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4번째 줄:
당시 신라 왕손이 불가에 출가하는 것은 흔한 경우였으며, 이 전통은 [[고려]]에까지 이어졌다. 3세에 출가하여, 많은 신라 승려들이 그랬듯이 원측도 [[신라 진평왕|진평왕]] 49년([[627년]]), 15세에 [[당나라]]로 유학을 갔고 법상(法常)과 승변(僧辨)에게서 [[유식학]](唯識學)을 배웠으며, [[645년]]에 [[현장]]이 [[인도]] 구법 여행에서 돌아오자 새로운 유식학을 배웠다. 중국어와 범어에 능했다.
 
유학 도중 [[당 태종]]이 도첩(度牒)을 하사하고 [[원법사]](元法寺)에 있게 하였다. 당나라에 머무르는 동안 《비담론(毘曇論)》, 《성실론(成實論)》, 《구사론(俱舍論)》 등을 읽었고, 역경(譯經, 경전을 번역하는 일)과 저술 등에 종사하여 중국의 [[불교]] 발전에 공헌하였다. 원측은 유식(唯識)학자였으며 후에 [[서명사]]에서 대덕(大德)이 되었다. 당시 당나라 고종의 황후인 [[측천무후]](則天武后)는 원측을 살아 있는 부처처럼 존경하여, [[신라 신문왕]]이 여러 번 원측의 귀국을 요청했으나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676년]] [[인도]] 승려 지바하라([[:zh:地婆诃罗|地婆訶羅]] : 일조(日照))가 인도에서 《[[대승밀엄경]](大乘密嚴經)》과 《[[대승현식경]](大乘顯識經)》 등의 [[불경]]을 가지고 와 중국어로 번역할 때, 번역을 도울 대덕 5명 중 한 사람으로 뽑혀 증의(證義)로서 참여했다. [[693년]]에는 인도 승려 보리유지(菩提流志)가 가져온 《[[보우경]](寶雨經)》을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