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 종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4번째 줄:
== 이집트 종교의 철학과 신학 ==
=== 다신교 ===
[[파일:GD-EG-KomOmbo016.JPG|thumb|220px|암사자의 머리를 한 파괴의 여신 [[세크메트]]]]
[[파일:Tutankhamun jackal.jpg|thumb|220px|[[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굴된 [[아누비스]]의 상징, [[자칼]]]]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모든 자연의 움직임과 원리에 신들의 힘이 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들은 단지 신들이 자연의 현상만 조종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자연의 요소 속에 신성이 있다고 믿었다<ref>Assmann, Jan (2001). The Search for God in Ancient Egypt.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8729-3. pp. 63–64, 82</ref>. 이 원리는 동물들도 포함되어, 가령 파괴의 여신 [[세크메트]] 같은 경우에는 사나운 동물로 여겨진 암[[사자]]의 얼굴을 하고 있으며, 공기나 습기, 땅과 같은 요소도 신으로 섬기어, 공기와 공간의 신 [[슈 (신화)|슈]]나 습기의 여신 [[테프네트]]와 같은 신들도 숭배대상이 되었다. 또한, 이집트의 신들은 추상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호루스]]는 파라오의 왕권을 상징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3>Allen, Middle Egyptian, pp. 43–44</ref>. 그래서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자연과 사회의 모든 관점에서 수반된 신 다수를 믿었다<ref>Wilkinson, Richard H. (2003).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ISBN 0-500-05120-8. p. 60</ref><ref name=autogenerated3 />. 이집트 종교는 자연법칙의 기원과 원리를 설명하고 신자와 사제들이 기도와 제물 헌납을 통해 신들을 달래고 인간들에게 피해가 오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ref name=autogenerated2>Allen, Middle Egyptian, pp. 43–44 </ref>. 이 다신교 형태는 매우 복잡해서 어떤 신들은 수많은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며, 역할도 다양하였다. 그러다 보니 고대 이집트의 후기로 가면 태양과 같은 자연의 힘을 가진 여러 비슷한 신을 하나로 연합시키는 일도 있었다<ref>Wilkinson (2003), pp. 30, 32 </ref>.
 
35번째 줄:
 
=== 신들 간의 조합 ===
[[파일:Amun-Ra.jpg|thumb|left|130px220px|[[아문|아문-라]]의 조각]]
이집트 인들은 각기 다른 자연현상들이 서로 연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ref name=autogenerated2 /> 몇몇 신들을 연계하기도 하였다. 때때로 신들은 한 쌍으로 묶였는데, 이는 [[남성]], [[여성]]과 같이 두 가지의 요소가 자연현상에 개입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는 [[동양 철학]]의 태극사상과 유사하다. 부부 신들의 성향 역시 극과 극의 성향이 있는 신들로 묶는 경향이 있었다. 가령 창조의 신 [[프타]]는 파괴의 여신 세크메트의 남편이며, 하늘의 여신 [[누트 (신화)|누트]]는 땅의 신 [[게브]]의 아내이다. 그들은 3명이 하나로 묶이기도 하였는데, 이는 아버지와 어머니, 아이로 이루어진 3인 가족 형태를 신화에 따온 것으로 보인다. 신들이 더 큰 무리를 이루는 때도 있었으며, 8명의 창조신이 무리를 이룬 [[오그도아드]]나 9명의 신으로 이루어진 [[엔네아드]]등이 그 경우다. 다수의 비주류 신들이 낮과 밤의 기준에 따라 연대 되는 경우도 있었다<ref>Wilkinson (2003), pp. 74–79</ref>.
 
48번째 줄:
 
=== [[아톤주의]] ===
[[파일:Nofretete Neues Museum.jpg|thumb|220px|[[아크나톤]]의 부인 [[네페르티티]]]]
[[신왕국]](기원전 1570~1070년)시대의 파라오 [[아크나톤]]은 왕권까지 위협하는 아문 사제들의 권력을 경계하기 위하여 기존 다신교를 폐지하고 정확한 의미의 일신교를 국교로 삼았다. [[아톤]]([[아톤|아텐]])은 그 일신교의 유일신으로서, 태양의 원판, 광선으로 묘사된다<ref>David (2002), pp. 215–216</ref>. 하지만, 이 조치는 이집트 전통과 반대되었고<ref>Wilkinson (2003), pp. 38–39</ref>, 아텐의 비인격적인 본성은 하나의 신과 다른 신들과 연결을 주지못하기 때문에 이집트인들에게 매력이 없었다. 그래서 이 신앙은 아크나톤의 사후, 다시 다신교로 돌아가게 되었으며 아크나톤은 후대 이집트 후손들에게 이교도로 비난받게 되었다<ref>Allen (2000), p. 198, "the impersonal nature of Akhenaten's deity left the Egyptians without a god to whom they could relate as they had to Amun and the other gods"</ref>. [[아톤]] 신앙은 유대교계 종교를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타 신의 존재를 부정하며 신을 공간, 영역에 구속하지 않는 유일신 신앙으로서 학계로부터 주목받았으나, 유대교계 종교와의 연관성은 고고학적으로 전혀 입증되지 않았다.
 
60번째 줄:
 
=== 신성한 파라오 ===
[[파일:RamsesIIEgypt.jpg|thumb|150px|left|220px|[[람세스 2세]]의 거상]]
고대 이집트 인들은 왕권도 자연의 힘이라 보았다<ref>Allen (2000), pp. 31, 44</ref>. [[파라오]]는 인간이자 신이 인간의 육체로 인간 세상에 내려온 신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결과 파라오는 이집트에서 사람과 신 사이의 매개자 역할을 하였다<ref>Wilkinson (2003), pp. 56</ref>. 그는 마트의 법칙을 받들어야 했으며, 적으로부터 국가를 지키고, 공정해야 하고, 백성 간 갈등을 해결해야 하며, 식량의 공급을 보장해야 하고, 신전 건축과 봉헌을 통하여 신을 달래는 임무를 하여야 했다<ref name="Allen 215">Allen (2000), p. 215</ref>. 그 이유에서 신전 벽화에서는 종종 마트의 상징을 받드는 파라오들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ref>Wilkinson (2000), pp. 88–89</ref>. 그래서 이집트 신학적으로 그는 전 세계의 통치권을 가졌으며, 이집트뿐만 아니라 타국에서도 "왕"이라는 단어는 파라오만이 쓸 수 있었다<ref>Allen (2000), pp. 65–66</ref><ref>Shaw (2000), p. 272</ref>.
 
68번째 줄:
 
=== 사후세계 ===
[[파일:Egyptian Ka.jpg|thumb|220px|[[사자의 서]]에 나온 카]]
[[파일:Tuthankhamun Egyptian Museum.jpg|thumb|이집트 국립 박물관에 소장된 [[투탕카멘]]의 관속 가면]]
이집트 인들은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한 정교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종종 사람의 머리를 가진 '새'로 표현되는 '[[카 (이집트 종교)|카]]'(Ka)라 불리는 인간의 영혼이나 생명의 힘이 몸에서 떠나면 죽는다고 믿었다. 살아 있을 때, 카는 생활 속에서 음식과 음료를 섭취하기 때문에, 죽은 뒤에도 영적인 본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봉헌물등을 섭취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각각의 사람들은 카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자신을 구별해주는 '인격'과 유사한 개념의 '[[바 (이집트 종교)|바]]'(Ba)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는데<ref>Allen (2000), pp. 79–80</ref>. 카와 달리, 바는 사람이 죽은 뒤에도 육체에 남는다고 여겨졌다. 그래서 이집트 장례식의 종교적 의식에서는 바를 육체에 남기게 되어 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됨을 보였다. 그리고 바가 다시 카와 합쳐지면, '[[아크 (이집트 종교)|아크]]'(Akh)로서 부활한다고 믿었다. 그런 까닭에 육체가 죽은 뒤 그대로 보존되는 것은 매우 중요했으며, 이집트 사람들은 매일 밤마다 바가 새로운 생명을 찾아 떠나, 아침이 되기 전에 아크로서 나타난다고 믿었다<ref>Allen (2000), pp. 94–95</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