)·후제(後際). 세(世)는 격별(隔別)·천류(遷流)의 뜻이니, 현상계의 사물은 잠깐도 정지하지 않고, 생기면 반드시 멸한다. 이 사물의 천류하는 위에 3세를 가(假)로 세운 것. 곧 불교에서는 인도철학의 방(方) 논사(論師)와 같이, 시간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법(法)이란 위에 세운 것. (1) 현재. 어떤 법이 생겨서 지금 작용하고 있는 동안. (2) 과거. 법이 멸했거나 또 그 작용을 그친 것. (3) 미래. 법이 아직 나지 않고, 작용을 하지 않는 것."}}{{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161&DTITLE=%A4T%BB%DA三際 三際]".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三際:
 (一)即三世。(一)前際(梵 pūrvānta),指過去。(二)後際(梵 aparānta),指未來。(三)中際(梵 madhyānta),指現在。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卷上(大八‧八三六上):「觀身實相,觀佛亦然。無前際、無後際、無中際,不住三際,不離三際。」〔大毘婆沙論卷二十四、俱舍論卷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