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막: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내가 바꿨당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2-12-20}}
.
[[파일:Cell membrane drawing-en.svg|thumb|upright=1.2|세포막 구조]]
(細胞膜, {{llang|en|cell membrane}})은 모든 [[세포]]가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이며, 세포 내부와 외부를 서로 구분해준다. 세포막은 [[인지질]] 및 [[단백질]] [[분자]]로 구성된 얇고 구조적인 [[인지질 이중층]]으로 되어 있으며, 선택적인 투과성을 지닌다. 세포 표면막은 [[막횡단 수용체|수용체 단백질]]과 [[세포부착|세포부착 단백질]]([[막단백질]])을 지니고 있기도 한다. 이외에도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들도 존재하며, 이러한 단백질은 세포 기능 및 조직 구성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동물]] 세포에서, 세포막은 이러한 역할을 홀로 수행하는 반면, [[효모]], [[세균]], [[식물]]에서는 [[세포벽]]이 최외곽 경계를 형성하며, 물리적인 방호력을 제공한다. 세포막은 대략 10 [[나노미터]] 두께이며,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희미하게 구분할 수 있다. 세포막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은 [[세포전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 유동 모자이크 ==
ㄴ)는 유동성을 유지시켜주는 데 도움을 준다구[[카베올라]]등[[단백질]][[세포골격]][[시냅스]]는 보다 예이다.
세포막의 기본 구성 및 구조는 다른 [[세포소기관]]을 감싸는 막과 동일하다.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이라는 두 겹의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막은 ''유동 모자이크'' 구조로 설명된다. 유동 모자이크란 지질이 자유롭게 떠다니는 2차원적인 흐름을 의미하며, 내부에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통로 혹은 [[수용체]]로 작용하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세포막 모형은 [[1971년]] S.J. Singer가 지질 단백질 모형을 제안하고, [[1972년]] G.L. Nicolson과 함께 유동 특성을 제시에 [[탄수화물]]이 붙어있다. 세포는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질의 종류 및 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이중층 내부에 있는 [[콜레스테롤]] 분자([[진핵세포]]의 경우)나 [[호파노이드]]([[원핵세포]]의 경우)는 유동성을 유지시켜주는 데 도움을 준다.
 
== 자세한 구조 ==
사실 세포막 내부의 모든 지방 분자는 자유롭게 확산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의 유체가 아니다. 즉 [[카베올라]]등은 세포막 영역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많은 [[단백질]]의 경우는 확산하지 않는다. [[세포골격]]은 세포막을 지지하면서 세포막 내부 단백질을 고정시키고, 특정한 면으로 향하게 해주며, 또한 단백질이 세포막 내부에서 움직일수 있는 범위를 제한해준다. 세포막 표면은 항상 형태 없이 움직이는 유체가 아니라, 어느 정도의 구조를 보여준다. [[시냅스]]는 보다 구조적인 세포막의 예이다.
 
새로운 물질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방식에 의해 세포막에 포함되거나 혹은 제거된다. 첫째, 세포간의 [[소포 (세포)|소포]]의 융합은 소포 내부 물질을 분비할 뿐만 아니라 소포막의 물질을 세포막에 포함시킨다. 세포막은 훗날 소포가 되는 수포를 형성하기도 한다. 둘째, 세포막이 관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관으로부터의 물질은 세포막속으로 흡수될 수 있다. 셋째, 비록 세포막 내부에 수성물질의 농도가 낮다고 하더라도(안정된 세포막 구성물은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이러한 수성물질에서 분자 교환이 가능하다. 위 모든 경우에서, 세포막의 장력은 물질의 교환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세포에서, 특히 매끈한 형태를 가지는 세포에서, 세포막의 장력 및 면적은 각각 탄력성 및 유동성과 관련이 있다. 시간에 대한 연관성은 "항상성"이라고 하며, 즉 시간에 대해 면적이나 장력이 얼마나 일정한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 세포막 투과 수송 ==
줄 21 ⟶ 13:
{{본문|수동수송}}
 
[[수동수송]]은 물질이 세포막을 통과할때 [[아데노신 삼인산]]등의 화학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 수송이다. [[소수성]](疏水性)(비극성) 혹은 작은 [[극성 (화학)|극성]] 분자, 그리고 [[가스]]는 [[막단백질]]의 매개가 필요없는 [[확산]]을 통해 운반되며, [[극성 (화학)|극성]]을 띠거나 [[전하]]를 띤 작은 [[분자]]들 그리고 [[이온]]들은 각각에 대한 [[막단백질]]이 매개하는 [[촉진확산]]의 방식으로 운반된다. [[물]]분자는 [[확산]]의 형태로도 세포막을 통과하지만 (그러나 [[물]]분자는 [[세포]]내에서 주로 [[용매]]로 사용되기 때문에 [[삼투]]형태로 수송 된다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 [[아쿠아포린]]이라는 [[막단백질]]을 통해 [[삼투]]의 형태로 운반된다. [[농도]] 기울기를 따라서 이동의 방향이 결정된다 (엄밀하게 말하면 양쪽 방향으로 이동이 일어나지만일어지만 총체적으로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이 일어난다). [[이온]]이나 [[전하]]를 띤 [[분자]]의 이동의이동 방향은 단순한 [[농도]] 기울기뿐만 아니라 세포막을 중심으로 형성된 [[세포]]안과 밖의 [[전위차]]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 능동수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