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5번째 줄:
 
-->
* [[상좌부]]와 [[대승불교]]의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의 체계에서 13번째 [[천 (불교)|하늘]][天]로, 12번째 [[천 (불교)|하늘]]인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0922&categoryId=1885 색계십칠천(色界十七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색계십칠천(色界十七天): 색계의 열일곱 경지.
* [[상좌부]]와 [[대승불교]]의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의 체계에서 13번째 [[천 (불교)|하늘]][天]로, 12번째 [[천 (불교)|하늘]]인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0922&categoryId=1885 색계십칠천(色界十七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無想天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1312 十八天(십팔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十八天(십팔천): 색계의 열여덟 하늘. 범중천(梵衆天)ㆍ범보천(梵輔天)ㆍ대범천(大梵天)(이상 초선천)ㆍ소광천(少光天)ㆍ무량광천(無量光天)ㆍ광음천(光音天)(이상 2선천)ㆍ소정천(少淨天)ㆍ무량정천(無量淨天)ㆍ변정천(遍淨天)(이상 3선천)ㆍ무운천(無雲天)ㆍ복생천(福生天)ㆍ광과천(廣果天)ㆍ무상천(無想天)ㆍ무번천(無煩天)ㆍ무열천(無熱天)ㆍ선견천(善見天)ㆍ선현천 (善現天)ㆍ색구경천(色究竟天)(이상 4선천). ⇒색계십팔천(色界十八天)"}}{{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716&DTITLE=色界十八天 色界十八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色界十八天: 據大毘婆沙論卷一三六載,色界之初禪、二禪、三禪、四禪共十八天。初禪三天,梵輔天、梵眾天、大梵天;二禪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三禪三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四禪九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無想天、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吒天。然亦有經論主張色界有二十二天、二十一天、十七天、十六天者。〔立世阿毘曇論卷六、雜阿毘曇心論卷二、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參閱「色界」)"}}<br style="margin-bottom: 5px"><!--
(1) 범중천(梵衆天).<br>
(2) 범보천(梵輔天).<br>
(3) 대범천(大梵天).<br>
(4) 소광천(少光天).<br>
(5) 무량광천(無量光天).<br>
(6) 극광정천(極光淨天).<br>
(7) 소정천(少淨天).<br>
(8) 무량정천(無量淨天).<br>
(9) 변정천(遍淨天).<br>
(10) 무운천(無雲天).<br>
(11) 복생천(福生天).<br>
(12) 광과천(廣果天).<br>
(13) 무번천(無煩天).<br>
(14) 무열천(無熱天).<br>
(15) 선현천(善現天).<br>
(16) 선견천(善見天).<br>
(17) 색구경천(色究竟天).<br>
*이상의 [[상좌부]]와17천에서 [[대승불교]]의대범천을 [[색계범보천에 18천]](色界十八天)의포함시켜 체계에서 13번째 [[천 (불교)|하늘]][天]로16천, 12번째 [[천 (불교)|하늘]]인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0922&categoryId=1885 색계십칠천무상천(色界十七無想天)]". 2013년상정하여 1월18천이라 9일에 확인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無想天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無想天: 無想,梵名 Asajjñisattvāh。又作無想有情天、無想眾生天、少廣天、福德天。色界天之一。即修無想定所感之異熟果報。生此天者,念想滅盡,僅存色身及不相應行蘊,故稱無想天。此天為外道婆羅門之最高涅槃處,亦為異生凡夫以「出離想」作意,修無想定,所感得的異熟之果報,稱為無想果,或無想異熟、無想事、無想報。此天之位置,有部與經部攝之於第四禪天之廣果天,不另立別處;上座部則於廣果天之上,別立無想天一處。此外,此天眾生之身長有五百由旬,壽命為五百大劫(立世阿毘曇論卷七謂一千大劫),壽終之時,再生念想,而墮欲界。〔起世經卷八、俱舍論卷五、瑜伽師地論卷四〕"}}{{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1312 十八天(십팔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十八天(십팔천): 색계의 열여덟 하늘. 범중천(梵衆天)ㆍ범보천(梵輔天)ㆍ대범천(大梵天)(이상 초선천)ㆍ소광천(少光天)ㆍ무량광천(無量光天)ㆍ광음천(光音天)(이상 2선천)ㆍ소정천(少淨天)ㆍ무량정천(無量淨天)ㆍ변정천(遍淨天)(이상 3선천)ㆍ무운천(無雲天)ㆍ복생천(福生天)ㆍ광과천(廣果天)ㆍ무상천(無想天)ㆍ무번천(無煩天)ㆍ무열천(無熱天)ㆍ선견천(善見天)ㆍ선현천 (善現天)ㆍ색구경천(色究竟天)(이상 4선천). ⇒색계십팔천(色界十八天)"}}{{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716&DTITLE=色界十八天 色界十八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色界十八天: 據大毘婆沙論卷一三六載,色界之初禪、二禪、三禪、四禪共十八天。初禪三天,梵輔天、梵眾天、大梵天;二禪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三禪三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四禪九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無想天、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吒天。然亦有經論主張色界有二十二天、二十一天、十七天、十六天者。〔立世阿毘曇論卷六、雜阿毘曇心論卷二、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參閱「色界」)"}}<br style="margin-bottom: 5px"><!--
 
-->이 경우 [[초선천]](初禪天: 3천){{.cw}}[[제2선천]](第二禪天: 3천){{.cw}}[[제3선천]](第三禪: 3천){{.cw}}[[제4선천]](第四禪天: 9천)의 [[색계]] [[4선천]](四禪天) 중 [[제4선천]]의 4번째 [[천 (불교)|하늘]]이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1589467&categoryId=2886 무상천(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무상천(無想天): 모든 마음 작용을 소멸시킨 경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경량부(經量部)에서는 색계 제4선천(第四禪天)의 광과천(廣果天)에 포함시키지만, 상좌부(上座部)에서는 광과천 위에 있다고 함.
<br>약어: 무상(無想)
<br>동의어: 무상계(無想界), 무상처(無想處),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B%AD%ED%8C%94&rowno=14 色界十八天(색계십팔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色界十八天(색계십팔천): 색계에 있는 모든 하늘. 초선천(初禪天)의 3천(天), 2선천의 3천, 3선천의 3천, 4선천의 9천. ⇒십팔천(十八天)"}}<br style="margin-bottom: 10px"><!--
 
-->
줄 97 ⟶ 117:
<br><sup style="color: blue">237)</sup> 인과불화합(因果不和合)의 상태를 말한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5b28 T31n1605_p0665b28 - T31n1605_p0665c02].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ps=<br>"何等名為心不相應行。謂得無想定滅盡定無想異熟命根眾同分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異生性流轉定異相應勢速次第時方數和合等。"}}{{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17 17 / 159].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ps=<br>"어떠한 것을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이라 이름합니까? 득(得)ㆍ무상정(無想定)ㆍ멸진정(滅盡定)ㆍ무상이숙(無想異熟)ㆍ명근(命根)ㆍ중동분(衆同分)ㆍ생(生)ㆍ노(老)ㆍ주(住)ㆍ무상(無常)ㆍ명신(名身) ㆍ구신(句身)ㆍ문신(文身)ㆍ이생성(異生性)ㆍ유전(流轉)ㆍ정이(定異)ㆍ상응(相應)ㆍ세속(勢速)ㆍ차제(次第)ㆍ시(時)ㆍ방(方)ㆍ수 (數)ㆍ화합(和合) 등을 가리킨다."}}{{.cw}}'''무상보'''(無想報){{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4|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4_p0855c10 T31n1614_p0855c10 - T31n1614_p0855c16].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ps=<br>"第四心不相應行法。略有二十四種。一得二命根。三眾同分。四異生性。五無想定。六滅盡定。七無想報。八名身九句身十文身。十一生十二老。十三住十四無常。十五流轉。十六定異。十七相應。十八勢速。十九次第。二十方。二十一時。二十二數。二十三和合性。二十四不和合性。"}}{{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644, T.1614|loc=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3&startNum=2 2-3 / 3].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ps=<br>"넷째의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법이 대략 스물네 가지가 있다. 얻음이 그 하나이고, 생명의 뿌리[命根]가 그 둘이고, 중동분(衆同分)이 그 셋이고, 범부의 성품[異生性]이 그 넷이고, 생각 없는 선정[無想定]이 그 다섯이고, 아무것도 없는 선정[滅盡定]이 그 여섯이고, 생각 없는 과보[無想報]가 그 일곱이고, 명신(名身)이 그 여덟이고, 구신(句身)이 그 아홉이고, 문신(文身)이 그 열이고, 나는 것이 그 열하나이고, 늙는 것이 그 열둘이고, 머무는 것이 그 열셋이고, 무상(無常)한 것이 그 열넷이고, 유전하는 것이 그 열다섯이고, 결정코 다른 것이 그 열여섯이고, 상응하는 것이 그 열일곱이고, 형세의 빠른 것이 그 열여덟이고, 차례가 그 열아홉이고, 방위가 그 스물이고, 때[時]가 그 스물 하나이고, 수(數)가 그 스물 둘이고, 화합하는 성품이 그 스물 셋이고, 화합하지 않는 성품이 그 스물 넷이다."}} 또는 '''무상소유'''(無想所有){{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2|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2_p0849b29 T31n1612_p0849b29 - T31n1612_p0849c05].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ps=<br>"云何心不相應行。謂依色心心法分位。但假建立不可施設。決定異性及不異性。彼復云何。謂得無想等至滅盡等至無想所有。命根眾同分。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異生性如是等類。"}}{{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618, T.1612|loc=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1&startNum=8 8 / 12].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ps=<br>"이른바 마음이 상응하지 않는 지어감이란 어떤 것인가. 이를테면 물질과 마음과 마음 법의 한계와 위치에 의하여 다만 시설할 수 없는 결정적인 다른 성질과 다르지 않는 성질을 가정으로 세움이다. 저것이 또 어떠한 것인가. 이를테면 얻음[得]과 생각 없는 선정[無想等至]과 아무것도 없는 선정[滅盡等至]과 생각 없는 하늘[無想所有]과 또는 생명의 뿌리[命根]와 중동분(衆同分)과 나기와 늙음과 머뭄과 그 덧없음과 명신(名身)과 구신(句身)과 문신(文身)과 범부의 성품[異生性] 이러한 등류들이다."}}라고도 한다.
 
무상천(無想天, {{llang|sa|[[:en:asaṃjñi-devānām|<span style="color: black">asaṃjñi-devānām</span>]]}})은 '''무상'''(無想){{.cw}}'''무상계'''(無想界){{.cw}}'''무상처'''(無想處){{.cw}}'''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llang|sa|[[:en:asaṁjñisattvāh|<span style="color: black">asaṁjñisattvāh</span>]]}}){{.cw}}'''무상중생천'''(無想眾生天, {{llang|sa|[[:en:asaṁjñisattvāh|<span style="color: black">asaṁjñisattvāh</span>]]}}){{.cw}}'''소광천'''(少廣天) 또는 '''복덕천'''(福德天)이라고도 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1589467&categoryId=2886 무상천(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sfn|星雲|locps=<br>"[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무상천(無想天): 無想天]"모든 마음 작용을 소멸시킨 경지. 2013년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경량부(經量部)에서는 1월색계 9일에제4선천(第四禪天)의 확인}}광과천(廣果天)에 포함시키지만, 상좌부(上座部)에서는 광과천 위에 있다고 함.
<br>약어: 무상(無想)
<br>동의어: 무상계(無想界), 무상처(無想處),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無想天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無想天: 無想,梵名 Asajjñisattvāh。又作無想有情天、無想眾生天、少廣天、福德天。色界天之一。即修無想定所感之異熟果報。生此天者,念想滅盡,僅存色身及不相應行蘊,故稱無想天。此天為外道婆羅門之最高涅槃處,亦為異生凡夫以「出離想」作意,修無想定,所感得的異熟之果報,稱為無想果,或無想異熟、無想事、無想報。此天之位置,有部與經部攝之於第四禪天之廣果天,不另立別處;上座部則於廣果天之上,別立無想天一處。此外,此天眾生之身長有五百由旬,壽命為五百大劫(立世阿毘曇論卷七謂一千大劫),壽終之時,再生念想,而墮欲界。〔起世經卷八、俱舍論卷五、瑜伽師地論卷四〕"}}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이번 생에서 [[무상정]](無想定)을 닦아서 성취하면 그 힘에 의해 [[다음 생]]에는 무상천에 태어난다. 무상천에 태어나는 [[중생|유정]]의 [[소의신]](所依身, 즉 신체)의 키는 500[[유순]](由旬)이고 수명은 500[[대겁]](大劫)이다. 그리고 그 수명인 500[[대겁]](大劫)동안 [[마음 (불교)|마음]](즉 [[6식]])이 [[현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심]](無心)의 상태로 지내게 되는데, [[외도 (불교)|외도]](外道)는 이 상태를 [[열반]] 또는 [[해탈]]의 경지로 간주한다고 한다. 하지만, 500[[대겁]]이 지나면 마치 긴 잠에서 깨어나듯이 다시 [[욕계]]로 태어난다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無想天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無想天: 無想,梵名 Asajjñisattvāh。又作無想有情天、無想眾生天、少廣天、福德天。色界天之一。即修無想定所感之異熟果報。生此天者,念想滅盡,僅存色身及不相應行蘊,故稱無想天。此天為外道婆羅門之最高涅槃處,亦為異生凡夫以「出離想」作意,修無想定,所感得的異熟之果報,稱為無想果,或無想異熟、無想事、無想報。此天之位置,有部與經部攝之於第四禪天之廣果天,不另立別處;上座部則於廣果天之上,別立無想天一處。此外,此天眾生之身長有五百由旬,壽命為五百大劫(立世阿毘曇論卷七謂一千大劫),壽終之時,再生念想,而墮欲界。〔起世經卷八、俱舍論卷五、瑜伽師地論卷四〕"}}{{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2_p0484b09 T31n1602_p0484b09 - T31n1602_p0484b11]. 무상천(無想天)|ps=<br>"無想天者。謂先於此間得無想定。由此後生無想有情天處。不恒現行諸心心法滅性。"}}{{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K.571, T.160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1&startNum=37 37 / 293]. 무상천(無想天)|ps=<br>"무상천(無想天)<sup style="color: blue">182)</sup>은 먼저 여기에서 무상정을 얻고 이것으로 인하여 다음에 무상유정천처(無想有頂天處)에 나게 되어, 항상 여러 심왕법과 심소법을 현행하지 않고 멸하는 성품이다.<br><sup style="color: blue">182)</sup> 무상천(無想天, asaṁjñā-deva)은 색계의 제4정려에 속한 하늘로서 무상유정천(無想有頂天){{.cw}}소광천(少廣天){{.cw}}복덕천(福德天)이라고도 한다. 무상정을 닦아서 그 힘에 의해 무상천에 태어나 500대겁(大劫)동안 6식(識)이 현기(現起)하지 않는다. 외도는 이것을 최고의 열반의 경지로 간주한다. 하지만 500대겁 후에 마치 오랜 수면에서 깨어나듯이 원래 욕계의 정신상태로 떨어진다고 한다. 설일체유부{{.cw}}경량부에서는 색계 제4선(禪)의 광과천(廣果天)의 일부로 본다."}}{{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5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607a28 T30n1579_p0607a28 - T30n1579_p0607b14]. 무상천(無想天)|ps=<br>"問依何分位建立無想定滅盡定及無想天。此三各有幾種。答依已離遍淨貪未離上貪出離想作意為先。名滅分位。建立無想定。此復三種。自性者唯是善。補特伽羅者在異生相續。起者先於此起。後於色界第四靜慮當受彼果。依已離無所有處貪止息想作意為先。名滅分位。建立滅盡定。此復三種。自性者唯是善。補特伽羅者在聖相續。通學無學。起者先於此起。後於色界重現在前。託色所依方現前故。此據未建立阿賴耶識教。若已建立於一切處皆得現前。依已生無想有情天中名滅分位。建立無想此亦三種。自性者無覆無記。補特伽羅者唯異生性。彼非諸聖者。起者謂能引發無想定思。能感彼異熟果。後想生已是諸有情便從彼沒。"}}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무상정]]을 닦고 그 과보로 무상천에 태어나는 것은 모두 [[이생범부]]나 [[외도 (불교)|외도]]가 닦거나 희구하는 것으로, [[성인 (불교)|성자]]가 닦거나 희구하는 것이 아니다. [[성인 (불교)|성자]]가 [[무심]](無心) 즉 [[적정 (불교)|적정]](寂靜)의 상태에 들기 위하여 닦는 [[선정]]은 [[멸진정]]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無想天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ps=<br>"無想天: 無想,梵名 Asajjñisattvāh。又作無想有情天、無想眾生天、少廣天、福德天。色界天之一。即修無想定所感之異熟果報。生此天者,念想滅盡,僅存色身及不相應行蘊,故稱無想天。此天為外道婆羅門之最高涅槃處,亦為異生凡夫以「出離想」作意,修無想定,所感得的異熟之果報,稱為無想果,或無想異熟、無想事、無想報。此天之位置,有部與經部攝之於第四禪天之廣果天,不另立別處;上座部則於廣果天之上,別立無想天一處。此外,此天眾生之身長有五百由旬,壽命為五百大劫(立世阿毘曇論卷七謂一千大劫),壽終之時,再生念想,而墮欲界。〔起世經卷八、俱舍論卷五、瑜伽師地論卷四〕"}}{{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5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607a28 T30n1579_p0607a28 - T30n1579_p0607b14]. 무상천(無想天)|ps=<br>"問依何分位建立無想定滅盡定及無想天。此三各有幾種。答依已離遍淨貪未離上貪出離想作意為先。名滅分位。建立無想定。此復三種。自性者唯是善。補特伽羅者在異生相續。起者先於此起。後於色界第四靜慮當受彼果。依已離無所有處貪止息想作意為先。名滅分位。建立滅盡定。此復三種。自性者唯是善。補特伽羅者在聖相續。通學無學。起者先於此起。後於色界重現在前。託色所依方現前故。此據未建立阿賴耶識教。若已建立於一切處皆得現前。依已生無想有情天中名滅分位。建立無想此亦三種。自性者無覆無記。補特伽羅者唯異生性。彼非諸聖者。起者謂能引發無想定思。能感彼異熟果。後想生已是諸有情便從彼沒。"}}
 
==색계와 무상천==
줄 210 ⟶ 232:
==참고 문헌==
 
* {{서적 인용|ref=harv|저자=고려대장경연구소|제목=[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Search.do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출판사=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 {{서적 인용|ref=harv|저자=곽철환|제목=[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서적 인용|ref=harv|저자=권오민|제목=경량부철학의 비판적 체계 연구|출판사=동국대학원 철학박사 학위논문|연도=1991}}
* {{서적 인용|ref=harv|저자=무착 지음, 현장 한역|연도=K.571, T.1602|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1&startNum=1 현양성교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1(16-1), T.1602(31-480)}}
* {{서적 인용|ref=harv|저자=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연도=K.614, T.1579|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1 유가사지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0(15-465), T.1579(30-279)}}
*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연도=K.949, T.1542|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1 아비달마품류족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949(25-149), T.1542(26-692)}}
* <span id="CITEREF.EC.84.B8.EC.B9.9C_.EC.A7.80.EC.9D.8C.2C_.ED.98.84.EC.9E.A5_.ED.95.9C.EC.97.AD.2C_.EA.B6.8C.EC.98.A4.EB.AF.BC_.EB.B2.88.EC.97.AD"></span>{{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연도=K.955, T.1558|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 아비달마구사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955(27-453), T.1558(29-1)}}
*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연도=K.618, T.1612|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1&startNum=1 대승오온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618(17-637), T.1612(31-848)}}
*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연도=K.644, T.1614|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3&startNum=1 대승백법명문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644(17-808), T.1614(31-855)}}
* {{서적 인용|ref=harv|저자=운허|제목=[http://buddha.dongguk.edu/bs_list.aspx?type=fromto&from=%EA%B0%80&to=%EB%82%98&pageno=1 불교 사전]|편집자=동국역경원 편집}}
* {{언어링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무착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1/1602_001.htm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602, CBETA|연도=T.1602}}
* {{언어링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미륵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0/1579_001.htm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0, No. 1579. CBETA|연도=T.1579}}
* {{언어링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星雲|제목=[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htm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판=3판}}
* {{언어링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우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26/1542_001.htm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6, No. 1542, CBETA|연도=T.1542}}
* {{언어링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29/1558_001.htm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9, No. 1558, CBETA|연도=T.1558}}
* {{언어링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1/1612_001.htm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612, CBETA|연도=T.1612}}
* {{언어링크|zh|크기=9pt}} {{서적 인용|ref=harv|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1/1614_001.htm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614, CBETA|연도=T.1614}}
 
== 각주 ==