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8번째 줄:
[[676년]] [[인도]] 승려 지바하라([[:zh:地婆诃罗|地婆訶羅]] : 일조(日照))가 인도에서 《[[대승밀엄경]](大乘密嚴經)》과 《[[대승현식경]](大乘顯識經)》 등의 [[불경]]을 가지고 와 중국어로 번역할 때, 번역을 도울 대덕 5명 중 한 사람으로 뽑혀 증의(證義)로서 참여했다. [[693년]]에는 인도 승려 보리유지(菩提流志)가 가져온 《[[보우경]](寶雨經)》을 번역했다.
 
[[695년]]에는 [[실차난타]](實叉難陀)가 [[:ja:ホータン王国|우전국]](于)에서 가져온 《[[화엄경]]》을 새로 번역할 때 참여했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입적했다. 제자들이 사리를 [[룽먼 산 (허난 성)|룽먼 산]] 향산사(香山寺)에 안치했고, 그 뒤 제자인 자선(慈善)과 승장(勝莊) 등이 사리를 나누어 [[종남산]] 풍덕사(豊德寺)에 사리탑을 세웠다.
 
원측의 후계자 담광(曇曠)이 원측의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를 [[둔황 시|둔황[敦煌] 지방으로지방]]으로 가지고 가자, [[:zh:管·法成|법성]](法成)이 이를 [[티베트어]]로 번역하였다. 이 책은 [[티베트]]의 사상계와 종교문화 개혁에 크게 공헌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중국어로 된 책의 일부가 없어졌는데, 다행히도 [[1992년]]에 [[중국]] [[간쑤 성]] [[둔황]](焞惶) 유적지에서 티베트어로 쓰여진 책 전문이 발견되어 그것이 다시 [[중국어]]와 [[한국어]]로도 번역되었다.
 
현재 중국 [[시안 시]](西安)의 [[:ja:興教寺 (西安市)|흥교사]](興敎寺)에 그의 탑묘가 남아 있으며 탑묘 안에 초상이 새겨져 있다. 후대에 송복(宋復)이 지은 대주서명사고대덕원측법사불사리탑명(大周西明寺故大德圓測法師佛舍利塔銘)이 있다.
 
== 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