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언어 변수 한국어화
63번째 줄:
여성의 전통적인 [[부르카]] 착용을 금지하거나 남녀공학의 교육기관을 세우는 등의 개혁들은 부족장들과 종교 지도자들에 의해 빠르게 소외되었다. 압도적인 무장 반란세력에 부딪혀, 아마눌라 칸은 1929년 1월, 하비불라 칼라카니가 이끌던 세력에 의해 퇴위당하였다. 아마눌라의 사촌이었던 모하메드 나디르 샤 왕자는 1929년 11월에 칼라카니를 굴복시키고 살해하며, 자신 스스로를 국왕 나디르 샤로 칭한다. 그는 점진적인 근대화를 위해 아마눌라의 개혁을 단념하였으나, 1933년 [[하자라족]] 출신의 학생 압둘 칼리크에 의해 암살당한다.
 
나디르 샤의 아들이였던 당시 19세의 [[무함마드 자히르 샤]]는 왕위를 물려받아 1933년부터 1973년까지 집권한다. 자히르 샤는 1946년까지 그의 삼촌의 보조를 받아 나라를 통치하였는데, 그는 총리의 자리에 올라 나디르 샤의 정책을 이어나갔다. 자히르 샤의 또다른 삼촌이었던 샤 마흐무드 칸은 1946년에 총리직에 임명되어 더 큰 범위의 정치적 자유를 허용하기 위한 실험들을 해나갔는데, 그의 예상보다 더 발전하자 정책을 무산시켰다. 총리직은 1953년 국왕의 사촌이자 매부였던 [[무함마드 다우드]]로 교체된다. 다우드 칸은 [[소련]]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길 원하였고, [[파키스탄]]과의 관계는 더욱 멀어지게 하였다. 아프가니스탄은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하지 않고 [[냉전]] 시대에도 어떠한 세력과도 연맹을 맺지 않으며 중립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소련과 미국과의 경쟁 관계에서 그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영향력을 얻기 위해 앞다투어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고속도로, 공항, 기타 기반 시설을 지어줌으로써 중립 상태는 국가에게 이득이었다. 1인당 기준에서 아프가니스탄은 어떠한 국가보다 많은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 1973년, 국왕 자히르 샤가 해외 순방길에 있었던 동안 다우드 칸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첫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이 되었다. 한편, [[줄피카르 알리 부토]]는 파키스탄이 아프가니스탄에 개입하게 하였다. 어떠한 전문가들은 부토가 1978년 4월 샤우르 혁명의 기반을 다진 것으로도 해석한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WVAN9pjnRzMC|제목=The Gem Hunter: True Adventures of an American in Afghanistan|성=Bowersox|이름=Gary W.|날짜=2004-01-01|출판사=GeoVision, Inc.|언어=en영어|isbn=9780974732312}}</ref>
 
=== 공산 혁명과 소련의 침공 ===
{{본문|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파일:Day after Saur revolution in Kabul (773).jpg|섬네일|1978년 4월 샤우르 혁명 때 [[무함마드 다우드]] 대통령과 그의 일가 가족이 모두 살해되고 다음날 카불 아르그 대통령궁의 외경.]]
1978년 4월, 공산주의 정당인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PDPA)이 샤우르 혁명을 기점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권력을 잡게 된다. 공산 정부에 반대하던 세력은 몇개월 만에 아프가니스탄 동부 지역에서 봉기를 일으키는데, 이는 곧바로 전국적으로 퍼져나가 [[무자헤딘]]이 이끄는 게릴라군이 정부군에 대항하는 내전으로 발전한다. 소련이 인민당을 지원하기 위해 몇 천명의 군사 고문을 보내는 동안, 파키스탄 정부는 반란군들에게 비밀 훈련소를 제공하였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TRW_M_xybyYC|제목=Pakistan and the Emergence of Islamic Militancy in Afghanistan|성=Hussain|이름=Rizwan|날짜=2005-01-01|출판사=Ashgate|쪽=108–109|언어=en영어|isbn=9780754644347}}</ref> 그동안 인민당에서는 다수였던 칼크와 온건적인 파르참으로 계파가 나뉘어 마찰을 연이어 빚다, 파르참 계파가 쿠데타를 일으키려 했다는 구실로 관련된 정부 각료들을 해고하고 군 장교들을 체포한다. [[하피줄라 아민]]과 인민 민주당의 군부 인사들은 건재하여 반란을 도모하였다.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바브락 카르말]], [[하피줄라 아민]]이 이끄는 인민 민주당은 무함마드 다우드 정권을 전복하였으며, 다우드는 가족과 함께 살해되었다. 이 정변은 샤우르 혁명, 즉 위대한 4월 혁명으로 알려졌다. [[1978년]] [[5월 1일]], 타라키는 대통령, 총리, 인민 민주당 사무총장직을 겸임하였다. 그리하여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으로 개명하였으며, 인민 민주당 정권은 [[1991년]]까지 존속하였다.
80번째 줄:
카불 등 도시의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정책에 환영하기도 하고 양가적인 태도를 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세속적 성격 때문에 농촌 지역에 사는 종교적으로 보수적인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은 이에 반감을 가졌으며, 전통적인 이슬람 율법을 선호하였다.
 
[[미국]]은 1979년 중반부터 파키스탄의 [[파키스탄 정보부]] (ISI)를 통해 반소련 [[무자헤딘|''무자헤딘'']] 세력과 아프간계 아랍인 전투원들을 지원해왔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kr/books?id=-HCgAAAAMAAJ&q=isbn:9788178352626&dq=isbn:9788178352626&hl=ko&sa=X&ved=0ahUKEwiBnZOjudLNAhVCipQKHVyBBXgQ6AEIHDAA|제목=America's Afghanistan War: The Success that Failed|성=Meher|이름=Jagmohan|날짜=2004-01-01|출판사=Kalpaz|쪽=68-69, 94|언어=en영어|isbn=9788178352626}}</ref> 엄청난 양의 현금과 무기들, 2천 개 이상의 [[FIM-92 스팅어]] [[지대공유도탄]]이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파키스탄으로 전달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bt.com.bn/analysis/2008/12/17/story_of_us_cia_and_taliban|제목=Story of US, CIA and Taliban|확인날짜=2016-07-01}}</ref><ref>Soldiers of God: Cold War (Part 1/5)[https://www.youtube.com/watch?v=vYUzL1qhltA&feature=related]</ref>
 
[[1979년]] 3월, 하피줄라 아민이 총리가 되었으며, [[국가 원수|원수]]직을 보유하고 최고 국방 평의회의 부의장이 되었다. 1979년 9월,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가 인민당 내부에서 칼크 동료였던 [[하피줄라 아민]]이 일으킨 쿠데타에 의해 살해되고, 아민이 대통령직에 오른다. 소련은 아민을 불신하여, 1979년 12월 소련 특수 부대가 아민을 암살한다. 이후 [[바브락 카르말]]이 소련이 양당 인사를 모두 등용하여 구성한 정부를 이끈다. 소련은 카르말 정부의 아프가니스탄을 안정시키기 위해 소련군을 배치하나, 아프가니스탄 내 대부분의 전투에 관여하기를 바라지는 않았다. 그러나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 내전에 직접적으로 관여되었었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rf1Yg2SGLQgC|제목=A Long Goodbye: The Soviet Withdrawal from Afghanistan|성=Kalinovsky|이름=Artemy M.|날짜=2011-01-01|출판사=Harvard University Press|쪽=25-28|언어=en영어|isbn=9780674058668}}</ref>
 
아프가니스탄 인민 민주당의 파르참 파를 지원하기 위해 [[소비에트 연방]]은 1978년에 양국이 맺은 우호 협력 및 선린 조약을 명분으로 1979년 12월 24일에 아프가니스탄에 개입하였다. 10여 만 병력이 넘는 소비에트 군대가 침공에 동원되었으며, 만여 명의 병력과 파르참 파의 구성원들도 가세하였다. 아민은 살해당하고 바브라크 카르말이 뒤를 이었다.
102번째 줄:
1994년 말 탈레반의 초창기에 이룬 몇몇 승리들은 엄청난 손실로 끝난 패배들의 연속으로 이어졌다. 탈레반은 1995년 초 카불을 점령하려 하였으나 마수드에 의해 격퇴당하였다. 1996년 9월, 탈레반은 파키스탄의 군사적 지원<ref name=":2">{{웹 인용|url=http://nsarchive.gwu.edu/NSAEBB/NSAEBB227/index.htm#17|제목=Pakistan: "The Taliban's Godfather"?|웹사이트=nsarchive.gwu.edu|확인날짜=2016-07-02}}</ref>과 사우디 아라비아의 경제적 지원을 등에 업고 또다른 주요 공격을 준비하였고, 마수드는 카불에서 철수해야 했다. 탈레반은 같은 달에 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세웠다. 그들은 사우디 아라비아와 비슷한 형태의 엄격한 [[샤리아]]를 도입하였다. 인권을 위한 의사회(PHR)는 이와 같은 체제에 대하여 "그동안 세계의 어떠한 정권이나 체제가 인구의 절반에 이르는 사람들을 사실상 가택 연금을 조직적이고 폭력적으로 강제한 바가 없었으며, 자신의 얼굴을 드러내거나 남성과의 동행 없이 의료 진찰을 받거나 학교에 다니는 것을 신체적 처벌행위로 금지한 사례가 없었다"라고 표명하였다.<ref>{{웹 인용|url=http://physiciansforhumanrights.org/library/documents/reports/talibans-war-on-women.pdf|제목=Physicians for Human Rights - PHR Library|웹사이트=physiciansforhumanrights.org|확인날짜=2016-07-13}}</ref>
 
탈레반에게 카불을 빼앗긴 이후에 마수드와 도스툼은 [[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전선]] (북부 연맹)을 형성한다. 탈레반은 마자리샤리프 전투 (1997-98)에서 도스툼 세력을 패배시켰다. 당시 파키스탄의 군 참모장이였던 [[페르베즈 무샤라프]]는 탈레반이 북부 연맹을 물리치는 것을 돕기 위해 몇 천명의 파키스탄인들을 보내기 시작하였다.<ref name=":2" /><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40125130822/http://www.historycommons.org/entity.jsp?entity=ahmed_shah_massoud|제목=Ahmed Shah Massoud|날짜=2014-01-25|확인날짜=2016-07-13}}</ref><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DN8vAQAAIAAJ|제목=The Afghanistan wars|성=Maley|이름=William|날짜=2009-09-15|출판사=Palgrave Macmillan|쪽=288|언어=en영어|isbn=9780230213135}}</ref><ref>{{웹 인용|url=http://www.telegraph.co.uk/news/worldnews/asia/afghanistan/1340244/Afghanistan-resistance-leader-feared-dead-in-blast.html|제목=Afghanistan resistance leader feared dead in blast|성=Lahore|이름=By Ahmed Rashid in|확인날짜=2016-07-13}}</ref> 또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오사마 빈라덴]]과 [[아이만 알자와히리]]가 이끌던 [[알카에다]] 네트워크도 아프가니스탄에서 가동되었다. 미국은 이 사실과 함께 100만 명에 이르는 아프간인들이 내부적으로 축출되었다는 소식에 대해 우려하였다. 1990년부터 2001년 9월까지 40만명의 아프간인들이 내부적으로 이루어진 접전들에 의해 사망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csmonitor.com/2001/0920/p1s3-wosc.html/(page)/4|제목=Life under Taliban cuts two ways|성=Baldauf|이름=Scott|날짜=2001-09-20|뉴스=Christian Science Monitor|issn=0882-7729|확인날짜=2016-07-17}}</ref>
 
2001년 9월 9일, 마수드는 아프가니스탄 [[판지시르 주]]에서 두명의 아랍인들에 의해 [[자살 공격]]을 당해 암살되었다. 이틀 후, 미국에서 [[9·11 테러]]가 일어난다. 미 정부는 오사마 빈 라덴을 공격의 가해자로 지목하며, 탈레반에 그의 신병 인도를 요구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30628053351/http://www.guardian.co.uk/world/2001/oct/17/afghanistan.terrorism11|제목=New offer on Bin Laden {{!}} World news {{!}} The Guardian|날짜=2013-06-28|확인날짜=2016-07-17}}</ref> 탈레반이 협조를 거부하자 2001년 10월 작전명 [[항구적 자유 작전]]이 실행되었다. 최초의 침공 기간동안, 미군과 영국군은 알카에다 훈련 캠프를 폭격하였다. 미국은 탈레반을 권력에서 몰아내기 위해 북부 동맹과 협력한다.<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1134316/http://www.nytimes.com/2001/10/08/world/nation-challenged-attack-us-britain-strike-afghanistan-aiming-bases-terrorist.html?scp=2&sq=Afghanistan+&st=nyt|제목=A NATION CHALLENGED - THE ATTACK - U.S. AND BRITAIN STRIKE AFGHANISTAN, AIMING AT BASES AND TERRORIST CAMPS - BUSH WARNS 'TALIBAN WILL PAY A PRICE' - NYTimes.com|날짜=2014-04-11|확인날짜=2016-07-17}}</ref>
116번째 줄:
한편,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어느 정도의 민주주의 구조를 세울 수 있었고, 국가명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바꾼다. 여러 차례의 외국 원조와 함께 나라의 경제, 보건, 교육, 교통, 그리고 농업 분야들의 발전시키기 위한 시도도 많이 이루어졌다. ISAF 군대들도 아프가니스탄 국군을 훈련시키기 시작하였다. 2002년부터 10여년 동안 서방 국가들에서 강제 추방된 사람들을 포함한 500만 명의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본국으로 귀환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21002222758/http://www.wsws.org/articles/2005/jun2005/afgh-j25.shtml|제목=Germany begins deportations of Afghan refugees|날짜=2012-10-02|확인날짜=2016-08-05}}</ref>
 
2009년에 들어서는 탈레반이 이끄는 그림자 정부가 국가 곳곳에서 형성되기 시작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9/12/07/AR2009120704127.html|제목=Taliban establishes elaborate shadow government in Afghanistan|성=Witte|이름=Griff|날짜=2009-12-08|뉴스=The Washington Post|언어=en-US미국 영어|issn=0190-8286|확인날짜=2016-08-05}}</ref> 2010년에는 카르자이 대통령이 탈레반 지도자들과 평화 협상을 시도하였으나, 반란 단체들은 2015년 중반에 탈레반 최고 지도자가 협상을 결정하기 전까지 협상 참석을 거부하였다.<ref>{{웹 인용|url=http://cnsnews.com/news/article/afghan-taliban-leader-backs-peace-talks-kabul-officials|제목=Afghan Taliban leader backs peace talks with Kabul officials|날짜=2015-07-15|확인날짜=2016-08-05}}</ref>
 
2011년 5월 파키스탄에서 오사마 빈 라덴이 사망하면서 많은 수의 아프간 주요 인사들이 암살되었다.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 간 접전이 늘어났고 [[하카니 네트워크]] 주도 아래 많은 대규모 공격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이루어졌다. 미 정부는 증가한 공격 횟수를 두고 파키스탄 정부를 비난했다.<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10925075845/http://news.yahoo.com/pakistan-isi-urged-attacks-u-targets-officials-002201562.html|제목=U.S. blames Pakistan agency in Kabul attack - Yahoo! News|날짜=2011-09-25|확인날짜=2016-08-08}}</ref><ref>{{웹 인용|url=http://usatoday30.usatoday.com/news/washington/story/2011-09-15/panetta-pakistan/50410770/1?csp=34news|제목=Panetta: U.S. will pursue Pakistan-based militants|확인날짜=2016-08-08}}</ref> 미 정부는 15년 넘게 수십억 달러를 개발 원조 지원금으로 지출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1조가 넘는 달러를 군사 지원에 지출하였다.
 
2014년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카르자이 대통령은 권력에서 물러났고 2014년 9월 [[아슈라프 가니]]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4/sep/29/afghan-president-ashraf-ghani-inaugurated|제목=Afghan president Ashraf Ghani inaugurated after bitter campaign|성=Rasmussen|이름=Sune Engel|날짜=2014-09-29|뉴스=The Guardian|언어=en-GB영국 영어|issn=0261-3077|확인날짜=2016-08-08}}</ref>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미국의 전쟁 (미 역사상 가장 길었던 전쟁)이 2014년 12월 28일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그러나, 수천명이 넘는 미국 주도의 나토 군대가 아프가니스탄 정부 군대를 훈련시키고 자문하기 위해 나라에 남았다.<ref>{{웹 인용|url=http://www.cbsnews.com/news/america-formally-ends-the-war-in-afghanistan/|제목=U.S. formally ends the war in Afghanistan|확인날짜=2016-08-08}}</ref> 전쟁은 반란 주동자, 아프가니스탄 시민들과 정부 군대를 포함하여 직접적으로 9만여명의 사망자를 남겼다. 10만여명이 넘는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다.
 
== 지리 ==
217번째 줄: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사는 권력 투쟁, 유혈 [[쿠데타|정변]], 불안정한 권력 이동으로 점철되었다. 지난 20세기 동안 이 나라는 [[군사 독재]]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 정치 형태 - [[왕정]], [[공화정]], [[신정 정치|신정]], [[공산주의 국가|공산 통치]] - 를 겪었다. 2003년 로야 지르가에서 비준된 헌법으로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삼부로 이루어진 [[이슬람 공화국]]이 되었다.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의 2010년 1월 보고서에 따르면 뇌물 수수가 아프가니스탄 국가 전체 GDP의 23%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6023007/http://www.unodc.org/unodc/en/frontpage/2010/January/corruption-widespread-in-afghanistan-unodc-survey-says.html|제목=Corruption widespread in Afghanistan, UNODC survey says|날짜=2014-04-16|확인날짜=2016-08-27}}</ref> 다수의 정부 기관에서 부정부패가 만연한 가운데, 카르자이 대통령은 2009년 말 이에 관련하여 "비리에 관련된 사람은 정부에서 발붙일 곳이 없을 것이다"라고 발언하기도 하였으나,<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30233852/http://www.cbc.ca/news/world/karzai-vows-to-tackle-corruption-1.827422|제목=Karzai vows to tackle corruption - World - CBC News|날짜=2013-12-30|확인날짜=2016-08-27}}</ref> 당시 많은 고위급 정부 관리들이 [[카불 은행]]을 통해 엄청난 양의 현금을 횡령하고 남용하고 있었다. [[국제 투명성 기구]]의 2014년 부정부패 인식 지수 자료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은 세계에서 4번째로 가장 부패한 국가라고 한다.<ref>{{웹 인용|url=http://www.transparency.org/cpi2014/results|제목=How corrupt is your country?|성=e.V.|이름=Transparency International|웹사이트=www.transparency.org|언어=en-GB영국 영어|확인날짜=2016-08-27}}</ref>
 
=== 선거와 정당 ===
318번째 줄:
 
=== 도로 ===
아프가니스탄은 계속되는 전투 활동으로 버스로 이동하는 것이 극히 위험하다. 버스는 주로 오래된 [[메르세데스-벤츠 버스]] 모델들로 유한 회사들이 운영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도로에서는 교통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데, 특히 카불-칸다하르와 카불-잘랄라바드 간선 도로에서 두드러지게 일어난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3/apr/26/afghan-bus-crash|제목=Afghan bus crash kills 45|성=Press|이름=Associated|날짜=2013-04-26|뉴스=The Guardian|언어=en-GB영국 영어|issn=0261-3077|확인날짜=2016-10-08}}</ref>
 
고속도로의 재건 이후 새로운 차량들이 더 넓게 유입되고 있다. 대부분 파키스탄과 이란을 통해 [[아랍에미리트]]에서 수입되어 온 것이다. 2012년 이후에는 10년 이상 된 자동차의 반입이 금지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도로 네트워크의 건설은 이웃국가 간의 무역을 촉진시키며 나라 경제의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내의 우편 서비스는 아프가니스탄 우편국과 [[페덱스]], [[DHL]]과 같은 기업이 제공하고 있다.
344번째 줄:
 
== 문화 ==
아프가니스탄 문화는 2,000년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그 기원은 최소 기원전 500년 즈음 아케메네스 제국 시절부터 거슬러 올라간다.<ref>{{저널 인용|제목=COUNTRY PROFILE: AFGHANISTAN|저널=|성=Library of Congress – Federal Research Division|이름=|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08085103/http://lcweb2.loc.gov/frd/cs/profiles/Afghanistan.pdf|날짜=|출판사=}}</ref> 아프가니스탄은 유목민과 부족민이 주를 구성하는 사회를 지님으로써, 각 지역마다 다양한 전통을 가져, 이는 아프가니스탄의 다문화 및 다언어적 성격을 여실없이 보여준다. 아직도 아프가니스탄 남부와 동부 일부 지역에는 고대에서부터 내려져 오는 생활방식인 [[파슈툰왈리]]를 보전해오고 있어, [[파슈툰인의 문화]]를 지속하여 계승해오고 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로는 [[페르시아인]]과 [[터키인]]들이 아프가니스탄의 문화를 구성하고 있다. 파슈툰인들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비-파슈툰인들 중에는 파슈툰왈리를 받아들여<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KRt0HfYFZGsC&lpg=PP1&vq=place%20of%20Afghans&pg=PA4#v=onepage&q=place%20of%20Afghans&f=false|제목=Afghanistan: The land|성=Banting|이름=Erinn|날짜=2003-01-01|출판사=Crabtree Publishing Company|언어=en영어|isbn=9780778793359}}</ref> 파슈툰화 (혹은 아프간화)의 과정을 겪은 부류도 있다. 한편 페르시아화된 파슈툰인들도 존재한다. 지난 30년간 파키스탄과 이란 등지에서 거주해온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은 이웃국가의 문화에 영향을 받았다.
[[파일:Tribal and religious leaders in southern Afghanistan.jpg|왼쪽|섬네일|파슈툰인 전통 복장을 한 [[칸다하르]] 사람들 ]]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은 자신들의 문화, 국가, 조상, 특히 종교와 독립에 대한 큰 자부심을 느낀다. 다른 산악 지방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들은 명예, 부족에 대한 충성, 그리고 분쟁을 잠재우기 위해 기꺼이 자신의 힘을 보태려고 여겨진다. 이는 외부인에 대한 우려와 겸양으로도 이어진다.<ref name=":13">Heathcote, Tony (1980, 2003) "The Afghan Wars 1839–1919", Sellmount Staplehurst.</ref> 아득한 옛날부터 부족간의 전투와 내전이 주된 탓에, 이렇게 쌓여진 독립적인 성향은 외부 세력의 침략을 어렵게 하였다. 토니 히스코트는 부족사회를 지리적으로 험준한 국가에 많은 사람들을 구성케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하였다.<ref name=":13" /> 아프가니스탄에는 60여 족의 주요 [[파슈툰인]]들이 살고 있으며,<ref>{{웹 인용|url=https://global.britannica.com/topic/Pashtun|제목=Pashtun|성=The Editors of Encyclopædia Britannica|이름=|날짜=|웹사이트=Encyclopædia Britannica|출판사=|확인날짜=}}</ref> 아프간 부족민의 수는 200~300만여 명으로 추정된다.<ref>{{뉴스 인용|url=http://www.irinnews.org/report/76794/afghanistan-kuchi-nomads-seek-better-deal|제목=Kuchi nomads seek a better deal|날짜=2008-02-18|뉴스=IRIN|확인날짜=2016-12-11}}</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